$\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수업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utational Thinking-based Instruction Integrating of Mathematics Learning and Assessment on Metacognition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2 no.4, 2019년, pp.239 - 259  

심효신 (서울봉현초등학교) ,  박만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하여 일상생활까지 소프트웨어 환경이 확장되는 흐름 속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명시하였다. 또한, 과정중심평가를 명시함으로써 학습과 평가가 통합된 수업의 패러다임 변환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학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수업을 초등학교 4학년 소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4학년 두 학급을 선정하여 양적 연구로 메타인지와 수학학업성취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활동지와 소감문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메타인지와 수학학업성취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pecified software education as a mandatory curriculum amid a trend in which the software environment was extended to daily life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also calls for a paradigm shift in lessons that incorporate learning and evaluation by ...

주제어

표/그림 (2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정중심평가의 본질적인 의미가 학생들의 학습을 돕고자 하는 평가라는 측면에서 살펴봄과 동시에 컴퓨팅 사고력과 수학 수업을 함께 융합하여 ‘수학 학습과 평가가 통합된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수업’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변화는 무엇이라고 할 수 있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변화는 ‘과정중심평가’라고 할 수 있다.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정의에 대하여 이경화 외(2016)는 학자들마다 합의된 개념이 분명하게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메타인지는 무엇과 무엇으로 나눌 수 있는가?  ‘인지에 관한 인지’로서 메타인지를 보는 입장에서는 메타인지를 지식(메타인지적 지식)과 통제(메타인지적 자기 조정 능력)의 두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정은 정, 2008). 백석윤(1995)은 메타인지적 자기 조정이 Polya(1967)의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가르친다는 것’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했다.
메타인지적 자기조정의 하위 요소의 핵심 4가지는 무엇인가? 선행연구로부터 메타인지적 자기조정의 하위 요소 (박주연, 2005; 백석윤, 2016)의 핵심적인 4가지를 추출하여 본 연구의 메타인지 하위요소를 계획, 점검, 조절, 자기평가로 규정하였다. 각 요소의 의미에서 계획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거나 학습 목표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한 전반적인 접근 방식을 결정하는 것, 점검은 학습자 자신의 인지과정에 대한 계속적인 통제 과정으로 학습 과정 및 자신이 선택한 문제해결 절차에 대한 일련의 재확인 및 검토 과정, 조절은 학습 진행상에 문제가 발생할 때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략들 또는 인지 과정을 수정하려고 시도하는 것, 자기평가는 자기 스스로 문제가 어떤 곳에서 발생했는지를 발견하고 현재 자신의 수준을 판단하는 것으로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No, 2015-74 [Separate Volume 8]. 

  2. Nam, C. M., & Kim, C. W. (2011).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Studies, 13(2), 325-334. 

  3. Do, J. W. (2018). Aspects of meta-affect in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sses. Doctoral dissert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Park, J. Y.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science and students' metacognition. Master's thesis at Ewha Womans University. 

  5. Baik, S. Y. (1992). "Beyond-Pure-Cognitive"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 35-52. 

  6. Baik, S. Y. (1995). The search for a way to teach metacognitive thinking skills useful for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5(2), 51-60. 

  7. Baik, S. Y. (2016).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eoul: Kyungmoonsa. 

  8. Seo, B. E. (2017). The effect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of practical arts applying smart learn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Master's thesi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Ahn, S. H. (1998). A study on landscape design conception process by means of verbal protocol analysis. Master's thesis at Hanyang University. 

  10. Yoo, G. Y.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utational thinking program in elementary mathematics. Master's thesi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Yoo, H. J. (1996). Problem solving and Meta-cogni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6(1), 63-73. 

  12. Lee, K. H., Kang, H. Y., Go, E. S., Lee, D. H., Shin, B. M., Lee, H. C., & Kim, S, H. (2016).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819-834. 

  13. Jang, K. Y. (2017). A feasibility study on integrating computational thinking into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9(3), 553-570. 

  14. Jung, E. J. (2008). The effect and significance of metacognitive teaching for mathematics education. Master's thesis at Inha University. 

  15. Born, A. D. (2003). Web-based student assessment, In A. Aggarwal (Ed.), Web-based education: Learning from experience (pp.166-188). UK: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16.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17. Campbell, P. E., Rowen, T. E. & Suarez, A. R. (1998). What criteria for student-invented algorithm? In L. J. Morrow & M. J. Kenny(Ed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algorithms in school mathematics(pp. 49-55). Reston, VA: NCTM, INC. 

  18. Damon, W., & Phelps, E. (1989). Critical distinctions among three approaches to pe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9-19. 

  19. Garcia-Penalvo, F. J., Reimann, D., Tuul, M., Rees, A., & Jormanainen, I. (2016). An overview of the most relevant literature on cod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with emphasis on the relevant issues for teachers. Belgium: TACCLE3 Consortium. doi:10.5281/zenodo.165123. 

  20. Granott, N. (1993). Co-construction of knowledge: Separate minds, joint effort, and weird creatures, in R. H. Wozniak & K. W. Fischer (Eds.), Development in context: Acting and thinking in specific environments(pp. 183-207). Hillsdale, NJ: Erlbaum. 

  21.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Inc.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역(1995).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22. Polya, G. (1973). How to solve it. Princeton: Princetion University Press. 우정호 역(1993). 어떻게 풀 것인가? 서울 : 천재교육. 

  23. Topping, K., Smith, F. F., Swanson, I., & Elliot, A. (2000). Formative peer assessment of academic writing between postgraduate students.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5(2), 149-169. 

  24.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조희숙, 황해익, 허정선, 김선옥 역(1994). 비고츠키의 사회 속의 정신. 서울: 성원사. 

  25. Weintrop, D., Beheshti, E., Horn, M., Orton, K., Jona, K., Trouille, L., & Wilensky, U. (2016). Defin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mathematics and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5(1), 127-147. 

  26.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27. Yadav, A., Hong, H., & Stephenson, C. (2016). Computational thinking for all: Pedagogical approaches to embedding 21st century problem solving in K-12 classrooms. TechTrends, 60(6), 565-568. doi: http://dx.doi.org/10.1007/s11528-016-008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