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7 no.2, 2014년, pp.95 - 111  

신승윤 (대구매천초등학교) ,  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메타인지 구성 요소별 영향력을 밝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 메타인지적 접근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영재교육원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으로 총 80명이다. 연구결과 초등수학영재 집단 안에서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의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전체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 인지적 지식으로 나타났고,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 유창성과 독창성 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지식이며, 융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적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자기조정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적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메타인지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 does metacognition has with creative math problem-solving abilit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적절히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현대 사회는 지식 정보화 사회로 특징 지워지며 정치, 사회, 문화의 패러다임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상황적응적인 인지능력의 배양과 비판적, 논리적 사고를 통한 합리적인 사고와 더불어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토대로 탐구하고 추측하며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수학적 사고력, 수학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 수학적 지식과 방법을 활용하여 실생활이나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문제해결력, 수학의 유용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등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메타인지란? 메타인지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는 자신의 사고과정을 의미(O’neil & Brown, 1998)하는 것으로 문제해결과정에서 계획, 조정, 점검, 관리, 평가의 주요 기능을 하는 것(최은희․김민경, 2006)을 말한다. Silver(1987), Schoenfeld(1987) 등의 연구자들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메타인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강조하며, Russo(2004)와 송해덕(2007)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하는 방안으로 메타인지를 지적한다.
상황적응적인 인지능력의 배양과 비판적, 논리적 사고를 통한 합리적인 사고와 더불어 창의적인 사고를 위해 우리나라 수학교육이 강조하는 것은? 따라서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상황적응적인 인지능력의 배양과 비판적, 논리적 사고를 통한 합리적인 사고와 더불어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토대로 탐구하고 추측하며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수학적 사고력, 수학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 수학적 지식과 방법을 활용하여 실생활이나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문제해결력, 수학의 유용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등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교육과학기술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8). Elementary curriculum(IV).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 

  2. 김홍원.김명숙.방승진.황동주 (1997).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검사 제작 편-한국교육 개발원 연구보고 CR-50. 한국교육개발원. (Kim, H. W., Kim, M. S., Bang, S. J., & Hwng, D. J. (1997). Development of math gifted determination tools (I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 박주연 (2005). 과학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아동의 메타인지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rk, J. Y.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ploblem solving ability in science students' metacognition.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4. 박창한 (2009). 메타인지 전략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 조작 중심의 문제해결식 수업이 초등학생의 성취 수준별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rk, C. H. (2009). The effects of th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of teaching-learning centered on concrete oper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metacognition. Master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5. 박혜진.권혁직 (2010).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강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05-224. (Park, H. J., & Kwean, H. J. (2010).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flow, and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3(2), 205-224.) 

  6.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Song, S. H. (1998).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discrimination of the mathematical giftednes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7. 송해덕 (2007).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인과 교수 설계원리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15(3), 55-73. (Song, H. D. (2007).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Journal of Open Education, 15(3), 55-73.) 

  8. 신은주.신선화.송상헌 (2007). 초등 수학 영재아들의 메타인지 사고 과정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3), 201-220. (Shin, E. J., Shin, S. H., & Song, S. H. (2007). A study on the case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etacognitive think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3), 201-220.) 

  9. 이강섭.황동주 (2003). 일반 창의성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2(1), 1-9. (Lee, K. S., & Hwang, D. J.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1), 1-9.) 

  10. 이봉주.고호경 (2009). 메타인지적 활동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사고 과정 분석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3). 291-305. (Lee, B. J., & Ko, H. K. (2009). A case study of metacognitive strategy training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2(3), 291-305.) 

  11. 이은숙 (2013). 초등수학에서 메타문제의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정의적 특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E. S. (2013).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meta-problem solving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조석희.황동주 (2007).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개발. 영재교육연구, 17(1), 1-26. (Jo, S. H., & Hwang, D. J. (2007).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for iden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Gifted Talented Education, 17(1), 1-26.) 

  13. 최은희.김민경 (2006).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수업 에서의 초등학생의 수학적 추론과 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0(1), 191-207. (Choi, E. H., & Kim, M. K. (2006). Effects of instruction applicated metacognitive strategy on mathematical reasoning and representation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10(1), 191-207.) 

  14. 한길준.이영주 (2000). 초등학교 아동의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적 문제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교과교육연구, 4, 185-201. (Han, K. J., & Lee, Y. J. (2000). A study on correlations among metacognition level,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nd reason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hool Subjects, 4, 185-201.) 

  15. 한상욱.송상헌 (2011). 초등 수학 영재들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보이는 메타인지 사례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 15(2), 473-461. (Han, S. W., & Song, S. H. (2011). A case study on the metacogni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problem-solving proces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2), 473-461.) 

  16. Brown, A. N. (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other more mysterious mechanisms. In F. E. Weinert, & R. H. Kluwe(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pp. 65-11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Davis, G. A., & Rimm, S. B. (199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oston: Allyn and Bacon. 

  18. Deridder, C. M. (1986). A study of selected factors to identify sixth grade students gifted in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19.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quire. American Psychologist, 34, 906-911. 

  20. Johnsen, S. K., & Kendrick, J. (2005). Math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Prufrock Press, Inc. 

  21. Kim, Y. (1998).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of Korean version. ChungAng Aptitude Press. 

  22. Kroll, D. L. (1988). Coope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metacognition: A case study of three paris of women. Doctoral Dissertation, India University. 

  23. Lester, F. K., & Garofalo, J. (1985). Metacognition, cognitive monitoring,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3), 163-176. 

  24. Miller, G. E. (1985). The effects of general specific self-instruction training on children' comprehension monitoring performances during read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20(3), 61-628. 

  25.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Inc. 

  26. O'Neil, H. F., & Brown, R. S. (1998). Differential effects of question formats in math assesment on metacognition and affect.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1(4), 331-351. 

  27. Russo, C. F. (2004). A comparative study of creativity and cogni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of high-IQ and average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8(3), 179-190. 

  28. Shallcross, D. J. (1981). Teaching creative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29.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Inc. 

  30. Scheonfeld, A. H. (1987). What's all the fuss about metacognition? In A. H. Scheo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p. 189-21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1. Silver, E. A. (1985). Research on teach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ome underrepresented themes and needed direction. In E. A. silver (Eds.),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ultiple reach perspectives (pp.56-5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n Associates. 

  32. Silver, E. A. (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research for mathematics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A. H. Scheonfeld (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n Associates. 

  33. Sriraman, B. (2005). Are giftedness & creativity synonyms in mathematics? An analysis of constructs within the professional and school realm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 20-36. 

  34. Torrance, E. P. (1995). Why fly?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5. Zimeeerman B. J., & Matinez-Pons, N. (1988).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d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