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PS로 유도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을 저해하는 쉽싸리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the Constituent Inhibiting Nitric Oxide formation from Lycopus lucidus in LPS-induced Macrophage Cell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4, 2019년, pp.264 - 269  

박희준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쉽싸리(L. lucidus)가 가지는 효능의 하나로 알려진 항염증효과의 활성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염효과는 LPS로 활성화한 macrophage 264.7이 생산하는 NO의 감소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쉽싸리 추출물에서 얻은 비극성 분획물인 $CHCl_3$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 NO 생산을 감소시켰다. 이에 비해 극성 분획물인 BuOH 분획물은 그 효과가 약하였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이 $CHCl_3$ 분획물로부터 주요 화합물인 ursolic acid를 분리하고 분광학적 방법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효과가 약하였던 BuOH 분획물로부터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와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이 분획의 주요 화합물인 rosmarinic acid를 분리하고 역시 분광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Ursolic acid는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억제하였으나 rosmarinic acid는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쉽싸리의 항염효과는 주로 ursolic acid의 존재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constituent from the herb of Lycorus lucidus (Lamiaceae). The MeOH extract of this plant material and its two fractions, the lipophilic- ($CHCl_3$ fraction) and the hydrophilic fraction (BuOH fraction), were prepared to test a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쉽싸리(L. lucidus)가 가지는 효능의 하나로 알려진 항염증 효과의 활성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염효과는 LPS로 활성화한 macrophage 264.
  • , 2010)의 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쉽싸리의 염증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규명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그것을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 2007). 그러므로 연구자들은 항염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한 대식세포의 NO 생산억제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쉽싸리 전초로부터 MeOH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제조한 후 이들이 LPS로 유도한 대식세포에서 NO 생산 저해 효과가 있는지 측정하였다. 그리고 유효한 분획으로부터 주된 화합물을 분리하여 NO 저해효과를 일으키는 화합물을 찾고자 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인 ursolic acid와 rosmarinic acid의 화학구조는 Fig.
  • 본 연구에서는 쉽싸리 전초로부터 MeOH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제조한 후 이들이 LPS로 유도한 대식세포에서 NO 생산 저해 효과가 있는지 측정하였다. 그리고 유효한 분획으로부터 주된 화합물을 분리하여 NO 저해효과를 일으키는 화합물을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O의 장단점은? NO는 염증의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호전달을 위한 분자이다. NO는 생리적 조건에서 항염효과를 나타내지만, 이의 과도한 생산은 염증유발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NO는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synthase의 작용에 의해 생산되어 혈관내피세포로 들어가서 혈관확장을 일으킬 뿐 아니라 cytokine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NO가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이유는? NO는 생리적 조건에서 항염효과를 나타내지만, 이의 과도한 생산은 염증유발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NO는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synthase의 작용에 의해 생산되어 혈관내피세포로 들어가서 혈관확장을 일으킬 뿐 아니라 cytokine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관절, 장관, 폐 등에서 염증반응을 나타내게 된다(Sharma et al.
NO은 무엇인가? NO는 염증의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호전달을 위한 분자이다. NO는 생리적 조건에서 항염효과를 나타내지만, 이의 과도한 생산은 염증유발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im, S.J., H.T. Shin, J.B. An, J.W. Yoon, J.W. Lee, S.Y. Jung and T.I. Heo. 2017. Flora of Mt. Samyeong (Yanggu-gun, Gangwon-do) in DMZ area of Korea, Korean J. Plant Res. 30:191-212. 

  2. Murata, T., M. Watahiki, Y. Tanaka, T. Miyase and F. Yoshizaki. 2010. Hyaluronidase Inhibitors from Takuran, Lycopus lucidus. Chem. Pharm. Bull. 58:394-397. 

  3. Seebacher, W., N. Simic, R. Weis, R. Saf and O. Kunert. 2003. Complete assignments of 1H and 13C NMR resonances of oleanolic acid, 18 ${\alpha}$ ­oleanolic acid, ursolic acid and their 11­oxo derivatives. Magn. Reson. Chem. 41:636-638. 

  4. Sharma, J.N., A. Al-Omran and S.S. Parvathy. Role of nitric oxide in inflammatory diseases. 2007. Inflammopharmacol. 15:252-259. 

  5. Shin, T.Y., S.H. Kim, K. Suk, J.H. Ha, I. Kim, M.G. Lee, C.D. Jun, S.Y. Kim, J.P. Lim, J.S. Eun, H.Y. Shin and H.M. Kim. 2005. Anti-allergic effect of Lycopus lucidus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model. Toxicol. Appl. Pharmacol. 209:255-262. 

  6. Slusarczyk, S., M. Hajnos, K. Skalicka-Wozniak and A. Matkowski.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s from Lycopus lucidus Turcz. Food Chem. 113:134-138. 

  7. Woo, E.R. and M.S. Piao. 2004.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Lycopus lucidus, Arch. Pharm. Res. 27:173-1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