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부 DMZ 인근접경 지역의 파평산(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Papyeong (Gyeonggi-do Prov.) in Western Area of DMZ,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4, 2019년, pp.355 - 378  

남궁주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  윤창영 (신경대학교 생명과학과) ,  하영호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김주환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파평산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유종, 희귀 및 멸종 식물, 적색식물, 기후변화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2016년 4월부터2019년 6월까지 총1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1과 257속 361종 9아종 36변종 4품종으로 총410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46분류군), 벼과(31분류군), 장미과(27분류군), 콩과(18분류군)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 중 Chung 등이 지정한 특산식물은 9분류군, 환경부가 지정한 고유종은 6분류군이다.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IUCN 평가기준을 근거로 국립수목원이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13분류군이, 환경부가 지정한 적색자료집을 근거로 2분류군이 확인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13분류군, II등급 11분류군, I등급 20분류군으로 총 46분류군이다. Lee (1976)에 따른 자원식물은 식용 182분류군(44.39%), 목초용 166분류군(40.49%), 약용 138분류군(33.65%), 관상용 53분류군(12.93%), 목재용 22분류군(5.37%), 다용도 11분류군(2.68%), 섬유용 6분류군(1.46%), 산업용 1분류군(0.24%) 순이며, 산림청 지정 자원식물은 식용 293분류군(71.46%), 산업용 186분류군(45.37%), 다용도 173분류군(42.20%), 의약용 125분류군(30.48%), 유해성 식물 84분류군(20.49%), 향료 16분류군(3.9%)순이다.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으로 귀화율6.58%, 도시화지수 8.43%를 나타내었다. 본 파평산 일대의 조사로 본 결과는 파주 북부의 DMZ 접경 지역의 자연환경 및 자연자원의 조사 및 보존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증거표본을 기준으로 하여 관속식물 목록을 작성하였기 때문에 조사과정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파평산의 관속식물의 다양성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최근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산불의 예방, 인위적 간섭에 의한 외래식물의 침입 및 산림훼손의 방지 등을 더 정확히 파악하고, 그를 활용할 더욱 적극적이고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Papyeong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Paju and the border of western DMZ through 13 surveys from April 2016 to August 2019. The vascular plants of Mt. Papyeong include 410 taxa; 361 species, 9 subspecies, 36 varieties, and 4 forms from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등이 수행된 바 있으나 파평산을 중심으로 수행된 식물상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서부 DMZ 인근 접경지역에 위치한 파평산 일대의 식물분포 및 분류군 현황을 파악하고, 증거표본 제작 및 영상자료를 기초로 소산식물 목록을 작성하였다. 또한 조사된 식물 중특산식물 및 희귀·멸종위기종을 파악하여 보전가치가 있는 식물과 귀화식물 목록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 또한 조사된 식물 중특산식물 및 희귀·멸종위기종을 파악하여 보전가치가 있는 식물과 귀화식물 목록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파평산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유종, 희귀 및 멸종식물, 적색식물, 기후변화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2016년 4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1과 257속 361종 9아종 36변종 4품종으로 총 410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MZ는 60여 년간 어떠했는가 그리고 DMZ는 어떤 곳인가? 이 지역은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남방한계선, 민통선 이북지역, 민통선(CCL, Civilian Access Control Line), 접경지역을 포함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6). DMZ는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를 보이며, 남방계와 북방계 식물이 다양하게 공존하는 지역으로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이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DMZ와 민통선지역을 포함 하는 행정구역은 인천광역시(강화군), 경기도(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강원도(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의 9개 시·군이며 서부, 중부, 동부 권역으로 각각 구분한다.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속해있는 것들은 무엇인가?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군사적 직접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협정이나 조약에 의해 설정된 완충지대로서 분쟁을 종식시키거나 휴전 후 전쟁 재발을 막기 위해 설정된 지역이다. 이 지역은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남방한계선, 민통선 이북지역, 민통선(CCL, Civilian Access Control Line), 접경지역을 포함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6). DMZ는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를 보이며, 남방계와 북방계 식물이 다양하게 공존하는 지역으로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이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한반도 비무장지대는 무엇인가?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군사적 직접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협정이나 조약에 의해 설정된 완충지대로서 분쟁을 종식시키거나 휴전 후 전쟁 재발을 막기 위해 설정된 지역이다. 이 지역은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남방한계선, 민통선 이북지역, 민통선(CCL, Civilian Access Control Line), 접경지역을 포함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nderson, S. 1994. Area and endemism.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L (USA). 69:451-471. 

  2. Chang, C.S., H. Kim and K.S. Chang.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signPost, Pajoo, Korea. pp. 8-477. 

  3. Chang, C.S., H. Kim, S. Son and Y.S. Kim. 2016. The Red List of Selected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Korean Plant Specialist Group, Pocheon, Korea. pp. 8-21. 

  4.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5.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Department of Vegetation Science & Biological Conservation. Ph.D. Thesis, Wien University, Austria. pp. 1-314. 

  6. Kim, J.h., G.H. Nam, C.Y. Yoon and B.Y. Lee.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 (Gyeonggi-do). J. Environ. Sci. Int 19(4):459-481. 

  7. Kim, S.J., H.T. Shin, J.B. An, T.I. Heo, Y.H. Kwon and J.W. Yoon. 2016.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Korean J. Plant Res. 29(2):264-280. 

  8.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6-380. 

  9.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pp. 10-153.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2-534.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547.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600.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p. 265.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3-735. 

  15. Lee, B.Y., G.H. Nam, J.Y. Lee, C.H. Park, C.E. Lim, M.H. Kim, S.J. Lee, T.K. Roh, J.A. Lim and J.E. Han.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3-630. 

  16. Lee, C.S. and G.H. Lee.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Seoul, Korea. pp. 3-471. 

  17. Lee J.H., S.Y. Lee., G.C. Lee., H.J. Kim., H. Choi., H.J. Lee., K. Choi and K.S. Chang. 2016. Standard Checklist of Cultivated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2-510. 

  18. Lee, S.H., S.S. Choi, D.B. Lee, S.H. Hwang and J.K. Ahn. 2016.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Korean J. Environ. Ecol. 30(1):1-18. 

  19.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1-137. 

  20.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p. 1-990. 

  21.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22.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0. 

  23. Lee, W.C.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cation, Seoul, Korea. pp. 1-624. 

  24. Lee, W.C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1-33. 

  25.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 Vol. I. Gyohaksa, Seoul, Korea. pp. 3-974. 

  26.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 Vol. II. Gyohaksa, Seoul, Korea. pp. 8-885. 

  27.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Nikolasse. 

  28. Ministry of Environment. 1999a. The vegetation in area of Mt. Gamak (Paju, Yeongcheon, Gyeonggi-do Prov.).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45. 

  29. Ministry of Environment. 1999b. The Geomorphology and Landscape of Paju, Yeongcheon(MT. GaeAm, 386 highlands, Mt. Papyeong and Mt. Nogo) and surrounding environment.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2.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vegetation in area of Paju, Yangju.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1.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85-216.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The vegetation in area of Paju, Yangju.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2-18. 

  3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Comprehensive Report of Biological Diversity of the DMZ,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7. 

  3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7-29. 

  3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2-147. 

  3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674-710. 

  3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Ecological Survey of Near DMZ-Ecological survey of civilian control line north central reg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 2. 

  38.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491. 

  39. Oh, B.U., K.S. Kim, S.C. Ko, B.H. Choi,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C.G. Jang, S.H. Kang and C.H. Lee. 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761. 

  40. Paju City. 2018. Paju City Hompage (http://www.weather.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jsp#a7). 

  41.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p. 7-575. 

  42. Park, S.H., Y.M. Lee, S.Y. Chung, G.S. Chang and W.C. Kang.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n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yonggido, Korea. pp. 448-457. 

  43.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3):705-731. 

  44.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 J LINN SOC 181(1):1-20. 

  45.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2):77-88. 

  46. Yu, J. 2013. Cultural Exclusion and Negative Perception related to Naturalized Plants Derived from Academic Discussion. J Korea Soc Environ Restor Technol. 16(2):6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