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역적 산사태-토석류 연계해석기법 제안
A Combined Method for Rainfall-induced Landslides and Debris Flows in Regional-scale Area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5 no.10, 2019년, pp.17 - 31  

홍문현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정상섬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우로 인한 산사태와 토석류의 거동분석을 위한 연계해석기법이 제안되었다. 산사태 발생 위치 및 체적을 토석류의 초기 발생 위치 및 체적 조건으로 사용하고 강우-침투에 의해 형성된 습윤대에 의해 정의되는 하부 지반의 습윤 조건이 토석류에 의한 연행침식작용 분석에서 고려되어 강우-침투, 산사태, 토석류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일관된 해석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계해석기법은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광역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계해석기법을 활용한 해석 결과와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된 관측 결과를 비교하여 해석기법에 대한 검증 및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간에 따른 토석류 전방 위치 및 토석류의 속도, 체적, 운동량 측면에서 해석과 실험 결과가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복잡한 지형을 갖는 자연사면에 적용한 경우에도 해석결과와 관측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나 합리적인 예측결과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강우에 의한 산사태-토석류 연계해석 결과를 관측값과 비교한 결과, 산사태 해석은 약 83%의 예측률을 보였으며, 토석류의 최종 체적은 관측값과의 오차가 관측값의 약 3%($871m^3$)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산사태-토석류 연계해석기법은 기존의 산사태와 토석류 흐름을 분리해서 분석하는 문제를 극복하였으며, 특히 강우에 의한 산사태뿐만 아니라 토석류에 의한 연행침식작용에 대한 강우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a prediction method for rainfall-induced landslides and subsequently debris flows in a regional scale areas.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calculation of the propagation of debris flows by considering rainfall infiltration into soil slopes and soil entrainments by debris flo...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로 인한 산사태와 토석류의 거동분석을 위한 연계해석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토석류 해석 시 강우-침투 해석과 산사태 안정해석의 결과가 토석류의 거동과 연행침식 작용에 연계되어 강우-침투, 산사태, 토석류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실시간 강우를 반영한 일관된 해석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토석류의 흐름은 물과 토사의 혼합물로 정의되며, 비압축성-비정상 유체 연속흐름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토석류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Eq.
  • 1과 같이 산사태 발생부터 연행침식작용을 고려한 토석류 흐름 해석에 이르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해석기법이다. 본 해석기법에서는 산사태에서 토석류로 전이되는 과정을 모사하기 위해 전이 기준을 결정하는 구성모델은 적용되지 않았으며, 무한사면파괴 기준을 초과하면서 유체운동 해석 시 계산되는 운동량이 토석류와 하부 지반 사이의 마찰에 의한 저항력을 초과하여 실제로 운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산사태가 토석류로 전이된다고 가정하였다. 강우량, 지반특성 및 지형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입력 데이터는 GIS 기반의 래스터 데이터 세트로 구성되며, 시뮬레이션은 구축된 GIS 데이터 세트로부터 정의된 지오메트리에 대하여 수행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부지반의 토사와 토석류가 혼합되면서 더 큰 체적과 긴 유출거리로 이어지는 이유는? 토석류 흐름의 경로를 따라 발생하는 연행침식작용은 토석류에 의한 하부지반의 침식으로부터 촉발되며, 하류 및 도심지에 도달하는 토석류의 부피를 증가시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토석류에 의한 하부지반의 침식은 일반적으로 토석류의 유동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주로 토석류와 하부지반의 통합으로 정의된다(Iverson, 2011).
토석류는 무엇인가? 토석류는 산지 및 급경사지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산사태가 확장되어 나타난다. 산사태는 강우, 지진 등에 의해 지반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발생하며, 특히 강우에 의한 산사태는 모래, 자갈, 점토, 실트와 같은 토사와 물을 함유하여 토석류로 확장된다.
산사태의 발생원인은? 토석류는 산지 및 급경사지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산사태가 확장되어 나타난다. 산사태는 강우, 지진 등에 의해 지반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발생하며, 특히 강우에 의한 산사태는 모래, 자갈, 점토, 실트와 같은 토사와 물을 함유하여 토석류로 확장된다.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는 하류에 도달하여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Iverson, 1997),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상현상으로 토석류의 발생과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Pierc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telt, P., Buehler, Y., Christen, M., Deubelbeiss, Y., Graf, C., McArdell, B., ... and Schneider, M. (2013), "RAMMS_User Manual v1. 5 Debris Flow. A numerical model for debris flows in research and practice." 

  2. Baum, R. L., Savage, W. Z., and Godt, J. W. (2002), "TRIGRS:a Fortran program for transient rainfall infiltration and grid-based regional slope-stability analysis",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Vol.424, pp.38. 

  3. Cho, S. E. and Lee, S. R. (2002), "Evaluation of Surficial Stability for Homogeneous Slopes Consid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28(9), pp.756-763. 

  4. Crosta, G. B., Cucchiaro, S., and Frattini, P. (2003), "Validation of semi-empirical relationships for the definition of debris-flow behavior in granular materials", In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bris-Flow Hazards Mitigation: Mechanics, Prediction and Assessment, Davos, Switzerland. Millpress, Rotterdam, pp.821-831. 

  5. D'Ambrosio, D., Gregorio, S. D., and Iovine, G. (2003), "Simulating Debris Flows through a Hexagonal Cellular Automata Model: Sciddica s 3-hex",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3(6), pp.545-559. 

  6. Gavin, K. and Xue, J. (2008), "A Simple Method to Analyze Infiltration into Unsaturated Soil Slopes",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35(2), pp.223-230. 

  7. Hong, M. H., Kim, J. H., Jung, G. J., and Jeong, S. S. (2016), "Rainfall Threshold (ID Curve)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ediction Considering Antecedent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2(4), pp.15-27. 

  8. Hong, M., Kim, J., and Jeong, S. (2018),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s for Landslide Prediction in South Korea by Considering the Effects of Antecedent Rainfall", Landslides, Vol. 15(3), pp.523-534. 

  9. Iverson, R. M. (1997), "The physics of debris flows", Reviews of geophysics, Vol.35(3), pp.245-296. 

  10. Iverson, R. M., Reid, M. E., Logan, M., LaHusen, R. G., Godt, J. W., and Griswold, J. P. (2011), "Positive Feedback and Momentum Growth during Debris-flow Entrainment of Wet Bed Sediment", Nature Geoscience, Vol.4(2), pp.116. 

  11. Jakob, M. and Friele, P. (2010), "Frequency and Magnitude of Debris Flows on Cheekye River, British Columbia", Geomorphology, Vol.114(3), pp.382-395. 

  12. Jeong, S., Kassim, A., Hong, M., and Saadatkhah, N. (2018), "Susceptibility Assessments of Landslides in Hulu Kelang Area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Prediction Model", Sustainability, Vol.10(8), pp.2941. 

  13. Jeong, S., Kim, Y., Lee, J. K., and Kim, J. (2015), "The 27 July 2011 Debris Flows at Umyeonsan, Seoul, Korea", Landslides, Vol. 12(4), pp.799-813. 

  14. Kim, J., Kim, Y., Jeong, S., and Hong, M. (2017), "Rainfall-induced landslides by deficit field matric suction in unsaturated soil slope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76(23), pp.808. 

  15. Kim, J., Lee, K., Jeong, S., and Kim, G. (2014), "GIS-based Prediction Method of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a Rainfall Infiltration-groundwater Flow Model", Engineering Geology, Vol. 182, pp.63-78. 

  16. Kwan, J. S. H. (2012), "Supplementary technical guidance on design of rigid debris-resisting barriers",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 HKSAR. GEO Report, No.270. 

  17. Kwan, J. S. and Sun, H. W. (2006), "An Improved Landslide Mobility Model",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43(5), pp. 531-539. 

  18. Major, J. J. and Pierson, T. C. (1992), "Debris flow rheology: Experimental analysis of fine-grained slurri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28(3), pp.841-857. 

  19. McDougall, S., Boultbee, N., Hungr, O., Stead, D., and Schwab, J. W. (2006), "The Zymoetz River landslide, British Columbia, Canada: Description and Dynamic Analysis of a Rock Slide-debris Flow", Landslides, Vol.3(3), pp.195. 

  20. Mein, R. G. and Larson, C. L. (1973), "Modeling infiltration during a steady rai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9(2), pp.384-394. 

  21. Miller, D. J. and Burnett, K. M. (2008), "A Probabilistic Model of Debris-flow Delivery to Stream Channels, Demonstrated for the Coast Range of Oregon, USA", Geomorphology, Vol.94(1-2), pp. 184-205. 

  22. Muntohar, A. S. and Liao, H. J. (2009), "Analysis of Rainfall-induced Infinite Slope Failure during Typhoon Using a Hydrologicalgeotechnical Model", Environmental Geology, Vol.56(6), pp.1145-1159. 

  23. O'brien, J. S., Julien, P. Y., and Fullerton, W. T. (1993), "Two-Dimensional Water Flood and Mudflow Simula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119(2), pp.244-261. 

  24. Park, D. W., Lee, S. R., Vasu, N. N., Kang, S. H., and Park, J. Y. (2016), "Coupled Model for Simulation of Landslides and Debris Flows at Local Scale", Natural Hazards, Vol.81(3), pp. 1653-1682. 

  25. Pierce, J. L., Meyer, G. A., and Jull, A. T. (2004), "Fire-induced Erosion and Millennial-scale Climate Change in Northern Ponderosa Pine Forests", Nature, Vol.432(7013), pp.87. 

  26. Stoffel, M. and Beniston, M. (2006), "On the incidence of debris flows from the early Little Ice Age to a future greenhouse climate: a case study from the Swiss Alp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33(16). 

  27. Takahashi, T. and Das, D. K. (2014), "Debris flow: mechanics, prediction and countermeasures", CRC press. 

  28. Wang, Y. (1993), Personal cummunication (Takahashi and Das,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