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론보도를 통한 지진에 의한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 최근 10년(2009-2018)간 국내 언론에 보도된 국외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 of Earthquake-Induced Landslide through a Media Report : Focus on International Cases Reported in Domestic Media During the 10 years (2009-2018)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3 = no.49, 2020년, pp.440 - 448  

강민정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김기대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서준표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우충식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이창우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초록

연구목적: 국내 지진에 의한 산사태 관련 연구는 사면 변위를 예측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며, 지금까지 지진에 의한 산사태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진에 의한 산사태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특성분석을 위해 최근 10년동안(2009~2018) 미디어를 통해 보도된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강우 및 지진과 같은 산사태 발생원인을 분석하였다. 이후 산사태를 발생시킨 지진 규모와 지진에 의한 산사태의 연도별, 대륙별 발생건수 및 인명피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0년 동안 국외에서 보고된 산사태는 총 608건이었고, 그 원인은 강우에 의한 발생이 340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지진에 의한 산사태 발생은 총 70건으로 두 번째 많은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산사태를 발생시킨 지진의 평균 규모는 6.5로 나타났으며, 최소, 최대 규모는 각각 4.4, 8.2이었다. 지진에 의한 산사태는 2011년과 2012년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대륙별로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만큼 강진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지고 있다. 지진에 의한 산사태는 자연재해로서 인간의 통제가 불가능하지만 적극적인 예방과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국민의 재산 및 인명피해 저감을 위한 지진에 의한 산사태 대책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st of the studies in the country on earthquake-induced landslide predict the displacement of the slope. Until now,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and damage characteristics by earthquak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of landsli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언론보도를 통해 최근 10년(2009-2018)간 발생한 국외에서 발생한 지진에 의한 산사태 발생현황을 분석하였다. 과거 10년간 보도된 국외 산사태 사례는 총 608건이었고, 강우에 의한 발생이 340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지진에 의한 산사태 피해특성은 국내 사례가 없기 때문에 국외 사례를 통해 관련 재해의 발생현황, 피해규모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재해 방지대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언론에 보도된 국외 산사태 발생원인과 산사태를 발생시킨 지진 규모와 지진에 의한 산사태의 연도별, 대륙별 발생건수 및 인명피해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지진에 의한 산사태 피해특성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산사태 발생원인과 지진에 의해 발생된 산사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언론보도 기사를 수집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최근 10년간 방송사, 전자신문 등 인터넷 포털사이트(Naver, Google 등)의 보도자료 검색을 통하여 기사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경우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어 발생하는 풍수해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장마·태풍 영향시기에 발생하는 산사태는 산림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피해를 주는데, 2011년 서울 우면산 산사태, 춘천 마적산 산사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자연재해 발생건수당 사상자수의 차이를 비교해봤는때 산사태가 월등히 많이 나타난 이유는? 그러나 발생건수당 사상자수의 차이를 단순비교해본 결과, 실종을 제외하고 사망과 부상은 지진에 의한 산사태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진이 발생한 경우 지진 감지로부터 산사태 발생에 이르는 시간이 매우 짧다. 또한 일순간 쏟아지는 토사에 매몰될 뿐만 아니라 외력으로 인해 무너진 구조물, 도로 파괴 등으로 인해 산사태 발생 시 대피에 어려움이 생겼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추후 재해 발생상황에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한 대책 및 경계 피난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산사태 발생원인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우리나라의 연평균 산사태 피해는 1990년대 349ha에서 2000년대 713ha로 피해면적이 점차 증가하고 대형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산사태 발생원인을 분석하여 이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피해를 저감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Korea Forest Service, 2018). 산사태 발생원인은 강우·지진과 같은 직접적인 원인과 지형·지질·임상·토양과 같은 간접적인 원인으로 구분된다. 대체로 국내 산사태 발생원인은 집중호우 및 태풍 등 강우의 영향(Cha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P., Yu, D.-C., Kim, Y.-I. (2003). "A study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earthquake in the Korea."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Annual Conference, Daejeon, Republic of Korea, pp. 4144-4149. 

  2. Ahmad, J., Lateh, H. (2016). "Media and the environment in Malaysia: An analysis on new coverage of landslide disaster in Kuala Lumpur." Malay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32, No. 2, pp. 525-544. 

  3. Caine, N. (1980). "The Rianfall intensity: 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Geografiska Annaler, Vol. 62, No. 1/2, pp. 23-27. 

  4. Chae, B.-G., Choi, J.-H, Jeong, H.-K. (2016). "A feasibility study of a rainfall triggering index model to warn landslides in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6, No. 2, pp. 325-250. 

  5. Evans, S.G., Guthrie, R.H., Roberts, N.J., Bishop, N.F. (2007). "The disastrous 17 February 2006 rockslide-debris avalanche on Leyte Island, Philippines: A catastrophic landslide in tropical mountain terrain."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 Vol 7, pp. 89-101. 

  6. Guo, D., Hamada, M. (2013).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landslide influential factors during Wenchuan earthquake: A case study Wenchuan county." Engineering Geology, Vol. 152, pp. 202-209. 

  7. Guzzetti, F., Peruccacci, S., Rossi, M., Colin, P.S. (2008).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s: An update." Landslides, Vol. 5, No. 1, pp. 3-17. 

  8. Hayashi, S., Araki, T., Yamada, T., Numamoto, S. (2010). "Factors of slope failures triggered by the Noto-Hanto earthquake in 2007." Journal of Japan Society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Vol. 63, No. 3, pp. 19-26. 

  9. Huang, R., Pei, X., Fan, X., Zhang, W., Li, S., Li, B. (2011). "The characteristics and failure mechanism of the largest landslide triggered by the Wenchuan earthquake, May 12, 2008, China." Landslides, Vol. 9, No. 1, pp. 131-142. 

  10. Itoh, H., Osanai, N., Nishimoto, H., Usuki, N., Sagichi, O. (2009).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slope failures and seismic intensity." Journal of Japan Society of Erosion Control Engineering, Vol. 61, No. 5, pp. 46-51. 

  11. Keefer, K.D. (1984). "Landslides caused by earthquak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ol. 95, No. 4, pp. 406-421. 

  12. Kim, D.-E, Choi, W.-J., Sim, J.-H. (2006). "Analysis of status and types of natural disaster in the world." Water for Future, Vol. 41, No. 2, pp. 56-61. 

  13. Kim, J.-S. (2011). "Assessment of landslide hazard induced by earthquake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 Master's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14. Kim, S.-W., Chun, K.-W., Otsuki, K., Shinohara y., Kim, M.-I, Kim, M.-S., Lee, D.-K., Seo, J.-I., Choi, B.-K. (2015). "Heavy rain types for triggering shallow landslides in South Korea." Kyushu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 Vol. 60, No, 1, pp. 243-249. 

  15. Kong, H.-J., Lee, S.-H. (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meteorological disaster reported in the newspapers in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Vol. 10, No. 1, pp. 1-11. 

  16. Korea Forest Service (2018). "Implementation plan for landslide prevention in 2018." Daejeon, Republic of Korea.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01). "Earthquake observation data." Seoul, Republic of Korea. 

  18. Jang, H.-N., Lee, J.-Y. (2007). "Case study earthquake damag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55, No. 4, pp. 133-139. 

  19. Jeon, S.-K., Baek, S.-C. (2019). "Comparison of prediction models for identification of areas at risk of landslides due to earthquake and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20, No. 6, pp. 15-22. 

  20. Jeon, S.-K., Kim, D.-M., Choi, W.-Il, Choi, E.-H. (2014). "Prediction of the landslide and effect on hertage located in mountain induced earthqua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2, pp. 139-148. 

  21. Lee, J.-H. (1998).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induced landslide disaster and the influence of forests." Monthly Forestry Information, Vol. 86, pp. 44-47. 

  22. Lee, J.-H., Park, D.-H., Ahn, J.-K., Park, I.-J. (2015). "Development of permanent displacement model for seismic mountain slop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1, No. 4, pp. 57-66. 

  23. Lee, S.-I., Seo, J.-I., Kim, J.-H., Ryu, D.-S., Seo, J.-P., Kim, D.-Y., Lee, C.-W. (2017).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on mountainous sediment-related disasters induced by earthquak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ol. 106, No. 4, pp. 431-440. 

  24. Ma, C., Wang, Y., Hu, K., Du, C., Yang, W. (2017). "Rainfall intensity-duration threshold and erosion competence of debris flows in four areas affected by the 2008 Wenchuan earthquake." Geomorphology, Vol. 282, pp. 85-95. 

  25. Ma, H.-S., Kang, W.-S., Enukwa, E.H. (2016). "Influence of cumulative rainfall on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in Korea." Journal of Geography and Geology, Vol. 8, No. 2, pp. 49-58. 

  26. Nam, D.-H., Lee, S.-H., Kim, M.-I., Kim, B.-S. (2018). "Calculation of rainfall triggering index (RTI)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debris flow."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8, No. 1, pp. 47-59. 

  27. Oh, J.-R., Park, H.-J. (2014). "Analysis of landslide triggering rainfall threshold for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Vol. 14, No. 2, pp. 115-129. 

  28. Park, D.-H., Lee, J.-H., Ahn, J.-K., Han, J.-T., Lee, J.-Y., Park, I.-J. (2014). "Development of prediction method considering geometrical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slope I: Analysis about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mountain slop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Vol. 14, No. 5, pp. 77-84. 

  29. Rodriguez, C.E., Bommer, J.J., Chandler, R.J. (1999).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1980-1997."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18, pp. 325-346. 

  30. Seo, J.-I., Lee, S.-I., Kweon, H.-K., Chun, K.-W., Kim, S.-W., Jun, K.-W., Kim, J.-H., Lee, C.-W. (2018).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response to mountainous sediment-related disasters induced by earthquakes in South Korea." Crisisonomy, Vol. 14, No. 3, pp. 119-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