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aaS(Mobility-as-a-Service)기반 공유자전거 서비스 모델연구
Service Model Research of Bicycle-sharing based on Mobility-as-a-Service (MaaS)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9 no.4, 2019년, pp.19 - 40  

왕양 ((주)백스테이지) ,  이성필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서비스디자인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ity as a Service: MaaS 는 지능형 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일종의 서비스구상으로, 이는 출행 체험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하나의 플랫폼에 다양한 교통 출행 방식을 집약하고, 사용자가 한 번의 지불을 통해 도어 투 도어(Door-To-Door)를 사용할 수 있는 전 과정 출행 서비스이다. 그러나, 독립적인 MaaS 플랫폼은 사용자 유동량이 적고 유보율이 낮다는 문제를 직면하기 쉬우며, MaaS의 서비스 모델은 아직 교통시장에 진입할 결정적 논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공유 자전거(bicycle-sharing)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공유 자전거에 MaaS 이념을 적용하여 새로운 출행 서비스를 구축함으로써, 공유 자전거의 서비스 모델을 최적화하고, MaaS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 공유 자전거와 MaaS 개념을 결합한 후, 비즈니스 모델, 출행 모델 및 서비스 아키텍처 방면의 혁신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의 MaaS-based bicycle-sharing서비스 모델에 대한 체험의 예상 결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MaaS-based bicycle-sharing은 조합 교통 방식, 출행과 환승, 결제 지불 등의 방면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융통성 있고 편리한 출행 경험을 제공하고, 수요에 따른 출행 서비스와 지속적인 교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ity as a Service is a service conception to achieve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aims to improve the travel experience. In one platform, it connects various transportation modes to offer service and users only need to pay in one time for the whole travel. But the single MaaS platf...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service model is so convenient that many people choose it instead of personal vehicles to complete your daily commut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 traditional community system, which lets human-centeredness integrate into intelligent mobility, and let bicycle-sharing of mobility service make new relationship with users and play a positive role in their society life.
  • Then, the research adopts a survey to make assessment of the service content experience, and through customer journey map to find mood swings of users when they use MaaS-based bicycle-sharing.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ervice model of MaaS-based bicycle-sharing is in accordance with the habit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On the one hand, the travel mode of MaaS bicycle-sharing offers flexible and convenient travel experience for user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립적인 MaaS 플랫폼이 직면하기 쉬운 문제는 무엇인가? Mobility as a Service: MaaS 는 지능형 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일종의 서비스구상으로, 이는 출행 체험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하나의 플랫폼에 다양한 교통 출행 방식을 집약하고, 사용자가 한 번의 지불을 통해 도어 투 도어(Door-To-Door)를 사용할 수 있는 전 과정 출행 서비스이다. 그러나, 독립적인 MaaS 플랫폼은 사용자 유동량이 적고 유보율이 낮다는 문제를 직면하기 쉬우며, MaaS의 서비스 모델은 아직 교통시장에 진입할 결정적 논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공유 자전거(bicycle-sharing)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공유 자전거에 MaaS 이념을 적용하여 새로운 출행 서비스를 구축함으로써, 공유 자전거의 서비스 모델을 최적화하고, MaaS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
MaaS란? Mobility as a Service: MaaS 는 지능형 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일종의 서비스구상으로, 이는 출행 체험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하나의 플랫폼에 다양한 교통 출행 방식을 집약하고, 사용자가 한 번의 지불을 통해 도어 투 도어(Door-To-Door)를 사용할 수 있는 전 과정 출행 서비스이다. 그러나, 독립적인 MaaS 플랫폼은 사용자 유동량이 적고 유보율이 낮다는 문제를 직면하기 쉬우며, MaaS의 서비스 모델은 아직 교통시장에 진입할 결정적 논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유 자전거와 MaaS 개념을 결합한 후, 비즈니스 모델, 출행 모델 및 서비스 아키텍처 방면의 혁신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의 MaaS-based bicycle-sharing서비스 모델에 대한 체험의 예상 결과에 대해 시험한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공유 자전거와 MaaS 개념을 결합한 후, 비즈니스 모델, 출행 모델 및 서비스 아키텍처 방면의 혁신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의 MaaS-based bicycle-sharing서비스 모델에 대한 체험의 예상 결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MaaS-based bicycle-sharing은 조합 교통 방식, 출행과 환승, 결제 지불 등의 방면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융통성 있고 편리한 출행 경험을 제공하고, 수요에 따른 출행 서비스와 지속적인 교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thur D. Little. (2018). The Future of Mobility 3.0. http://www.adlittle.com/futuremobilitylab/#1 

  2. Atkins Mobility. (2015). Journeys of the Future-Introducing Mobility as a Service. https://www.atkinsglobal.com/en-GB/angles/all-angles/journeys-of-the-future 

  3. Alvarez-Valdes, R., Belenguer, J. M., Benavent, E., Bermudez, J. D., Munoz, F., & Vercher, E., et al. (2016). Optimizing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of a bike-sharing system. Omega, (62), 163-175. 

  4. Banister, D. (2008). The sustainable mobility paradigm. Transport Policy, 15(2), 73-80. 

  5. Bartle, C., E. Avineri and K. Chatterjee (2011), Information-sharing and community building: a case-study amongst commuter cyclists. 43rd Universities' Transport Study Group Conference, Milton Keynes, UK, 5-7 January. 

  6. Botsman, R., & Rogers, R. (2010). What's mine is yours. The ris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7. CAICT & Mobike. (2018). 中?共享??行??展?告 (2018). http://www.caict.ac.cn/xwdt/hyxw/201804/t20180426_158046.htm 

  8. CIVITAS. (2016). Mobility-as-a-Service: A new transport model. Retrieved from http://civitas.eu/content/civitas-insight-18-mobility-service-new-transport-model 

  9. EMBARQ. (2014).Sustainable Mobility Trends around the World. https://wrirosscities.org/media/sustainable-mobility-trends-around-world 

  10. Fellander, A., Ingram, C., & Teigland, R. (2015). Sharing economy-embracing change with caution. In Naringspolitiskt Forum rapport (No. 11). 

  11. Hensher, D. A. (2017). Future bus transport contracts under a mobility as a service (MaaS) regime in the digital age: are they likely to chan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98, 86-96. 

  12. Hietanen, S. (2014). "Mobility as a Service"-The new transport model? Eurotransport, 12(2), 2-4. 

  13. Holmberg, P. E., Collado, M., Sarasini, S., & Williander, M. (2016). Mobility as a Service-MaaS: Describing the framework. In Tuesday, February 16, 2016. 

  14. Hwang, J., & Griffiths, M. A. (2017). Share more, drive less: Millennials value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 in us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service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34(2), 132-146. 

  15. Jittrapirom, P., Caiati, V., Feneri, A. M., Ebrahimigharehbaghi, S., Gonzalez, M. J. A., & Narayan, J. (2017). Mobility as a service: a critical review of definitions, assessments of schemes, and key challenges. Urban Planning, 2(2). 

  16. Kamargianni, M., & Matyas, M. (2017). The Business Ecosystem of Mobility-as-a-Servic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7. Klein, N. J., & Smart, M. J. (2017). Millennials and car ownership: Less money, fewer cars. Transport Policy, 53, 20-29. 

  18. Konig, D., Eckhardt, J., Aapaoja, A., Sochor, J. & Karlsson, M. (2016). Business and operator models for Mobility as a Service (MaaS) (Deliverable 3 to the MaaSiFiE project). Brussels: Belgium. 

  19. Kramer, M. P. (2001). Strategy and society: The link between competitive advanta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rvard business review. 

  20. MaaS Alliance. (2017). White Paper-guidelines & recommendations to create the foundations for a thriving MaaS ecosystem. 

  21. Mark S., Helen C., Yong T.. (2018). Mobility as a Service: The Next Transport Disruption-A Perspective from China. https://www.lek.com/insights/mobility-service-next-transport-disruption-perspective-china 

  22. Michael, D. (2018).Defining generations: Where Millennials end and post-Millennials begin. http://www.pewresearch.org/fact-tank/2018/03/01/defining-generations-where-millennials-end-and-post-millennials-begin/ 

  23. Mont, O., Lehner, M., & Heiskanen, E. (2014). Nudging: A Tool for Sustainable Behaviour?. Swed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4. Osterwalder, A., & Pigneur, Y. (2010). Business model generation: a handbook for visionaries, game changers, and challengers. John Wiley & Sons. 

  25. Piramuthu, O. B., & Zhou, W. (2016). Bicycle Sharing, Social Media,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2078-2083). IEEE. 

  26. Sochor, J., Stromberg, H., & Karlsson, I. M. (2015). Implementing mobility as a service: challenges in integrating user, commercial, and societal perspectiv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536), 1-9. 

  27. Shaheen, S., Guzman, S., & Zhang, H. (2010). Bikesharing in Europe, the Americas, and Asia: past, present, and futur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143), 159-167. 

  28. Venable, J. R., Pries-Heje, J., Bunker, D., & Russo, N. L. (2010). Creation, transfer, and diffusion of innovation in organizations and society: information systems design science research for human benefit., 318(4), 1-10. 

  29. Wang, K., Akar, G., & Chen, Y. J. (2018). Bike sharing differences among millennials, Gen Xers, and baby boomers: Lessons learnt from New York City’s bike shar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116, 1-14. 

  30. Wong, Y. Z., Hensher, D., & Mulley, C. (2018). Emerging transport technologies and the modal efficiency framework: A case for mobility as a service. International Conference Series on Competition and Ownership in Land Passenger Transport, 13-17. 

  31. ZHU, D, J. & SHE, Y, S. (2016). From Possession to Use-An Interview with Dajian Zhu on Sharing Economy and Sharing City. Landscape Architecture Frontiers, (3), 32-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