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과(기술·가정)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이론적 교수역량과 교수효능감의 관련성 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e, and Teaching Efficacy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7 no.3, 2019년, pp.383 - 393  

김은정 (중동중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among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PTC) and teaching efficacy (TE), and explored the mediation effects of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e (TTC) between the PTC and TE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여러 가지 교육 방법을 수업에 도입하여 학생의 내적 흥미와 자발성을 자극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한다. 그리고 자신의 교수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보적이고 혁신적인 교수 방법을 시도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과(기술·가정) 중 가정생활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과 이론적 교수역량, 교수효능감의 수준을 비교하고, 실천적 교수역량과 이론적 교수역량, 그리고 교수효능감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실과(기술·가정)의 가정생활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실천적 교수역량과 이론적 교수역량, 그리고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중심으로 초·중등교사를 위한 교수 역량과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이론적 교수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 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 1983).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교수효능감을 학교 현장에서 실현할 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신념으로 정리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과(기술·가정) 중 가정생활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과 이론적 교수역량, 교수효능감의 수준을 비교하고, 실천적 교수역량과 이론적 교수역량, 그리고 교수효능감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때 초등과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내용의 차이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이론적 교수역량이 실천적 교수역량과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과(기술· 가정) 교과의 가정생활 분야를 가르치는 초·중등 교사의 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단편적 이해에서 벗어나 총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이론적 교수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사양성기관의 중요성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실과(기술· 가정) 교과의 가정생활 분야를 가르치는 초·중등 교사의 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단편적 이해에서 벗어나 총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이론적 교수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사양성기관의 중요성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렇듯 교수역량을 실천적·이론적 교수역량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과, 가정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 교수역량에 대한 연구들은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초등의 실과교사와 중등의 가정과교사를 비교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므로 본 연구에서 두가지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을 초등과 중등교사를 비교하여 측정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미래 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두는 이유는? 이전의 교육과정이 학교와 교사에 의한 교과 지식과 내용의 전달이었다면, 역량 중심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디지털 제조 혁명, 사물 인터넷, 모바일 금융 혁명, 합성생물학, 그리고 로봇 시대를 대표하는 4차 산업혁명(Klaus, 2016)과 AI, 바이오산업 등의 5차 산업혁명에서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과 새로운 미래 인재 양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량은 어떻게 규정되는가? 역량(competency)에 대한 논의는 직업 세계에서의 업무성과와 관련하여 제시된 개념이었다(McClelland, 1973). 그 후 역량은 역할 수행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개인의 내재적 특성이나 개인의 능력 특성(Boyatzis, 1982; McLagan, 1980)으로 규정되어 왔다. 또한 Spencer & Spencer (1993)는 직무나 상황에서 뛰어난 수행이나 준거 관련 효과와 연관된 개인의 특성에 기초를 두었다.
실과(기술·가정)를 담당하는 교사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러한 인식의 결과는 실과(기술·가정)의 가정생활 분야를 담당하는 교사의 특성과 관련된다. 실과(기술·가정)를 담당하는 교사는 초등의 경우 초등학교 5, 6학년의 담임 혹은 실과 전담교사, 중등의 경우는 가정, 기술·가정 교사자격을 갖춘 교사이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 담임은 10개 교과를 거의 혼자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상대적으로 관심과 부담이 적은 실과교육은 제한된 수업 시수와 실험·실습 장비의 부족 등의 이유로 단순한 이론의 전달로 그치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rmor, D., Conroy-Oseguera, P., Cox M., King, N., McDonnell, L., Pascal, A., et al. (1976). Analysis of the school preferred reading programs in selected Los Angeles minority schools (Report No. R-2007-LAUSD).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2. Ashton, P., Webb, R., & Doda, C. (1983). A study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inal Report, Executive Summary). Gainesville: University of Florida. 

  3. Bae, S. (2012). Comparison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5(2), 193-211. 

  4. Baek, S. G., Ham, E. H., Lee, J. Y., Shin, H. J., & Yu, Y. L. (2007). A theoretical inquiry on the construct for teaching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Asia Pacific Education, 8(1), 47-69. 

  5. Bang, G. H., & Seo, S. W. (2001). Character and philosophy explor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primary school.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14(3), 47-64. 

  6.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9. Boyatzis, R. E. (1982). The computer manager: A model of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0.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6(4), 569-582. http://dx.doi.org/10.1037/0022-0663.76.4.569 

  11. Han, Y. H. (2007). Study on the perception to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2. Hwang, E. H. (2008). An empirical study on teaching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3. Hwang, E. H., & Baek, S. G. (2008).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results between self-reported evaluation and experts' evaluation of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2), 53-74. 

  14. Jin, E. N., & Ryu, S. H. (2016). Perception on key competencies in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of expert group.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9(2), 61-75. https://doi.org/10.20954/jkpae.2016.06.29.2.61 

  15. Kang, K. S., & Park, C. (2013). The relationship among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 efficacy, and learning organization in school organizatio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1(2), 309-337. https://doi.org/10.25152/ser.2013.61.2.309 

  16. Kim, A. Y. (2012), Teacher efficacy: The key factor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1), 63-84. 

  17. Kim, E. J., & Lee, Y. J. (2017). A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1), 57-70. https://doi.org/10.19031/jkheea.2017.03.29.1.57 

  18. Kim, H. J., & Lee, B. R. (1999).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6(1), 161-181. 

  19. Kim, H. S. (2014).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7(4), 289-302. 

  20. Kim, S.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erformance, teaching knowledge,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motivation of TVET's teachers in Cambod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1. Klaus, S.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Crown Business. 

  22. Lee, H., Shin, J., Choi, H., & Lee, Y. K. (2011).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condary teachers' background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on teachers' teacher-efficac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2(4), 95-124. https://doi.org/10.15753/aje.2011.12.4.005 

  23. Lee, J. S., & Lee, H. S. (2009). Teacher effica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1), 21-34. 

  24. Lee, S. J. (2014). The eff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law-related education on teacher efficacy(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5.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6. McLagan, P. A. (1980). Competency models. Training & Development, 34(12), 12-23. 

  27. Medley, D. M., & Crook, P. R. (1980). Research in teacher competency and teaching tasks. Theory into Practice, 19(4), 294-301. 

  28. Ministry of Education. (2015).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clamation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2015-74[separate volume 10].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9. Nam, Y. J., & Chae, J. H. (2008).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self-supervision related to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 45-62. 

  30.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Summary of the final report. Swiss: OECD Press. 

  31. Park, Y. S., Kim, K. S., Park, K. Y., Jeon, J. S., Chung, K. H., & Yang, S. H. (2015). Synthesis and tasks of teacher policy in according to changes of teaching profession: Focused on competency development of teacher (Report RR 2015-0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Jincheon, Korea. 

  32.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33. Ross, J. A. (1992). Teacher efficacy and the effect of co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17(1), 51-65. https://doi.org/10.2307/1495395 

  34. Rotter, J. B. (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80(1), 1-28. http://dx.doi.org/10.1037/h0092976 

  35.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36. Smith, K. S., & Simpson, R. D. (1995). Validating teacher competencies for faculty members in higher education: A national study using the Delphi method. Innovative Higher Education, 19(3), 223-234. 

  37. So, K. H. (2007).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t's meaning and curricular implication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1-21. 

  38. So, K. H., Kang, J. Y., & Han, J. H. (2013). Review on competency-model for subject curriculum: Focusing on curriculum of England, Germany, and Canada.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3(3), 153-175. 

  39. Son, J. H, & Keum, J. (2012). Problem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5(1), 231-246. 

  40.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ley & Sons, Inc. 

  41. Stronge, J. H. (2007). Qualities of effective teachers. Virginia: ASCD. 

  42. Yang, Y.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by elementary school(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43. Yu, N. S. (2012).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dislik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class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2),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