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 및 출산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여성 기업가정신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함의
The Effects of Gender and Childbirth on Entrepreneurship: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of Female Entrepreneurship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4 no.5, 2019년, pp.93 - 104  

추승엽 (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  공혜원 (중앙대학교 미래일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의 기업가정신은 혁신을 추구하고 실패 위험을 감수하며 진취적으로 대응하여 기회를 선도하려는 보편적인 국민 개인들의 행동성향의 정도로서 국가 성장 잠재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 특히 저성장이 고착화되고 있는 한국의 경제상황에서는 전체 국민의 창업 및 경제활동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여성의 기업가정신을 제고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기업가정신 수준의 성별 차이 자체에 주목하는 것이 아닌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의 숨겨진 영향력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성별과 기업가정신 수준 간 관계에 있어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는 요인인 출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성별 및 출산의 독립적인 효과 이외에 이들 변수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검증한 모형에서는 성별 효과가 사라진 반면, 출산 변수와 성별 및 출산의 상호작용 변수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및 출산여부를 바탕으로 네가지 유형의 처리집단을 생성하여 기업가정신의 차이를 검증한 추가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 및 출산' 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에 비해 기업가정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나머지 처리집단들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성별 간 기업가정신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는 남녀의 고유한 특성 자체가 아닌 자녀출산 및 육아부담을 여성이 전적으로 감당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 효과가 중첩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기업가적 행동 성향을 억제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함으로서 여성의 창업 또는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trepreneurship can be a source of national growth potential as behavioral tendencies of people who seek innovation, take risks of failure, and proactively respond to opportunities. In particular, in the economic situation of Korea where growth has been stagnat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험적으로 관찰되는 기업가정신의 성별 간 차이 가 나타나는 현상 자체가 아닌 그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의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성장잠재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여성 기업가정신 촉진 정책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성별과 기업가정신 수준 간 관계에 있어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서 출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 수준에 있어서 단순히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기업가정신 수준 간 관계에 있어 대표적인 한국적 맥락요인으로서 자녀출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사회적 맥락으로서 출산을 고려하는 것은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성이 높은 비중으로 출산 및 육아에 대한 부담을 감당하고 있으며, 출산 후 경력 단절을 경험한 다수 여성이 노동시장 재진입에 어려움을 겪거나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숙련·저임금 직종에 한정된다는 현상에 근거한 것이다(김정호, 2013; 전혜진·박재환, 2015).
  • 특히 한국에서는 여성의 자녀출산 및 육아로 인한 부담이 여성의 기업가정신 수준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사회적 맥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국가 기업가정신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맥락요인으로서 자녀 출산의 효과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한 다음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 수준에 있어서 단순히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기업가정신 수준 간 관계에 있어 대표적인 한국적 맥락요인으로서 자녀출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출산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들 독립 변수들의 곱의 형태(성별×출산)로 상호 작용 변수를 생성하여 분석에 반영하였다.
  • 본 연구는 경험적으로 관찰되는 기업가정신의 성별 간 차이 가 나타나는 현상 자체가 아닌 그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의 영향에 주목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성장잠재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여성 기업가정신 촉진 정책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성별과 기업가정신 수준 간 관계에 있어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서 출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수준의 성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요인으로서 자녀출산과 육아부담의 성역할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은 스웨덴 등 유럽의 여성 친화적 평등 문화 또는 미국 등의 자유주의 노동시장 문화와 달리 남성이 높은 수준으로 가족을 부양하는 유교적 전통의 가족지향적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Sung, 2014).
  • 본 연구의 다음과 같은 의의와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공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관련 연구분야에 있어서 경험적 결과에 입각하여 전제되어 왔던 성별의 효과의 가정 (기업가정신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존재하며, 여성이 기업가 정신을 추구할 가능성이 적고 사업상 성공을 거두지 못함)에 대한 본질을 규명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기존 연구들은 성별 요인을 기업가정신을 결정하는 여러 요인 중 독립적인 하나의 요인으로 인식하여 직접적인 효과를 파악하거나, 다른 기업가정신 관련 변수들 간 관계에 서 통제변수의 역할로 활용하여 왔다(김종호, 2008; 추승엽·공혜원, 2019; Koellinger, et al, 2013; Shinnar, et al.

가설 설정

  • 연구가설: 자녀출산은 성별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장점은?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그 국가 내에서 경쟁과 혁신 그리고 시장구조의 변화를 촉진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 고 실업률을 감소시킴으로서 경제성장에 직간접적으로 기능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umpeter, 1942; Audretsch & Thurik, 2001; Audretsch et al., 2002; 김종호·오준병, 2009; 이 민규·이윤준, 2013).
특정 국가에 형성된 문화적 가치와 기업가 정신 수준의 관계는? 즉,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는 각 성별에 내재된 고유의 특성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속한 그 국가의 사회적 맥락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Walter & Dohse, 2012). 특정 국가에 형성된 문화적 가치는 각 성별에 직업선 택에 있어서의 사회적 역할 및 고정 관념을 형성하여 기업가 정신 수준의 성별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Zahra & Wright, 2011; De Vita et al., 2014).
'여성 및 출산'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기업가정신이 유의하게 낮은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한 성별 및 출산여부를 바탕으로 네가지 유형의 처리집단을 생성하여 기업가정신의 차이를 검증한 추가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 및 출산' 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에 비해 기업가정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나머지 처리집단들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성별 간 기업가정신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는 남녀의 고유한 특성 자체가 아닌 자녀출산 및 육아부담을 여성이 전적으로 감당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 효과가 중첩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기업가적 행동 성향을 억제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함으로서 여성의 창업 또는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udretsch, D. B., Carree, M. A., Van Stel, A. J., & Thurik, A. R.(2002). Impeded Industrial Restructuring: the Growth Penalty. Kyklos, 55(1), 81-98. 

  2. Audretsch, D. B., & Thurik, R.(2001). Linking Entrepreneurship to Growth.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Working Papers, 2001/2, OECD Publishing. 

  3. Baron, R. A., & Henry, R. A.(2011). Entrepreneurship: the genesis of organizations, in Zedeck, S. (Ed.). AP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 APA, Washington, DC, 241-73. 

  4. Blau, F., & Ferber, M.(1992). The Economics of Women, Men,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1992. 

  5. Bosma, N., Jones, K., Autio, E., & Levie, J.(2008).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Executive Repor, Babson Park. MA and London, UK: Babson College and London Business School, 5-20. 

  6. Buttner, E. H., & Moore, D. P.(1997). Women's Organizational Exodus to Entrepreneurship: Self-reported Motivations and Correlates with Succes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5, 34-46. 

  7. Choo, S. Y., & Kong, H.(201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ship in Korea: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ity, 14(2), 104-122. 

  8. Covin, J. G., & Slevin, D. P.(1989). Strategic Management of Small Firms in Hostile and Benign Environment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1), 75-87. 

  9. De Bruin, A., Brush, C. G., & Welter, F.(200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owards Building Cumulative Knowledge on Women'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0(5), 585-593. 

  10. DeMartino, R., & Barbato, R.(2003).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MBA Entrepreneurs: Exploring Family Flexibility and Wealth Creation as Career Motivato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8(6), 815-832. 

  11. DeMartino, R., Barbato, R., & Jacques, P. H.(2006). Exploringthe Career/achievement and Personal Life OrientationDifferences between Entrepreneurs andNonentrepreneurs: the Impact of Sex and Dependents.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44(3), 350-68. 

  12. DeTienne, D. R., & Chandler, G. N.(2007). The Role of Gender in Opportunity Identific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3), 365-386. 

  13. De Vita, L., Mari, M., & Poggesi, S.(2014). Women Entrepreneurs in and from Developing Countries: Evidences from the Literature. European Management Journal, 32(3), 451-460. 

  14. Gatewood, E. J., Shaver, K. G., Powers, J. B., & Gartner, W. B.(2002). Entrepreneurial Expectancy, Task Effort, and Performanc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7(2), 187-206. 

  15.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2007). Executive Report. 2007 & each year. 

  16. Greve, A., & Salaff, J. W.(2003). Social networks and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8(1), 1-22. 

  17. Harrison, R. T., & Mason, C. M.(2007). Does gender matter? Women business angels and the supply of entrepreneurial financ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3), 445-472. 

  18. Jeon, H. J., & Park, J. W.(2015). A Study on Change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on Wome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2), 85-96. 

  19. Kim, J. H.(2008). Korean Entrepreneurship and its Determinants,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2008(11), 53-66. 

  20. Kim, J. H., & Oh, J. B.(2009).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ion,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Growth.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IET). 

  21. Kim, J. H.(2013). Cause and Consequence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Female Workers. The Review of Social & Economics Studies, 41, 97-127. 

  22. Kim, J. Y.(2010). Women's Career Discontinuance and Labor Market Re-entry. Labor review, 2010(8), 36-50. 

  23. Koellinger, P., Minniti, M., & Schade, C.(2013).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Propensit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5(2), 213-234. 

  24.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2014). Development of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Seoul: KoreaEntrepreneurship Foundation. 

  25.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2017). 2017 Entrepreneurship Survey: Individuals. Seoul: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26.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2018). In-depth Study of 2018 Entrepreneurship Survey. Seoul: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27. Kreiser, P. M., Marino, L. D., & Weaver, K. M.(2002). Assess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ntrepreneurial Scale: A Multi-country Analysi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6(4), 71-92. 

  28. Langowitz, N., & Minniti, M.(2007). The Entrepreneurial Propensity of Wome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3), 341-364. 

  29. Lee, M. K., & Lee, Y. J.(2013). A Study on Impacts of Entrepreneurship on National Economic Growth:Focusing on GEM Data.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35(4), 217-234. 

  30.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31. Lumpkin, G. T., & Dess, G. G.(1996).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1), 135-172. 

  32. Lumpkin, G. T., Cogliser, C. C., & Schneider, D. R.(2009). Understanding and Measuring Autonomy: A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erspectiv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1), 47-69. 

  33. McClelland, D. C.(1965). N Achievement and Entrepreneurship: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389-392. 

  34. McWhirter, E. H.(1997).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1), 124-140. 

  35. Miller, D.(1983).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29(7), 770-792. 

  36.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2019). Summary of Budget for FY 2019. Sejong: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37. OECD(2017). Economic Policy Reforms: Going for Growth.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8. Parasuraman, S., & Simmers, C. A.(2001). Type of Employment, Work-family Conflict and Well-being: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551-568. 

  39. Schumpeter, J. A.(1942).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New York: Harper & Brothers. 

  40. Schwab, K.(2018).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8, In: World Economic Forum. Retrieved(Aug. 2nd, 2019) from https://www.weforum.org/reports/the-global-competitveness-report-2018. 

  41. Shane, S., Locke, E. A., & Collins, C. J.(2003). Entrepreneurial Motiv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3(2), 257-279. 

  42. Shinnar, R. S., Hsu, D. K., & Powell, B. C.(2014).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Gender: Assess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Longitudinall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12(3), 561-570. 

  43. Sohn, E. R., & Kim, K. H.(2002). The Factor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1), 121-139. 

  44. Statistics Korea(2019). 2018 Annual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ejon; Statics Korea. 

  45. Stevenson, H. H., & Jarillo, J. C.(1990). A Paradigm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1, 17-27. 

  46. Sullivan, D. M., & Meek, W. R.(2012). Gender and entrepreneurship: a review and process model.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7(5), 428-458. 

  47. Sung, S.(2014).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Policies in Korea: Towards an Egalitarian Regime, in Gender and Welfare States in East Asia: Confucianism or Gender Equalit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48. Walter, S. G., & Dohse, D.(2012). Why Mode and Regional Context Matter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24(9-10), 807-835. 

  49. Wieland, A., Kemmelmeir, M., & McKelvey, B.(2016). The Gender Congruence Bias in Entrepreneurship.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2016(1), Briarcliff Manor, NY 10510: Academy of Management, 2016. 

  50. Yang, I, S., & Kang M. J.(2012). A Search for a New Paradigm in the Policies to Develop Women's Enterprise.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51. Zahra, S. A., & Wright, M.(2011). Entrepreneurship's Next Act.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5(4), 67-83. 

  52. Zapalska, A.(1997). A Profiles of Woman Entrepreneurs and Enterprises in Poland.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5(4), 76-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