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 성별 및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Social Protection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3 no.6, 2018년, pp.129 - 141  

공혜원 (경기대학교 융합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기업가적 활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도 사회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개인적, 맥락적 차이 규명에 초점을 두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와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경험,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가 사회안전망과 같은 국가 맥락적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삼원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연구표본은 한국을 포함한 총 2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최소 2,00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총 40,388개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분석 도구는 Hayes의 Process를 활용하여 창업 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 성별, 성별 격차의 삼원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은 기업가 활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별 조절효과는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사회안전망이 높은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여성은 사회안전망이 높다고 인식할 경우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남성보다 기업가 활동의도가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본문에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se relationships. To test the hypothesis, we used GETR(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data that was collected by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창업경험, 기업가 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연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둘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연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 가설 1a, 2a, 3a를 검증하기 위해 Hayes기 제안한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Hayes, 2013). 본 연구는 20개 국가 표본을 활용했기 때문에 국가의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각 국가는 더미 변수 처리하여 국가가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한 후 가설 검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활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맥락적 특성을 사회안전망과 같은 사회문화적 특성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사회문화적 특성은 기업가의 태도와 행동을 형성할 수 있다(Shinnar, et al.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한계점을 토대로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들 관계에 조절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및 맥락 효과를 규명하기위해 성별 및 사회안전망과 같은 요인들을 제안하고, 이러한 요인들의 조절 및 삼 원 조절 효과에 대해 초점을 두고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한계점을 토대로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들 관계에 조절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및 맥락 효과를 규명하기위해 성별 및 사회안전망과 같은 요인들을 제안하고, 이러한 요인들의 조절 및 삼 원 조절 효과에 대해 초점을 두고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a: 창업경험은 기업가 활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b: 기업가정신 교육경험은 기업가 활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a: 창업경험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정(+)의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2a는 창업경험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정(+)의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
  • 가설 2b: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정 (+)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2b는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의 정(+)의 관꼐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β=-.
  • 가설 3a: 창업경험과 성별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사회안전망 수준에 따라 조절될 것이다.
  • 가설 3b: 기업가정신 교육과 성별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사회안전망 수준에 따라 조절될 것이다.
  •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식화한 결과, <그림 3>에서 나타내듯이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여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3b는 기업가정신 교육과 성별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사회안전망 수준에 따라 조절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 결과, 삼원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 (β=.
  • 계획행동이론은 태도와 행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대표적으로 (Ajzen, 1991), 기업가 활동의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를 화인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Schlaegel & Koenig, 2014; Krueger & Carsrud, 1993). 계획행동이론은 미래 행동은 의도에 의해 선행된다는 것을 가정한다. 즉, 개인이 특정 행동을 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을수록 실제 행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 그러나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는 성별 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사회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고유한 사회화 과정으로 인해 삶의 시작부터 여성과 남성의 경험 사이의 차이가 있음을 가정한다(Shirokova, et al., 2016). 예를 들어, 남성은 여러 방면에서 사회화 경험의 기회가 많지만, 여성은성 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해 사회적 경험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Martin, et al.(2013)은 메타분석 결과를 통해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정신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의도 (Entrepreneurial Intention)의 관계에 대해서는 통찰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일치하지 않는 결과들은 이들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절요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기업가정신 관련 주제들이 연구자 등으로부터 관심을 받는 이유는? 기업가정신은 사회·경제활동 참여가 경제성장 및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됨에 따라 기업가정신 관련 주제들은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여성 기업가정신은 경제 성장은 물론 고용 다양성을 향상한 다는 점에서 더욱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De Bruin et al.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가 성별 관점에서 조명될 필요가 있는 이유는? 기업가정신은 사회·경제활동 참여가 경제성장 및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됨에 따라 기업가정신 관련 주제들은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여성 기업가정신은 경제 성장은 물론 고용 다양성을 향상한 다는 점에서 더욱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De Bruin et al., 2006; Ramadan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8)

  1.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2. Armitage, C. J., & Conner, M.(2001).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eta-analy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4), 471-499. 

  3. Autio, E., Pathak, S., & Wennberg, K.(2013). Consequences of cultural practices for entrepreneurial behavior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44(4), 334-362. 

  4. Bae, T. J., Qian, S., Miao, C., & Fiet, J. O.(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Meta-Analytic Review,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8(2), 217-254. 

  5. Bandura, A.(1986). Fearful expectations and avoidant actions as coeffects of perceived self-inefficacy. 

  6. Becker, G. S.(1975). Front matter,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Second Edition, 22-20, NBER. 

  7. Bullough, A., De Luque, M. S., Abdelzaher, D., & Heim, W.(2015). Developing women leaders thr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9(2), 250-270. 

  8. Chen, C. C., Greene, P. G., & Crick, A.(1998). Do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distinguish entrepreneurs from manage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3(4), 295-316. 

  9. Davidsson, P., & Honig, B.(2003). The role of social and human capital among nascent entrepreneu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8(3), 301-331. 

  10. De Bruin, A., Brush, C. G., & Welter, F.(200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owards building cumulative knowledge on women'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0(5), 585-593. 

  11. De Vita, L., Mari, M., & Poggesi, S.(2014). Women entrepreneurs in and from developing countries: Evidences from the literature, European Management Journal, 32(3), 451-460. 

  12. Der Foo, M., Wong, P. K., & Ong, A.(2005). Do others think you have a viable business idea? Team diversity and judges' evaluation of ideas in a business plan competi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0(3), 385-402. 

  13. DeTienne, D. R., & Chandler, G. N.(2004). Opportunity identification and its role in the entrepreneurial classroom: A pedagogical approach and empirical test,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3(3), 242-257. 

  14. DeTienne, D. R., & Chandler, G. N.(2007). The role of gender in opportunity identific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3), 365-386. 

  15. Dickson, P. H., Solomon, G. T., & Weaver, K. M.(2008). Entrepreneurial selection and success: does education matter?, Journal of Small Business and Enterprise Development, 15(2), 239-258. 

  16. Dohse, D., & Walter, S. G.(2012). Knowledge contex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students, Small Business Economics, 39(4), 877-895. 

  17. Douglas, E. J., & Shepherd, D. A.(2002). Self-employment as a career choice: Attitud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utility maximiz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6(3), 81-90. 

  18. Dyer Jr, W. G.(1995). Toward a theory of entrepreneurial career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9(2), 7-21. 

  19. Eagly, A. H., & Kite, M. E.(1987). Are stereotypes of nationalities applied to both women and 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3), 451. 

  20. Eckel, C. C., & Grossman, P. J.(2003). Forecasting risk attitudes: An experimental study of actual and forecast risk attitudes of women and men, Virginia Tech Department of Economics Working Paper. 

  21. Engle, R. L., Schlaegel, C., & Delanoe, S.(2011). The role of social influence, culture, and gender on entrepreneurial intent, Journal of Small Business & Entrepreneurship, 24(4), 471-492. 

  22. Fayolle, A., & Lina, F.(2014). The future of research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7(5), 663-666. 

  23. Fini, R., Grimaldi, R., Marzocchi, G. L., & Sobrero, M.(2012).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in small and newly established firm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6(2), 387-414. 

  24. Gupta, V K, Turban, D B, Wasti, S A, & Sikdar, A.(2009). The role of gender stereotypes in perceptions of entrepreneurs and intentions to become an entrepreneu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2), 397-417. 

  25. Hayes, A. F.(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26. Hofstede, G.(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Sage publications. 

  27. Hwang, B. S., Ahn, J.M., & Kong, H. W.(210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tart-up Investment Stage of IT-based Enterprises,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4), 35-46. 

  28. Lee, J. K., Kim, H. C., & Ahn, T. H.(2014). Self-Efficacy and Firm Performance: The Rol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 Korean Management Review, 43(2), 561-586. 

  29. Lee, I. H.(2013). Mentoring Nascent Entrepreneurs: What Leads to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2), 47-52 

  30. Kanze, D., Huang, L., Conley, M. A., & Higgins, E. T.(2018). We Ask Men to Win and Women Not to Lose: Closing the Gender Gap in Startup Fund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61(2), 586-614. 

  31. Karimi, S., JA Biemans, H., Lans, T., Chizari, M., & Mulder, M.(2014). Effects of role models and gender on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European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8(8), 694-727. 

  32. Kautonen, T., Luoto, S., & Tornikoski, E. T.(2010). Influence of work histor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prime age' and 'third age': A preliminary study,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28(6), 583-601. 

  33. Kautonen, T., van Gelderen, M., & Fink, M.(2015). Robustnes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predi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ac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9(3), 655-674. 

  34. Krueger Jr, N. F., Reilly, M. D., & Carsrud, A. L.(2000). Competing model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5(5-6), 411-432. 

  35. Krueger, N. F., & Carsrud, A. L.(1993). Entrepreneurial intention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5(4), 315-330. 

  36. Kuckertz, A., & Wagner, M.(2010). The influence of sustainability orient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Investigating the role of business experie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5(5), 524-539. 

  37. Luthje, C., & Franke, N.(2003). The 'making'of an entrepreneur: testing a model of entrepreneurial intent among engineering students at MIT, R&d Management, 33(2), 135-147. 

  38. Maes, J., Leroy, H., & Sels, L.(2014).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 TPB multi-group analysis at factor and indicator level, European Management Journal, 32(5), 784-794. 

  39. Maresch, D., Harms, R., Kailer, N., & Wimmer-Wurm, B.(2016).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versus business studies university program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04, 172-179. 

  40. Martin, B. C., McNally, J. J., & Kay, M. J.(2013). Examining the formation of human capital in entrepreneurship: A meta-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8(2), 211-224. 

  41. McGee, J. E., Peterson, M., Mueller, S. L., & Sequeira, J. M.(2009).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refining the measur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4), 965-988. 

  42. Mian, S. A.(1997). Assessing and managing the university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2(4), 251-285. 

  43. Minniti, M., Bygrave, W. D., & Autio, E.(2005).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04 Report on Women and Entrepreneurship. 

  44. Minniti, M., & Naude, W.(2010). What do we know about the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female entrepreneurship across countries?: Springer. 

  45. Naguib, R., & Jamali, D.(2015). Female entrepreneurship in the UAE: a multi-level integrative lens, Gender in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30(2), 135-161. 

  46. Neck, H. M., & Greene, P. G.(2011). Entrepreneurship education: known worlds and new frontier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49(1), 55-70. 

  47. Neck, H. M., Greene, P. G., & Brush, C. G.(2014). Teaching entrepreneurship: A practice-based approach: Edward Elgar Publishing. 

  48. Nowinski, W., Haddoud, M. Y., Lancaric, D., Egerova, D., & Czegledi, C.(2017).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gender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Visegrad countries, Studies in Higher Education, 1-19. 

  49. Oosterbeek, H., van Praag, M., & Ijsselstein, A. (2010).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skills and motivation. European Economic Review, 54, 442-454. 

  50. Packham, G., Jones, P., Miller, C., Pickernell, D., & Thomas, B.(2010). Attitudes toward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Education+Training, 52(8/9), 568-586. 

  51. Pittaway, L., & Cope, J.(2007). Entrepreneurship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25(5), 479-510. 

  52. Politis, D., Winborg, J., & Dahlstrand, A. L.(2012). Exploring the resource logic of student entrepreneurs,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30(6), 659-683. 

  53. Porter, M. E., & Schwab, K.(2008).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07-2008,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54. Pruett, M., Shinnar, R., Toney, B., Llopis, F., & Fox, J.(2009). Explain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 cross-cultur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r & Research, 15(6), 571-594. 

  55. Ramadani, V., Hisrich, R. D., & Gerguri-Rashiti, S.(2015). Female entrepreneurs in transition economies: insights from Albania, Macedonia and Kosovo, World Review of Entrepreneurship,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11(4), 391-413. 

  56. Rauch, A., & Hulsink, W.(2015). Put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ere the intention to act lies: An investigation into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14(2), 187-204. 

  57. Robinson, P. B., Stimpson, D. V., Huefner, J. C., & Hunt, H. K.(1991). An attitude approach to the prediction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5(4), 13-32. 

  58. Schlaegel, C., & Koenig, M.(2014).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 A Meta-Analytic Test and Integration of Competing Model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8(2), 291-332. 

  59. Schott, T., Kew, P., & Cheraghi, M.(2015). Future Potential: A GEM Perspective on Youth Entrepreneurship. 

  60. Segal, G., Borgia, D., & Schoenfeld, J.(2005). The motivation to become an entrepreneur,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r & Research, 11(1), 42-57. 

  61. Sesen, H. (2013). Personality or environment?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Training, 55(7), 624-640. 

  62. Shinnar, R. S., Giacomin, O., & Janssen, F.(2012). Entrepreneurial perceptions and intentions: The role of gender and cultur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6(3), 465-493. 

  63. Shirokova, G., Osiyevskyy, O., & Bogatyreva, K.(2016). Exploring the intention-behavior link in student entrepreneurship: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uropean Management Journal, 34(4), 386-399. 

  64. Souitaris, V., Zerbinati, S., & Al-Laham, A.(2007). Do entrepreneurship programmes rais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effect of learning, inspiration and resourc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2(4), 566-591. 

  65. Thebaud, S.(2010). Gender and entrepreneurship as a career choice: do self-assessments of ability matter?,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3(3), 288-304. 

  66. Thompson, E. R.(2009). Individual entrepreneurial intent: Construct clarification and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ly reliable metric,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3), 669-694. 

  67. Von Graevenitz, G., Harhoff, D., & Weber, R.(2010).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76(1), 90-112. 

  68. Wagner, J.(2007). What a difference a Y makes-female and male nascent entrepreneurs in Germany, Small Business Economics, 28(1), 1-21. 

  69. Walter, S. G., & Dohse, D.(2012). Why mode and regional context matter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24(9-10), 807-835. 

  70. Welter, F.(2011). Contextualizing entrepreneurship-conceptual challenges and ways forward,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5(1), 165-184. 

  71. Wennekers, S., Thurik, R., van Stel, A., & Noorderhaven, N.(2007). Uncertainty avoidance and the rate of business ownership across 21 OECD countries, 1976-2004, Journal of Evolutionary Economics, 17(2), 133-160. 

  72. Westhead, P., & Solesvik, M. Z.(2016).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Do female students benefit?,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Researching Entrepreneurship, 34(8), 979-1003. 

  73. Wilson, F., Kickul, J., & Marlino, D.(2007). Gend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s: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1,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3), 387-406. 

  74. Yang, J. H. (2014).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65-77. 

  75. Yordanova, D. I., & Tarrazon, M. A.(2010).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intentions: Evidence from Bulgaria, Journal of Developmental Entrepreneurship, 15(03), 245-261. 

  76. Zahra, S. A., & Wright, M.(2011). Entrepreneurship's next act,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5(4), 67-83. 

  77. Zhang, Y., Duysters, G., & Cloodt, M.(2014). The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predictor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0(3), 623-641. 

  78. Zhao, H., Seibert, S. E., & Hills, G. E.(2005).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6), 126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