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기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of Actor's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Focused on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4 no.5, 2019년, pp.127 - 139  

박재훈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  허철무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기자를 대상으로 감정부조화를 매개변수로 하여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감정노동을 내면행위와 표면행위로 구분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보상부적절과 관계갈등의 하위변수로 구분하였다. 주로 서울시와 경기도 일원에 거주하는 연기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400부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0을 사용한 분석결과 첫째, 표면행위만 보상부적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내면행위와 표면행위는 모두 관계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행위만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부조화는 보상부적절과 관계갈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표면행위가 감정부조화를 매개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로는 조절변수가 도입된 조건부과정 모형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이나 감정부조화외에 다른 매개변수의 발굴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using emotional dissonance as a mediator. Emotional labor is classified into the deep acting and the surface acting, and job stress is classified into sub - variables of the lack of reward and the relationship conf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부조화의 부정적인 영향은? 이처럼 감정부조화는 불일치, 부조화라는 특성으로 인해 일차적으로 심리적 불편, 침체, 비인격화, 불만족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이와 같은 부정적 영향이 누적됨으로 인해 감정적 자율성의 위협이라는 이차적 결과까지 나타날 수 있다(Brotheridge & Grandey, 2002).
연기자란?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따르면 연기자는 “연극, 영화, TV드라마의 등장인물로 출연하여 대본과 감독의 연출에 따라 연기하는 사람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한국 고용정보원, 2018).
내면행위의 감정노동 강도가 더 높은 이유는? 표면행위는 조직원이 실제 느끼는 감정 대신에 조직으로부터 요구된 표현규칙에 의거하여 감정을 표현 하는 것으로 조직원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얼굴 표정이나 신체적 표현을 꾸며내고, 실제로 느끼지 않는 감정을 가장하여 표현하는 것을 말하며, 내면행위는 자신이 표현 하고자 하는 감정을 실제로 느끼거나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Hoschchild, 1983). 실제 자신의 내적인 감정까지 조직으로부터 요구된 표현규칙 상의 감정과 일치시키도록 노력해야 하기 때문에 표면행위보다 감정노동의 강도가 더 높다고 할 수있다.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간의 큰 차이점은 감정을 느끼기 위해 시도하는 노력인데, 표면행위는 정직하지 못하게 행동하는 것이고 내면행위는 정직하게 행동하는 것이다(Diefendorff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D. H., & Park, J. C.(2009).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Dissonance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e Hotel's Employe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9(9), 335-345. 

  2. Ashforth, B. E., & Humphrey, R. H.(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3. Bakker, A. B., & Heuven, E.(2006).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in-role performance among nurses and police offi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3(1), 423-440. 

  4. Brotheridge, C. M., & Grandey, A. A.(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5. Cho, H. J.(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Airline Employees' Job Stress on Their Burnout.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6. Cho, J. J., & Jang, S. J.(2005). Developing and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7. Choi, Y. H.(2012).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Attitudes among Resort Employees. Doctoral dissertation, Sangji University. 

  8. Cooper, C. L., & Marshall, J.(1976). Occupational source of str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9. Diefendorff, J. M., Croyle, M. H., & Grosserand, R. H.(2005).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 339-357. 

  10. Grandey, A. A.(2003).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86-96. 

  11. Gross, J.(1998). Antecedents 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syc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1), 224-237. 

  12. Heo, W. S.(2017). Study on the influence of incongruity of emotions, work stress, and duty satisfaction of the emotional labor practitioners on the intention of career change.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13. Hoschchild, A. R.(1983). The managed heart.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Jang, D. I.(2016). Relationship Conflic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Emotional Exhaustion and Positive Affective Delivery in Organ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15. Kang, T. R.(2013). Study on job stress,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6. Karatepe, O. M., & Aleshinloye, K. D.(2009).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hotel employees in Nig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8(1), 349-358. 

  17. KEIS(2018).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Chungbuk Eumseong: KEIS. 

  18. Kenworthy, J., Fay, C., Frame, M., & Petree, R.(2014).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4(1), 94-105. 

  19. Kim, B. Y.(2016).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 Kim, G. Y., Park, J. G., Hwang, S. G., Ryu, Y. S. & Kim, J. D.(2010). Drama Dictionary. Seoul; MoonYeRim. 

  21. Kim, Y. S.(2003). Causality Analysis on the Job Stress, Mediation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Art Performer.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2. Ko, J. S.(2010). A Study on the Modification Variable of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by Self Efficacy. Korea Business Review, 64, 335-359. 

  23. Ko, M. R.(1995).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Emotional Labour: Criticism of western logocentrist notion of labour.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4. Lee, H. S.(2014). A Study on Gagmen's Emotional Labor.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5. Lee, H. Y.(2012). Research Methodology. Seoul; Cheongram. 

  26. Lee, I. H., & Kwon, S. J.(2018). Exploring the Change of Actors' Perception on Broadcasting Production Systems and Drama Production Components.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7), 47-62. 

  27. Lee, J. S.(2015). The study on influence of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the job stres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28. Lee, J. Y.(2012).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celebrity.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9. Lee, S. H., & Kim, Y. H.(2014).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Role Stress of Hotel Employees. Tourism Research, 39(4), 285-312. 

  30. Lim, Albina.(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Focusing on Emotional Dissonance.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31. Lim, J. H.(2014). The influence of motivation level considere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32. Margolis, B. K., & Kroes, W. H.(1974). Occupational stress and strain(in Occupational Stress). Springfield: Thomas. 

  33. Morris, J. A., & Feldman, D. C.(1996).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 986-1010. 

  34. Park, B. G.(2008).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Attitude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5(1), 69-85. 

  35. Park, S. E.(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Perceived Display Rule Demands, Emotional Dissonance, and their Psychological Responses.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2(1), 25-53. 

  36. Park, J. H.(2009). A Study on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of Performer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37. Parker, D. E., & Decotiis, T. A.(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60-167. 

  38. Son, H, G.(2009).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ervice interaction types affecting on emotional labor: The case of employees of hotel restaurant and family restauran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3(2), 245-265. 

  39. Troman, G.(2000). Teacher stress in the low-trust society.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1, 331-353. 

  40. Zapf, D., Vogt, C., Seifert, C., Mertini, H. & Isic, A.(1999). Emotion work as a source of stres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Emotional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4), 371-400. 

  41. Zapf, D., & Holz, M.(2006).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motion work in organization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1), 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