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 및 호흡조건 변화에 따른 연기입자의 인체 호흡기 내 영역별 침착량 분석
Study on the Regional Deposition of Smoke Particles in Human Respiratory Tract under the Variation of Fire and Breathing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6, 2019년, pp.95 - 104  

구재학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는 가스상 물질과 이들을 흡착한 미연탄소 등의 입자상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연기 중 가스상 물질의 흡입에 의한 인체피해는 대부분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비하여 입자상 물질의 흡입에 의한 피해는 가스상의 흡착상태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장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입자상 물질이 호흡기벽에 침착하여 호흡기 및 순환기 계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관련하여, 침착되는 연기입자의 양과 호흡기 내 침착위치는 인체피해 산정의 중요한 요소인데, 이들은 연소조건에 영향을 받는 크기 및 농도 등 입자상태와 함께 호흡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흡입에 의한 인체피해 연구와 관련된 호흡기 내 연기입자 침착특성 파악을 위하여 연료종류, 연소조건 및 호흡조건에 따라 호흡기 내 영역별로 침착되는 연기입자의 입경에 따른 개수 및 질량 농도를 구하였다. 또한 각 조건별로 흡입연기의 일정기간 동안 호흡기 내 질량 침착량을 대기환경 미세먼지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oke generated in a fire consists of gaseous substances and particulate matter, such as unburned carbon that adsorbed the gases. Human injury caused by inhalation of gaseous substances present in smoke is mostly short-term, whereas damage caused by inhalation of particulate matter is relatively a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흡입유해성 정량화 연구를 위해서, 연료종류 및 연소조건에 따라서 발생한 연기입자의 크기별 농도에 대하여 호흡조건에 따른 호흡기 내 영역별 침착입자의 개수 및 질량 농도를 구하였다. 또한 피해정도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조건별 일정기간 흡입연기의 호흡기 내 질량 침착량을 대기환경기준에 따른 일정기간 미세먼지 질량 흡입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K. Friedlander, "Smoke, Dust and Haze: Fundamentals of Aerosol Behavior", Oxford Univ. Press, Oxford (2000). 

  2. G. W. Muholland, "Smoke Production and Propertie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Sec. 2, Chapter 13, pp. 258-268 (2002). 

  3. K. M. Butler and G. W. Mulholland, "Generation and Transportation of Smoke Components", Fire Technology, Vol. 40, pp. 149-176 (2004). 

  4. W. B. LI, "Internal Dosimetry - A Review of Progress", Jpn. J. Health Phys., Vol. 53, No. 2, pp. 72-99 (2018). 

  5. C. A. Pope Ill, "Epidemiology of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uman Health: Biologic Mechanisms and Who's at Risk?",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Vol 108, Supp. 4, pp. 713-723 (2000). 

  6. B. Giechaskiel, B. Alfoldy and Y. Drossinos, "A Metric for Health Effects Studies of Diesel Exhaust Particles",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40, pp. 639-651 (2009). 

  7. USEPA, "Air Quality Criteria for Particulate Matter", EPA/600/P-99/002a-bF, USEPA, RTP, NC, USA (2004). 

  8. R. G. Gann, J. D. Averill, K. M. Butler, W. W. Jones, G. W. Mulholland, J. L. Neviaser, T. J. Ohlemiller, R. D. Peacock, et al., "International Study on the Sublethal Effects of Fire Smoke on Survivability and Health (SEFS): Phase I Final Report", NIST Technical Note 1439 (2001). 

  9. T. Hertzberg and P. Blomqvist, "Particles from Fires - a Screening of Common Materials Found in Buildings", Fire and Materials, Vol. 27, pp. 295-314 (2003). 

  10. J. Goo, "Development of th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in a Compartment Fire", Fire Safety Journal, Vol. 47, pp. 46-53 (2012). 

  11. E. R. Weibel, "Morphometry of the Human Lung", Academic Press Inc., Springer-Verlag, New York (1963). 

  12. H. K. Chang and M. Paiva, "Respiratory Physiology: an Analytical Approach",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9). 

  13. W. C. Hinds, "Aerosol Techn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82). 

  14. C. Chio and C. Liao, "Assessment of Atmospheric Ultrafine Carbon Particle-induced Human Health Risk Based on Surface Area Dosimetry", Atmospheric Environment, Vol. 42, pp. 8575-8584 (2008). 

  15. ICRP, "Human Respiratory Tract Model for Radiological Protection: a Report of a Task Group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Oxford, UK:Elsevier Science Ltd. (ICRP Publication 66; Annals of the ICRP: Vol. 24, pp. 1-482) (1994). 

  16. T. C. Carvalho, J. I. Peters and R. O. Williams III, "Influence of Particle Size on Regional Lung Deposition - What Evidence is Ther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 406, pp. 1-10 (2011). 

  17. K. Oravisjarvi, M. Pietikainen, J. Ruuskanen, A. Rautio, A. Voutilainen and R. L. Keiski,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the Deposition of Traffic-related Particles into the Human Lungs in Silico",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9, pp. 4511-4518 (2011). 

  18. J. Rissler, E. Swietlicki, A. Bengtsson, C. Boman, J. Pagels, T. Sandstrom, A. Blomberg and J. Londahl,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Deposition of Diesel Exhaust Particles in the Human Respiratory Tract",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48, pp. 18-33 (2012). 

  19. J. Goo, "Study on the Real-tim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for each Fire Stage by Using a Steady-state Tube Furnace Method", Fire Safety Journal, Vol. 78, pp. 96-101 (2015). 

  20. J. Goo and C. H. Hwang, "Measurement of the Size Distribution of Smoke Particles with Plastic Types Under Various Fire Condition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6, pp. 8-15 (2017). 

  21. ISO/TS 19700, "Controlled Equivalence Ratio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Components of Fire Effluents" (2006). 

  22. J. A. Purser, D. A. Purser, A. A. Stec, C. Moffatt, T. R. Hull, J. Z. Su, M. Bijloos and P. Blomqvist,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ISO/TS 19700 Steady State Tube Furnace", Fire Safety Journal, Vol. 55, pp. 22-34 (2013). 

  23. C. V. Gulijk, J. C. M. Marijnissen, M. Makkee, J. A. Moulijn and A. Schmidt-Ott, "Measuring Diesel Soot with a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and an Electrical Low-pressure Impactor: Performance Assessment with a Model for Fractal-like Agglomerates",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35, pp. 633-655 (2004). 

  24. W. Hofmann, "Modelling Inhaled Particle Deposition in the Human Lung-A Review",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42, pp. 693-724 (2011). 

  25. H. Yeh and G. M. Schum, "Models of Human Lung Airways and Their Application to Inhaled Particle Deposition", Bulletin Math. Biology, Vol. 42, pp. 461-480 (1980). 

  26. J. Goo and C. S. Kim, "Theoretical Analyses of Particle Deposition in Human Lungs Considering Stochastic Variations of Airway Morphology",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34, pp. 585-602 (2003). 

  27. J. Goo and C. S. Kim, "Study on the Asymmetric Regional Deposition of Airborne Pollutant Particles in the Human Respiratory Tract", J. of KOSAE, Vol. 19, No. 5, pp. 551-560 (2003). 

  28. J. H. Goo, "Deposition of Inhaled Smoke Particles Produced by Fir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1, No. 1, pp. 64-73 (2007). 

  29. C. S. Kim and D. M. Fisher,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Aerosol Particles in Sequentially Bifurcating Airway Models",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1, pp. 198-220 (1999). 

  30. C. P. Yu and C. K. Diu, "Total and Regional Deposition of Inhaled Aerosols in Humans",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14, pp. 599-609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