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관리 합리화 방안 연구: 건축물 내화기준 중심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of Safety Management in Chemical Facilities: Focused on Architecture Fire Resistance Standard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3, 2019년, pp.91 - 97  

이은별 (화학물질안전원) ,  유병태 (화학물질안전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화학물질 안전관리는 환경부의 화학물질관리법이 기본이 되어 관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시설의 설치 및 관리기준을 강화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타 법과의 상충, 시설 규모 및 물질 특성 미반영 등으로 인한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취급시설 기준 중 건축물 내화기준에 대해 보다 현실적이면서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유사 화학물질 취급시설 안전관리 법령의 건축물 내화기준을 비교하였으며,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취급시설 기준 관련 민원 2220건 중 대표 민원 사례를 통해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학물질관리법상 취급시설의 규모와 물질의 종류를 구체화하여 건축물 내화기준을 적용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는 환경 유해성을 고려한 화학물질관리법의 기본 취지에 부합하고, 산업계에도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합리적인 기준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Chemical Control Act is the basis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safety management is being carried out. In particular, the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are strongly managed. There were problems in the early stages of i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합리적인 화학물질 취급시설의 건축물 내화기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유사 취급시설 안전관리 법령의 건축물 내화기준을 비교하였으며,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취급시설 기준 관련 민원 2220건 중 대표 민원 사례를 통해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 따라서, 건축물 내화기준의 합리화 적용을 위해서는 물질, 규모를 고려하여 적용 대상을 구체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화재의 위험성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 위험물안전관리법의 건축물 내화기준과 연계하는 것이 취급시설 안전관리제도의 취지에 부합하고 산업계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건축물 내화기준을 적용하는 시설의 규모와 물질의 종류에 대해 검토하여 화관법의 건축물 기준에 적용할 수 있는 합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를 위하여 국내 유사 취급시설 안전관리 법령의 건축물 내화기준을 비교하였으며,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국민신문고를 통해 접수된 취급시설 기준 관련 민원 2220건 중 대표 민원 사례를 통해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재 위험성을 고려한 위험물안전관리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취급시설의 규모와 물질의 종류를 구체화하여 건축물 내화기준을 적용하는 개선 방안을 통해 보다 현장 적용성이 높고 합리적인 취급시설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화학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다양한 화학물질 취급시설 안전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 시 확산 방지를 위한 건축물 내화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관법과 위험물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축물 내화 기준에 대해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관법의 화재·폭발 관련 건축물 내화기준 적용으로 발생하는 산업계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기준을 보다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준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해 관리되고 있는 국내 취급시설 안전관리제도 중 건축물 내화기준의 세부 내용과 적용 대상을 비교하였으며, 화관법 취급시설 기준과 관련하여 접수된 국민신문고를 분석하여 산업계에서 체감하고 있는 건축물 내화기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E. B. Lee and B. T. Yoo,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of Criteria for Facilities Handling Toxic Chemicals in Consideration of the Threshold Quantity", Crisisonomy. Vol. 14, No. 9, pp. 111-120 (2018). 

  2. E. K. Hwang, "Risk Management for Ammonia Unloading and Storage Tank Facil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3, No. 12, pp. 171-178 (2007). 

  3. Ministry of Environment (ME), www.me.go.kr. 

  4. D. H. Lee and B. T. Yoo, "A Study on Fireproofing Application by Fire Magnitud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2, No. 5, pp. 46-52 (2018). 

  5. J. H. Hwang "The Study of Improvement of Domestic Safety Statute of Passive Fire Protection System and Passive Explosion Protection System on Petrochemical Plant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4). 

  6. S. M. Ro, C. Y. Woo, I. M. Lee and Y. W. Hwang, "Firewall Design for Toluene & Methanol Outdoor Storage Tank in Case of Pool Fire Accidents",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5, No. 1, pp. 1-9 (2017). 

  7. Ministry of Environment (ME), Chemical Control Act. 

  8. National Fire Agency (NFA), Safety Control of Hazardous Substances Act. 

  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10. Korea Fire Safety Institute (KFSI), Hazardous Substances Practice Manual (2018). 

  11. S. E. Lee, K. H. Oh and H. J. Kim "A Study on GHS and the Hazardous Material Testing Method Defined by National Law of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 Proceedings of 2008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247-25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