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ie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in Europe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2 no.3, 2019년, pp.246 - 257  

이종호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  장후은 (경상대학교 산학협력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몇 년 사이에 산업위기지역 문제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어,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고용위기지역 등의 형태로 지원정책이 수립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탈공업화, 주력산업의 쇠퇴, 산업구조조정 등으로 말미암아 산업 및 고용의 위기에 직면한 지역들을 대상으로 한 지역산업정책의 추진 경험이 풍부한 유럽 선진국가들의 사례를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럽 선진국가들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지원정책의 패러다임과 초점은 시기별, 국가별로 상이하게 전개되어 왔고, 특히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지역정책의 주요한 이슈로 재조명되고 있다.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정책은 신내생적 발전 모델에 기초하여, 정책의 초점을 지역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두고, 전통적인 지역발전정책, 산업정책, 고용정책을 결합한 정책조합을 통해 다면적이고 종합적인 지역정책의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기존의 산업위기지역 정책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consider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ndustrial crisis areas in advanced European countrie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implementing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for regions facing industrial and employment crises due to deindustrialization, the decline of main industr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에서는 내생적 지역 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FER (Förrderungsaktionfür Eigenständige Regionalentalwicklung)를 설립하여, 초기에는 농촌 및 그 주변지역을 정책 대상으로 하였으나 점차 산업위기지역으로 확대하였다. FER는 지역에서 틈새 상품 및 산업을 개발하고 지역 비즈니스 협력을 촉진하며 지역 관리기관을 설립하는 등, 지역 내 전략 및 역량강화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촉진하고자 하였다.
  • 지역의 각종 문제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제도적 환경 개선에 대한 정책 대응도 증가하고 있다. 기업 및 지방정부의 역량을 제고하고 지역 주체 간 거버넌스를 강화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탈공업화, 주력산업의 쇠퇴, 산업구조조정 등으로 말미암아 산업 및 고용의 위기에 직면한 지역들을 대상으로 한 지역산업정책의 추진 경험이 풍부하게 축적되어 있는 유럽 선진국가들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라우시츠(Lausitz) 지역의 경우, 현재 석탄산업부문에 약 3만 개의 지역 일자리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기후 보호 계획 2050에 따라 이들의 현저한 고용 감소가 예상된다. 이에 특정지역 지원정책을 통해 노천갈탄 채굴과 석탄 화력발전으로부터 지역경제 구조 변화를 촉진하고자, 산업 재구조화 촉진, 고용안전망 확보, 일자리 창출, 인구감소 억제 등을 정책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730만 유로가 주로 비즈니스 투자, 산업단지, 관광 인프라, 혁신센터 등에 지원된다.
  • 더욱이 새로운 지역정책 모델이 등장하여, 지역정책 패러다임이 지역의 경쟁우위 창출 및 내생적 발전역량 강화로 전환되었다. 지역 내 내부 요인과 여건을 더욱 강조하고 이를 지역의 투자와 성장을 창출하는 열쇠로 보고, 기업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을 추진하였다. 지역정책은 지식경제, 학습 지역, 신지역주의와 같은 개념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혁신, 중소기업 지원 등을 강조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산업위기지역 정책과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정책의 차이점은? 유럽 선진국가들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지원정책의 패러다임과 초점은 시기별, 국가별로 상이하게 전개되어 왔고, 특히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지역정책의 주요한 이슈로 재조명되고 있다.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정책은 신내생적 발전 모델에 기초하여, 정책의 초점을 지역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두고, 전통적인 지역발전정책, 산업정책, 고용정책을 결합한 정책조합을 통해 다면적이고 종합적인 지역정책의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기존의 산업위기지역 정책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 산업위기지역 문제가 본격적으로 사회 이슈화된 시기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BIGKINDS)를 통해 2010년 1월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산업위기지역’ 또는 ‘고용위기지역’을 키워드로 검색해서 추출된 11,087개의 신문기사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는 이러한 트렌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그림1 참조). 국내에서 산업위기지역 문제가 본격적으로 사회 이슈화된 시기는 조선업의 장기 불황에 따른 산업구조조정과 그에 따라 조선업이 주력산업인 경남과 전남지역 지자체들의 지역경제 위기 문제가 본격화된 2016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018년 2월 13일 한국GM 군산공장의 폐쇄 결정에 따라 초래된 군산 지역경제의 급격한 쇠락은 산업위기지역 문제가 더 이상 특정 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사회경제적 아젠다로 부각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그림 2 참조).
정부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이유는? 이와 같이 산업 및 고용 위기지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대응은 2009년 8월 경기도 평택이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된 이래로, 관련 정책 추진 기간이 아직 10년 정도에 불과하다(한국고용정보원, 2018). 앞으로 한국경제의 산업구조 재편과정에서 지역경제의 산업 및 고용 위기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 않으므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 대응 마련이 요청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상호, 2018, "지역의 고용위기와 회복력, 그리고 지역리더쉽-조선업 고용위기 지역을 중심으로-," 2018 한국지역고용학회 하계 공동학술대회, pp. 311-338. 

  2. 이종호.이철우, 2016,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99-811. 

  3. 이종호.장후은, 2017, "영국의 대학기반 산학협력단지 관련 개념과 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214-227. 

  4. 전지혜.이철우, 2017,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 189-213. 

  5. 정준호, 2016,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82-798. 

  6. 한국고용정보원, 2018, 고용위기지역 지정 제도 개선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7. Beer, A., 2015,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me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ustralia," Local Economy 30(1), pp.21-40. 

  8. Berube, A. and Murray, C., 2018, Renewing America's Economic Promise through Older Industrial Cities, The Brookings Institution. 

  9. Birch, K., Mackinnon, D. and Cumbers, A., 2010, "Old Industrial Regions in Europe: A Comparative Assessment of Economic Performance," Regional Studies 44(1), pp.35-53. 

  10. Davies, S., 2017, Regional Policy in a Changing Europe, EoRPA Paper 17/1, European Policies Research Centre. 

  11. Eraydin, A., 2016, "The role of regional policies along with the external and endogenous factors in the resilience of regions,"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9(1), pp.217-234. 

  12. Giacometti, A., Teras, J., Perjo, L., Woien, M., Sigurjonsdottir, H. and Rinne, T., 2018, Regional Economic and Social Resilience: Conceptual Debate and Implications for Nordic Regions, Discussion paper prepared for Nordic thematic group for innovative and resilient regions, January 2018, Stockholm. 

  13. Hassink, R., Isaksen, A. and Trippl, M., 2019, "Toward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ew regional industrial path development," Regional Studies, DOI: 10.1080/00343404.2019.1566704. 

  14. Kemeny, T. and Storper, M., 2015, "Is Specialization Good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Regional Studies 49(6), pp.1003-1018. 

  15. Martin, F. and Laura, P., 2017, Regional policy intervention for industrial areas in crisis, European Policies Research Centre. 

  16. Martin, R. and Sunley. P., 2017, Competitiveness and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in Huggins, R. and Thompson, P. (eds.), Handbook of Regions and Competitiveness: Contemporary Theories and Perspective on Economic Development, London: Edward Elgar, pp.287-307. 

  17. McCann, P. and Ortega-Argiles, R., 2013, "Smart specialization, regional growth and applications to European Union Cohesion Policy," Regional Studies 49(8), pp.1291-1302. 

  18. Owen, G., 2012, Industrial policy in Europe since the Second World War: what has been learnt?, ECIPE Occasional paper, The European Centre for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Brussels, Belgium. 

  19. Vey, J., 2007, Restoring prosperity: the state role in revitalizing America's older industrial cities, Brookings (blog). 

  20. Ward, M., 2016, Enterprise Zone, Briefing Paper No.5942, UK: House of Commons Library. 

  21. 빅카인즈 www.bigkinds.or.kr 

  22. HM Government, https://enterprisezones.communities.gov.uk/ 

  23. Innovation Norway, https://www.innovasjonnorge.no/no/regional-omstilling/ 

  24. Invitalia, https://www.invitalia.it/cosa-facciamo/rilanciamo-le-aree-di-crisi-industrial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