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report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s of bloodletting therapy on the rhinitis patients. Methods : 2 patients with rhinitis were treated by bloodletting therapy. We evaluated the pre-and post-treatment symptoms by NRS(numbering rating scale) and TNSS(total nasal symptom scor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오래된 비염 환자 2례에 대한 한의 치험례이다. 비폐색과 재채기를 호소하는 환자 2례에게 비강사혈과 침치료를 4-5회 시행하여 NRS와 TNSS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10년 이상의 오래된 비염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임상적인 양상을 통해 각기 만성 비후성 비염과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단할 수 있는 두 환자에 대해비강사혈요법과 침 치료를 진행한 것으로, 진단과 평가에 있어 통일성을 기하거나 일반화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그 증례 수가 2례로 적고, 두 증례에서동일한 평가지표를 사용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다수의 환자와 다양한 비염질환에 비강사혈요법을 시술하여 보다 더 객관적인 자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의 연구를 참고하여 오래된 비염환자에게 비강사혈을 시술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외래로 내원한 환자 중 코막힘, 콧물, 재채기와 같은 비염의 임상증상을 호소하고 타 병원에서 비염진단을 받고 온 환자에게 비강사혈요법을 시술하여 2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만성 비후성 비염의 경우 중력방향으로의 코 막힘이 특징적인데9), 환자는 비강 사혈 치료 후 와위 시 심해지는 코 막힘과 그로 인한 수면장애가 소실되었다. 비교적 짧은 기간에 증상 경감에 만족해하며 치료를 종결하였고, 환자가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양약에 대한 기왕력이 길지 않았던 것도 한 이유가 되지 않았을지 추측해본다. 또한 후비루와 콧물이 없던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훌쩍인 것은 아마도 막힌 비강에 대한 보상성으로 생긴 습관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 연구 대상자에게 학술적 보고 목적으로 진료 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충분히 설명하였고, 이에 대한 동의하에 진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비강사혈 시술의 안정성을 확인한 신등17)의 연구를 참고하여 오래된 비염환자에게 비강사혈을 시술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외래로 내원한 환자 중 코막힘, 콧물, 재채기와 같은 비염의 임상증상을 호소하고 타 병원에서 비염진단을 받고 온 환자에게 비강사혈요법을 시술하여 2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강의 '비주기(nasal cycle)' 현상은 무엇인가? 비강에는 '비주기(nasal cycle)'라는 현상이 있어 일정한 주기로 좌우측의 비점막이 교대로 종창과 수축을반복 한다31). 이러한 비점막의 주기적 변화 때문에 측정시간에 따라 비폐색감이 변화하며, 실제 대부분의 비염이나 비중격만곡증 환자들이 양측 비점막의 최소 표면적이 차이 남에도 불구하고 비주기에 따라 비염이 있는비강이 뚫리기도, 비염이 없는 비강이 막히는 것도 그때문이다32).
만성 비후성 비염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비염은 鼻塞, 鼻漏, 噴嚔등의 증상을 위주로 가지며,그 원인과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인다. 알레르기 비염은 IgE를 매개로 한 비점막의 과민반응으로발작성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눈이나 코의 소양감을 나타내며8), 만성 비후성 비염은 좌우 교대성 혹은양측성의 비폐색과 후비루, 호흡성 후각장애, 수면장애가 그 특징이다9).
코 막힘과 이로 인한 수면장애를 가진 첫 번째 환자에게 비강사혈 치료 후 나타난 경과는 무엇인가? 또한 본인이 갖고 있는 질병의치료에 대해 어쩌면 무지하고 관심이 없었다고 볼 수있는 환자에게서 치료가능성을 설명하고 실제 치료를통해 만족도를 이끌어낸 것에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해당 환자는 코 막힘과 그로 인한 수면장애를 주된증상으로 호소하였는데, 첫 시술 직후 NRS가 9에서 4로 감소하였고 4회의 추가치료 이후 2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코 막힘과 수면장애 외에 소양감, 재채기, 콧물등의 증상은 존재하지 않아 TNSS는 시행하지 않았다.만성 비후성 비염의 경우 중력방향으로의 코 막힘이 특징적인 데9), 환자는 비강 사혈 치료 후 와위 시 심해지는 코 막힘과 그로 인한 수면장애가 소실되었다. 비교적 짧은 기간에 증상 경감에 만족해하며 치료를 종결하였고, 환자가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양약에 대한 기왕력이 길지 않았던 것도 한 이유가 되지 않았을지 추측해본다. 또한 후비루와 콧물이 없던 환자가 무의식적으로훌쩍인 것은 아마도 막힌 비강에 대한 보상성으로 생긴습관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ol MK, Huizing EH. Treatment of inferior turbinate pathology: A review and critical evaluation of a different techniques. Rhinology. 2000;38(4):157-66. 

  2. Doopedia. Nasal obstruction. 2019:8,30. Available from:URL: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3647 

  3. KIOSIS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8,30. Available from:URL: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83112&vw_cdMT_ZTITLE&list_id350_35001_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4. KIOSIS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8,30. Available from:URL: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18&vw_cdMT_ZTITLE&list_id117_11702_B0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5. KIOSIS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8,30. Available from:URL: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_12_Y091&vw_cdMT_ZTITLE&list_id117_11758_00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6.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Annual Report. 2017. 

  7. Lin HC, Lin PW, Su CY, Chang HW. Radiofrequency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refractory to medical therapy. Laryngoscope. 2003;113(4):673-8. 

  8. Cho SH, Jee SY. A Clinical Study on Allergic rhinitis.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2001;14(2):173-82. 

  9. Roh SS. Primary color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3rd ed. Daejeon:IBC. 2013:571-86. 

  10. Kim HK, Hong SU. 3 Cases of the effect of 8 Constitution Acupuncture on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2):251-60. 

  11. Kim JH, Kim CH. The Clinical Observations of 2 case of Allergic Rhinitis treated with Bee Venom Pharmacopuncture and acupuncture therapy.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09;12(2):99-105. 

  12. Kim JH, Ko JM, Lee SW, Kim GH, Go YJ, Lee RM. et.al.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Moxa-pellet Treatment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7;24(3):175-85. 

  13. Hwang-Bo M, Jeong MJ, Lim JH, Sul JU, Yang GY, Seo HW.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1;24(1):171-80. 

  14. Gang IA, Patk MK, Shin MG, Kim HS, Lee JS, Lee AR. et al. The Effect of Intranasal Bloodletting Therapeutics on the Allergic Rhinitis: Report of Eight Cases. The Jourm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ation Medicine Society. 2012;29(6):91-104. 

  15. Kang HC. A clinical Report of Jeon-zeong(癲證) with Chronic hypertrophic rhinitis by Blood-Letting therapy and other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Th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21(3)129-37. 

  16. Hong SJ, Choi GH, Song IS. A Clincal Study on the Effect of Intranasal Acupuncture Treatment on Pediatric Allergic Rhinitis.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11;25(2):15-26. 

  17. Shin MR, Kim HT, Ko HY, Kim YJ, Kim JB. Clinical trial for efficacy and safety with acupuncture & suction in nasal cavity on snoring patient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7;30(2):135-45. 

  18. Daniel, K. Ng, FRCP, Pok-yu Chow, FHKCPaed, Shun-pei Ming, et al.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Childhood Persistent Allergic Rhinitis. Pediatrics. 2004;114(5):1242-7. 

  19. KCDC. Chronic rhinitis. 2019:8,30. Available from:URL: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580 

  20. Kim CW. Current Update on Allergic Rhiniti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12;82(3):298-303. 

  21. Baek MG. Otorhinolaryngology. Seoul: Ilchokak. 1997:171-2. 

  22. Jang TW, Jeon YS, Choi YS, Bae SH. Long-Term Results of Laser Surgery for Nasal Hyper-Reactivity. Korean H Otolaryngol. 2004;47(4);335-9. 

  23. Oh HM, Lim NK, KIm JY, Kim DW, Choi DJ, Lee JS. The Efficacy of Posterior Resection of Inferior Turbinate on Patients Who Have Recurred Nasal Obstruction after Inferior Turbinate Surgery : Korean J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4;57(4):239-43. 

  24. Yun CH, Roh SS. A Literature study on the nasal stuffiness.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1999;12(1):295-312. 

  25. Park SG, Roh SS. A Literature study on the external treatment of nose diseases.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1997;10(2):155-7. 

  26. Nationwid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 Moxibustion, Meridianology classroom. Acupuncture & Moxibustion(II). Seoul:Jipmoondang. 1994:1046-8. 

  27. Cheon HS. A Study on the Blood-Letting Therapy of Lingshu.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Informatics. 2010;16(1):75-103. 

  28. Yook TH. Acupuncture Medicine. 4th ed. Seoul:Hanmibook.: 2016:139-41. 

  29. Chung SH, Lee SM, Jeon JH, Kim JH, Kim YI. The Research abou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Korean Medicine. 2013;22(1):105-18. 

  30. Park JK, Yim JH, Kim HH, Pa가 YJ, Park YB.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Medicine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 Survey Research.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2014;18(3):187-204. 

  31. Hasegawa M, Kern EB. The human nasal cycle. Mayo Clinic Proceeding. 1997;52(1):28-34. 

  32. Song YB. Cyclic Changes of Nasal Obstruction with Nasal Cycle in Septal Deviation Patient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7. 

  33. Dong RM. Practice Chinese Internal Medicine. Shanghai:Iljungsa. 1988:19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