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비강사혈 치험 8례
The Effect of Intranasal Bloodletting Therapeutics on the Allergic Rhinitis: Report of Eight Cases 원문보기

大韓鍼灸醫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v.29 no.6, 2012년, pp.91 - 104  

강일아 (동서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박민규 (동서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신민근 (동서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김효섭 (동서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이준석 (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이아람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 내과) ,  이재민 (동서한방병원 침구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Intranasal Bloodletting Therapeutics on the Allergic Rhinitis. Methods : 8 patients were treated by intranasal bloodletting therapeutics to recover from allergic rhinitis. The symtoms were evaluated by total nasal sympton score(TNS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비염의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알레르기 비염의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10~50% 정도로, 특히 아시아에서는 성인의 10~40%, 소아의 10~46%에서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을 만큼 임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3)이며 발생빈도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알레르기 비염이란?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성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의 3대 증상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비점막의 제1형 과민반응성 질환으로, 알레르겐이 비점막과 반응하여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분비샘의 과민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부종에 의해 코 막힘, 코 가려움증, 재채기 증상이 발생하고, 분비샘이 자극되어 콧물이 쏟아진다1).
알레르기 비염으로 내원한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7.4회의 비강사혈 치료를 시행하여 얻은 결론은? 1. TNSS는 평균 7에서 평균 1.875로 감소하였다. 2. VNRS는 평균 10에서 1.375로 변화되었다. 3. 비강사혈요법은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GB, Kim DG, Kim YH et al.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 Uiseongdang. 2010 : 745-51. 

  2. No SS. Wonsaekanibiinhugwahak. Seoul : Iljungsa. 1999 : 65. 

  3. Pawankar R.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the link, the new ARIA classification and global approaches to treatment.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4 ; 4 : 1-4. 

  4. Baek MG. Choesinibiinhugwahak. Seoul : Gunjachulpansa. 2002 ; 189-213. 

  5. Kay AB, Lessof MH. Allergy; conventional and alternative concepts;A report of the Royal Collerge of Physicians Committee on Clinical Immunology and Allergy. Clin Exp Allergy. 1992 ; 22(3) : 1-44. 

  6. Lau BH, Wong DS, Slater JM. Effect of acupuncture on allergic rhinitis : clinical and laboratory evaluation. Am J Chin Med. 1975 ; 3(3) : 263-70. 

  7. Xue CC, English R, Zhang JJ, Da Costa C, Li CG. Effect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seasonal allergic rhinitis :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Am J Chin Med. 2002 ; 30(1) : 1-11. 

  8. Wolkenstein E, Horak F. Protective effect of acupuncture on allergen provoked rhinitis. Wien Med Wochenschr. 1998 ; 148(19) : 450-3. 

  9. Park YC, Jo JH, Hong KE, Kang WC, Choi SM. Effect of Acupuncture on Nasal Obstruction in Patient with Persistent Allergic Rhin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2005 ; 22(4) : 229-39. 

  10. Kim HK, Hong SU. 3 case of effect of 8 constitution Acupuncture on Allergic Rhinitis. J Korean Otolarngol. 2009 ; 22(2) : 251-60. 

  11. Hwang BM, Jeong MJ, Lim JH, Yang GY, Sed HS.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J Korean Otolarngol. 2010 ; 23(3) : 216-24. 

  12. Kim JH, Ko JM, Lee SW.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Moxa-pellet Treatment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2007 ; 24(3) : 175-84. 

  13. Daniel, K. Ng, FRCP, Pok-yu Chow, FHKCPaed, Shun-pei Ming, BChinMed, Siu-hung Hong, BNursing, Sunny Lau, BSc, Debbie Tse, BSc, Wilson K. Kwong, FHKCPaed, Mui-fong Wong, BChinMed, Wilfred H. Wong, MMedSc, Yu-ming Fu, MRCPCH, Ka-li Kwok, FHKAM(Paed), Handong Li, BChinMed, Jackson C. Ho, FRCP.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Childhood Persistent Allergic Rhinitis. Pediatrics. 2004 ; 114(5) :1242-7. 

  14. Patrick D Wall, Ronald Melzack. Textbook of pain. Seoul : Jeongdam. 2002 ; 483-4. 

  15. Lee SH. Allergic Rhinitis. The Korean Asthma and Allergy, Asthma and Allergy Disease. Seoul : Koonjachulpansa. 2002 ; 189-213. 

  16. Rhee CS. Immunotherapy for allergic Rhinitis: Current and Future. J Korean Otolarngol. 2005 ; 48 : 1312-22. 

  17. Heojun edited. Donguibogam. Seoul : Namsandang. 1986 : 241. 

  18. Hwang MD. Silyongjunguinaegwahak. China : Sanghaegwahakgisulchulpansa. 1988 ; 194-8. 

  19. Wang DY. Junguiibiinhugwahak. Beijing : Gwahakchulpansa. 1976 ; 275-6. 

  20. Woo HS, Kim CH. The Review of Oriental Medical Therapy on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2006 ; 27(1) : 155-64. 

  21. Kim CH, Kim YS. Silyongchimguimsang. Seoul : Jeongdam. 2003 ; 278-80. 

  22. Nationwid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 Moxibustion, Meridianology classroom. Acupuncture & Moxibustion(II). Seoul : Jipmoondang. 1994 ; 1046-8. 

  23. An HS, Park YB, Kang SG. The Review of Bloodletting Therapeutics.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1993 ; 10(1) : 103-19. 

  24. Kim JH, Kim CH. The Clinical Observations of 2 case of Allergic Rhinitis treated with Bee Venom Pharmacopuncture and acupuncture therapy. J Korean Institute of Pharmacopuncture. 2009 ; 12(2) : 99-1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