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위한 QR 코드를 활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흡입요법 교육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Smart Phone-based Nebulizer Educational Material Using QR Cord for Parents of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22 no.1, 2019년, pp.1 - 9  

조유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황희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조은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황윤정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현정화 (원광대병원 간호부) ,  고우리 (원광대병원 간호부) ,  최소연 (원광대병원 간호부) ,  이종란 (원광대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 for parents of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who receive nebulizer therapy treatment. The educational material is aimed at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rrect use of nebulizer. Method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교육이 이루어져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기반의 온라인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를 첨부한 흡입요법 교육용 리플릿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QR 코드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한 교육 제공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누구나 교육 자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접근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최근 보편화되어 활용도가 높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육은 어디에서나 누구든지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접근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23].
  •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하여 환아의 보호자에게 흡입요법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여 이해도를 높이고, 리플릿의 글자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흡입요법의 교육효과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Jeong [16]에 따르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동영상을 이용한 입원 환자들에게 입원 생활에 대해 교육하였을 때 책자보다 환자들에게 입원 생활에 관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일러주어 대상자들의 이해도와 만족도가 높았음을 보여주었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위한 흡입요법 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시행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자료인 ‘우리 아이 호흡기치료 첫 걸음’은 ADDIE 모형을 기틀로 두어 충실히 각 단계에 따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 소아병동에 입원한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호흡기치료 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교육매체는 리플릿을 활용하였고, 호흡 기 치료 과정은 영상으로 촬영하여 QR 코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 모형은 교육 자료를 개발할 때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모형으로서, 각 단계별로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수정 ․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계적(systematic) ․ 체제적(systemic) ․ 신뢰적(reliable) ․ 순환적(iterative) ․ 경험적(empirical)인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모형이다[20].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충실하게 따르고자 문헌 분석, 리플릿 및 동영상의 구성 내용 설계, 리플릿 개발 및 동영상 촬영의 매 단계마다 연구진과 입원 아동 간호 관련 전문가가 회의를 거쳐 내용을 검토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교육 자료는 실제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에게 적용한 후 교육 자료의 이해도와 유용성을 검토하여 최종 확정하였다.
  • Son 등[8]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동영상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육을 제공하였을 때, 아동의 호흡기 질환 예방 지식, 호흡기 질환 예방 행위, 호흡기 질환 예방에 대한 활동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학령전기 입원 아동이 동영상을 통해 또래 아동이 호흡기치료를 적용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실제 흡입치료에서도 모방할 수 있도록 하여 익숙하지 않은 치료과정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감소시켜 치료에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증진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위하여 연무기를 이용한 흡입요법 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함이며, 궁극적으로 입원 아동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 분석 결과 보호자는 아동에게 적용되는 호흡기치료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확인한 내용을 기초로 보호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을 기획하였다.
  • 이는 입원 아동의 보호자가 인식하는 교육 요구도와 실제 시행된 교육의 내용이 부합하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한 학령전기 아동의 효과적인 간호를 위하여 흡입요법에 대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아동이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동기는 성장과 발달이 완성되지 않아 신체적 기능과 적응력이 부족한 시기이다.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와의 접촉이 많아지고, 사회화의 과정으로 또래 집단과 자주 어울리게 되면서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1]. 아동의 여러 질환 중 호흡기 질환은 아동기의 급성 질환 중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차지한다[2].
아동기란 무엇인가? 아동기는 성장과 발달이 완성되지 않아 신체적 기능과 적응력이 부족한 시기이다.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와의 접촉이 많아지고, 사회화의 과정으로 또래 집단과 자주 어울리게 되면서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1].
아동의 호흡기치료를 도와주는 보호자가 겪고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아동은 성장 발달의 특성상 자신에 대한 돌봄을 스스로 행할 수 없어 주 양육자에게 의존하게 된다[6,7]. 그러나 아동의 호흡기치료를 도와주는 보호자는 아동에게 흡입기를 적용할 때정확한 방법에 대한 교육 없이 의사나 간호사의 간단한 설명이나 흡입기에 첨부되어있는 설명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6]. 그로 인한 잘못된 조작이나 흡입 방법은 약물의 전달을 감소시 키고 질병을 충분히 조절하지 못하게 되며, 더 나아가 무기폐, 기관지 폐렴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져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ark MK, Ko YS, Park KI.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for child guardians with respiratory infection after H1N1 diffus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1;17(1):1-9.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1.1 

  2. Ahn HS, Shin HY. Hongchangui pediatrics. Seoul: Miraen; 2016. p. 670-852.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ealthcare Bigdata Hub (n.d.). High frequency disease statistics. Retrieved October 3, 2018,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4. Choi EJ, Yun HJ, An HS, Lee JS, Jung JA. The evalu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for using an inhaler devices in childhood asthma.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11;21(2):108-114. 

  5. Park SH, Kim YD, Yoon HS, Kim YK. A survey of home nebulizer use and its contamination in asthmatic childre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7;27(1):50-56. 

  6. Lee JM.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nebulizer therapy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children [master thesis]. Chuncheon: Hallym University; 2016. 

  7. Park JM, Kim SM, Lim HS. Study on nebulizer design by apply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015;33:295-303. 

  8. Son JY, Park YH, Park MH, Son ES, Park JY, Kim SH. The effects of multimedia educational program on knowledge and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in preventing respiratory disor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1):173-185. 

  9. Yi KM. Effects of information on management practices for children suffering from respiratory communicable disea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8;15(3):291-298. 

  10. Kim YY, Cho H. A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needs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and quality of care in pediatric uni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10):155-169.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155 

  11. Yoo SY, Kim YY, Cho H.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s perceived by pediatric nurses and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8;24(4): 373-382. https://doi.org/10.4094/chnr.2018.24.4.373 

  12. Jang GJ, Jang SY, Hong YR. The effect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program on breast-feeding rate, infant temperament and maternal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aty. 2018;29(1):141-151. https://doi.org/10.7465/jkdi.2018.29.1.141 

  13. Kim CG, Park H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47-60. https://doi.org/10.4040/jkan.2011.41.1.47 

  14. Noh SH, Park JS.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self care mobile app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2):316-326. https://doi.org/0.5762/KAIS.2016.17.12.316 

  15. Kim JS, Shin HS.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ommunity for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0;16(4):344-351. 

  16. Jeong HC. The effect of in-patient guide movie and booklet programs on understanding of hospital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1):45-50. 

  17. Kang YO, Song RY.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s, prevention behaviors, and satisfaction among elderly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8;30(1):49-59. https://doi.org/10.7475/kjan.2018.30.1.49 

  18. Choi MH, Song JA. Effects of video assisted education using smartphone on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7;24(1):60-71. https://doi.org/10.7739/jkafn.2017.24.1.60 

  19. Ha YS, Lee JH, Kim HS, Kim SH, Kim SJ, Kim YY, et al. Child & adolescent nursing I, II.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mpany; 2019. 

  20. Choi JH. The effects of ADDIE model-based safety education using multimedia on early childhood'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afety education [master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8. 

  21. Seels B, Richey R.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4. 

  22. Kim Y M, Kim MY, Kwon WK, Kim HS, Park SH, Chun MS, et al.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ized animation video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3;16(1):37-46. https://doi.org/10.7587/kjrehn.2013.37 

  23. Juarascio AS, Manasse SM, Goldstein SP, Forman EM, Butryn ML. Review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2015;23 (1):1-11. https://doi.org/10.1002/erv.2327 

  24. Cho H, Oh J, Jung D.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for hospitalized child.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2):131-140. https://doi.org/10.4094/chnr.2015.21.2.13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