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우리나라 지역별 패널통계 활용
The impact of Workforce Aging on Labor Productivity: Using the Regional Panel Dataset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1 - 7  

정용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7년까지의 16개 지방자치단체 지역별 패널통계를 활용하여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고정효과와 다양한 조정변수들을 고려한 패널회귀분석 결과에서 총취업자 중 60세 이상의 취업자 비중으로 정의한 노동력 고령화는 노동 생산성에 매우 일관되고 유의한 음(-)의 효과를 주며, 부정적인 효과의 크기는 노동력 고령화가 1% 증가할 때마다 노동 생산성이 약 0.14 ~ 0.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조정변수로 고려된 1인당 자본스톡과 인적자본은 노동 생산성이 증가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경기변동의 대리변수인 실업률은 예상과 같이 노동 생산성에 유의한 음(-)의 효과를 미치며, 비록 유의하지는 않지만, 전체 산업 중 서비스업의 비중을 의미하는 산업구조의 계수가 양(+)의 값을 보이지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동력 고령화로 예상되는 노동 생산성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 인적자본을 유지 및 확충할 수 있는 경제 및 교육정책의 설계와 구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abor aging on labor productivity using panel statistics of 16 local governments from 1995 to 2017. The aging of the labor force,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workers aged 60 or older in total employment, in the results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발굴하고 생산성과 그 요인의 명확한 관계를 밝힘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달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장 큰 궁금증과 희망은 현재의 경제적 풍요로움이 미래에 더욱 개선될 수 있는지 또는 최소한 현재의 풍요로움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경제적 풍요로움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이다.
  • 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고령화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고령화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모두 고령화라는 개념으로 경제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제성장은 무엇을 통해 달성할수 있는가? 다음 질문은 어떻게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까? 라는 것이다. 경제성장은 자본과 노동의 자원 축적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다. 자본축적과 인구증가를 통한 경제성장은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에 의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나,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제성장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능케 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생산성 둔화 또는 하락의 공통된 주요현상은 무엇인가?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생산성 둔화 또는 하락의 공통된 주요현상은 고령화이다. 고령화가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지만, 실제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어느 정도이며, 고령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동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은 무엇을 위한 해답인가?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장 큰 궁금증과 희망은 현재의 경제적 풍요로움이 미래에 더욱 개선될 수 있는지 또는 최소한 현재의 풍요로움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경제적 풍요로움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명확한 해답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Feyrer. (2007). Demographics and Productivity, The Revei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9(1), 100-109. DOI : 10.1162/rest.89.1.100 

  2. B. Malmberg, T. Lindh & M. Halvarsson. (2008). Productivity Consequences of Workforce Aging: Stagnation or Horndal Effect?.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4, 238-256. 

  3. B. Mahlberg, I. Freund & A. Prskawetz. (2013). Ageing productivity and wages in Austria: sector level evidence, Empirica, 40(4), 561-584. DOI : 10.1007/s10663-012-9192-9 

  4. J. Tang & C. Macleod. (2006). Labor force ageing and productivity performance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39(2), 582-603. DOI : 10.1111/j.0008-4085.2006.00361.x 

  5. C. Gronqvist. (2009). The effect of labor force ageing on productivity in Finland. BoF Online 7/2009 

  6. R. Gomez & P. Hernandez de Cos. (2008). Does population ageing promote faster economic growth?. Review of Income and Wealth, 54(3), 350-372. DOI : 10.1111/j.1475-4991.2008.00279.x 

  7. S. Aiyar, C. Ebeke & X. Shao. (2016). The impact of workforce ageing on European productivity, IMF Working Paper 238 

  8. C. S. Jung. (2012). Aging Society and Labor Marke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 185-194. DOI : 10.14400/JDPM.2012.10.1.185 

  9. M. Y. Kim & S. J. Byun. (2018). The Improvement Index of Smart Public Services to Adv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43-53. DOI: 10.14400/JDC. 2018.16.5.043 

  10. H. S. Lee. S. H. Lee & J. A. Choi. (2016). Redifining Digital Poverty : A Study on Target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for Disabilities, Low Income and Eld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1-12. DOI : 10.14400/JDC.2016.14.3.1 

  11. H. S. Lee & S. H. Lee. (2019). Diagno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Elderly People: Focusing on community, meeting, and community involvement activ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2), 1-7. DOI : 10.14400/JDC.2019.17.2.001 

  12. J. K. Kang & J. Y. Lee. (2015). Status and Tasks of ICT-base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67-76. DOI : 10.14400/JDC.2015.13.1.67 

  13. Y. S. Koh. (2016).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gital Aging Policies as Solutions for a Aging Socie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115-123. DOI : 10.14400/JDC.2016.14.11.115 

  14. J. C. Son, D. Y. Lee & S. Y. Jung. (2016). The Impact of Population Aging on Economic Growth and Its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Economics Studies, 34(2), 153-191. 

  15. K. H. Shin & Y. J. Whang (2005). Aging and Aggregate Labor Productivity, Economic Analysis, 11(2), 1-35. 

  16. S. Y. An & D. H. Kim (2014). Does the Aging Labor Force Reduce Labor Productivity?: An Empirical Analysis of Korea Case, Journal of Korean Economics Studies, 32(4), 157-181. 

  17. U. J. Kim, Geoffrey J.D. Hweings, H. D. Cho & C. G. Lee (2011). Analysis of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Population Aging: an Application of Interregional CGE Model for Korea, Journal of the KRSA, 27(1), 19-36. 

  18. Y. S. Lee (2008). The Effects of Population Ageing to Regional Econom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3(7), 7-10. 

  19. D. Acemoglu & P. Restrepo. (2017). Secular Stagnation? The Effect of Aging on Economic Growth in the Age of Autom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107 (5), 174-79. DOI: 10.1257/aer.p20171101 

  20. D. E. Bloom, D Canning & G. Fink. (2010). Implications of population ageing for economic growth,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26(4), 583-612, DOI : 10.1093/oxrep/grq038 

  21. J. H. Stock & M. W. Watson. (2011). Introduction to Econometrics, 3rd Edition, Pears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