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흰점박이꽃무지는 약용으로서 매우 유용하고 중요한 곤충종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전사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실리코(in silico) 분석을 실시하여 전사체유래 항균 펩타이드를 스크리닝하고 선발하여 항균활성용혈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선발된 항균 펩타이드들은 박테리아와 칸디다 진균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반면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은 전혀 없었다. 선발한 펩타이드들 중 프로테티아마이신 2로 명명한 양이온 항균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항균활성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대식세포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프로테티아마이신 2의 항염증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프로테티아마이신 2는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들의 산화질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프로테티아마이신 2가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 고리형 산소화 효소-2(COX-2)의 발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qRT-PCR) 방법과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더욱이 Raw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 $IL-1{\beta}$)의 발현이 MAPKs와 $NF-{\kappa}B$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약화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프로테티아마이신 2가 LPS와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하여 보면 프로테티아마이신 2는 항균활성과 함께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항염증활성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is a medicinally beneficial and important edible insect species. We previously performed an in silico analysis of the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transcriptome to identify putative antimicrobial peptides and then tested their antim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추출물로부터 단일 화합물의 분리를 통한 약리학적 효능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이용하여 대장균으로 면역화시킨 개체와 면역화시키지 않은 개체로부터 RNA 시퀀싱을 통해 확인된 전사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항균 펩타이드의 항균활성 및 항염증활성에 관한 실험내용을 보고하였다. 전사체분석을 통해 선발된 항균 펩타이드들은 항균활성 및 항염증활성과 함께 다양한 기능성연구를 수행하여오고 있다.
  • 활성화된 면역세포들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 케모카인(chemokines)을 포함하여 다양한 염증성 매개인자들의 발현이 유도되어 분비하는데, 이러한 염증성 매개인자들의 과도한 발현은 세포들과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적절하게 발현이 조절되어야 한다[7, 20].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로부터 선발된 항균 펩타이드 프로테티 아마이신 2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서 염증반응을 제어함으로써 항염증활성을 나타내는지 일련의 실험을 통해 염증매개인자들의 발현양상과 신호전달과정에서의 인산화 및 LPS와의 상호작용 유무를 조사하여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흰점박이꽃무지 선행연구 중 향균 펩타이드 인실리코(in silico) 분석을 통해 어떤 결과를 도출하였는가? 선행연구를 통해 전사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실리코(in silico) 분석을 실시하여 전사체유래 항균 펩타이드를 스크리닝하고 선발하여 항균활성 및 용혈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선발된 항균 펩타이드들은 박테리아와 칸디다 진균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반면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은 전혀 없었다. 선발한 펩타이드들 중 프로테티아마이신 2로 명명한 양이온 항균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항균활성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대식세포 Raw264.
흰점박이꽃무지은 무엇인가? 흰점박이꽃무지는 약용으로서 매우 유용하고 중요한 곤충종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전사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실리코(in silico) 분석을 실시하여 전사체유래 항균 펩타이드를 스크리닝하고 선발하여 항균활성 및 용혈활성을 확인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는 '동의보감'에서 어떠한 질병에 효과가 있는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약용곤충을 민간요법으로 사용하였는데 그 중 흰점박이꽃무지는 ‘동의보감’에서 간 질환(간암, 간경화, 간염 등) 및 성인병 치료 효과가 있음이 기록되어있다. 최근에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전처리 조건 확립[9] 및 영양학적 가치와 안전성[3]이 입증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014년 한시적 식품원료로 승인 받아 2016년도에 식품공전에 등록이 완료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hor, V. M., Thomas, C. J., Surolia, N. and Surolia, A. 2005. Polymyxin B: an ode to an old antidote for endotoxic shock. Mol. Biosyst. 1, 213-222. 

  2. Brandenburg, K., Andra, J., Garidel, P. and Gutsmann, T. 2011. Peptide-based treatment of sepsis. Appl. Microbiol. Biotechnol. 90, 799-808. 

  3. Chung, M. Y., Hwang, J. S., Goo, T. W. and Yun, E. Y. 2013.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and harmful material of Protaetia brevitarsis. J. Life Sci. 23, 664-668. 

  4. Gasparini, C. and Feldmann, M. 2012. NF-kB as a target for modulating inflammatory responses. Curr. Pharm. Des. 18, 5735-5745. 

  5. Hwang, J. S., Kang, B. R., Kim, S. R., Yun, E. Y., Park, K. H., Jeon, J. P., Suh, H. J., Nam, S. H. and Kim, I. 2008.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defensin-like peptide from larvae of a beetle, Protaetia brevitarsis. Int. J. Indust. Entomol. 17, 131-135. 

  6. Hwang, J. S., Lee, J., Kim, Y. J., Bang, H. S., Yun, E. Y., Kim, S. R., Suh, H. J., Kang, B. R, Nam, S. H., Jeon, J. P., Kim, I. and Lee, D. G. 200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defensin-like Peptide (coprisin) from the dung beetle, Copris tripartitus. Int. J. Pept. 2009, 2009. 

  7. Karima, R., Matsumoto, S., Higashi, H. and Matsushima, K. 1999. The molecular pathogenesis of endotoxic shock and organ failure. Mol. Med. Today 5, 123-132. 

  8. Kumar, P., Kizhakkedathu, J. N. and Straus, S. K. 2018. Antimicrobial peptides: diversity, mechanism of action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activity and biocompatibility in vivo. Biomolecules 8, 4. 

  9. Kwon, E. Y., Yoo, J., Yoon, Y. I., Hwang, J. S., Goo, T. W., Kim, M. A., Choi, Y. C. and Yun, E. Y. 2013. Pre-treatment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as an ingredient for novel foods. J. Kor. Soc. Food Sci. Nutr. 42, 397-402. 

  10. Lee, E., Kim, J. K., Shin, S., Jeong, K. W., Lee, J., Lee, D. G., Hwang, J. S. and Kim, Y. 2011. Enantiomeric 9-mer peptide analogs of protaetiamycine with bacterial cell sele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J. Pept. Sci. 17, 675-682. 

  11. Lee, J., Bang, K., Hwang, S. and Cho, S. 2016. cDNA cloning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defensin-like antimicrobial peptide from larvae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Mol. Biol. Rep. 43, 371-379. 

  12. Lee. J., Hong, H. J., Kim, J. K., Hwang, J. S., Kim, Y. and Lee, D. G. 2009. A novel antifungal analog peptide derived from protaetiamycine. Mol. Cells 28, 473-477. 

  13. Lee, J. and Lee, D. G. 2015. Antimicrobial peptides (AMPs) with dual mechanisms: membrane disruption and Apoptosis. J. Microbiol. Biotechnol. 25, 759-764. 

  14. Lee, J., Lee, W., Kim, M. A., Hwang, J. S., Na, M. and Bae, J. S. 2017.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osis by indole alkaloids isolated from the edible insect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J. Cell. Mol. Med. 21, 1217-1227. 

  15. Lee, S. Y., Moon, H. J., Kurata, S., Kurama, T., Natori, S. and Lee, B. L. 1994. Purification and molecular cloning of cDNA for an inducible antibacterial protein of larvae of a coleopteran insect, Holotrichia diomphalia. J. Biochem. 115, 82-86. 

  16. Lehrer, R. I., Rosenman, M., Harwig, S. S., Jackson, R. and Eisenhauer, P. 1991. Designer assays for antimicrobial peptides. J. Immunol. Methods 137, 167-173. 

  17. Lowenstein, C. J., Dinerman, J. L. and Snyder, S. H. 1994. Nitric oxide: a physiologic messenger. Ann. Intern. Med. 120, 227-237. 

  18. Lu, Y. C., Yeh, W. C. and Ohashi, P. S. 2008. LPS/TLR4 signal transduction pathway. Cytokine 42, 145-151. 

  19. Malmsten, M. 2016. Interactions of antimicrobial peptides with bacterial membranes and menbrane components. Curr. Top. Med. Chem. 16, 16-24. 

  20. Martin, G. S., Mannino, D. M., Eaton, S. and Moss, M. 2003. The epidemiology of sepsis in the United States from 1979 through 2000. N. Engl. J. Med. 348, 1546-1554. 

  21. Qin, H., Wilson, C. A., Lee, S. J., Zhao, X. and Benveniste, E. N. 2005. LPS induces CD40 gene express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NF-kappaB and STAT- $1{\alpha}$ in macrophage and microglia. Blood 106, 3114-3122. 

  22. Ronco, C. 2014. Lipopolysaccharide (LPS) from the cellular wall of Gram-negative bacteria, also known as endotoxin, is a key molecule in the pathogenesis of sepsis and septic shock. Preface. Blood Purif. 37 Suppl 1, 1. 

  23. Rosenfeld, Y. and Shai, Y. 2006. Lipopolysaccharide (Endotoxin)-host defense antibacterial peptides interactions: role in bacterial resistance and prevention of sepsis. Biochim. Biophys. Acta. 1758, 1513-1522. 

  24. Shin, S., Kim, J. K., Lee, J. Y., Jung, K. W., Hwang, J. S., Lee, J., Lee, D. G, Kim, I., Shin, S. Y. and Kim, Y. 2009. Design of potent 9-mer antimicrobial peptide analogs of protaetiamycine and investigation of mechanism of antimicrobial action. J. Pept. Sci. 15, 559-568. 

  25. Yoon, H. S., Lee, C. S., Lee, S. Y., Choi, C. S., Lee, I. H., Yeo, S. M. and Kim, H. R. 2003. Purification and cDNA cloning of inducible antibacterial peptides from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Arch. Insect Biochem. Physiol. 52, 92-103. 

  26. Zhang, L. J. and Gallo, R. L. 2016. Antimicrobial peptides. Curr. Biol. 26, R14-R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