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여성의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스 유병률과 유전자형 분석
Prevalence and Genotype Analysis of High Risk-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in Busan Wome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11, 2019년, pp.1267 - 1272  

강창수 (부산의료원 병리과) ,  이경은 (부산가톨릭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로 알려져 있으며, 자궁경부암 환자의 99.7%에서 HPV DNA가 검출된다고 하였다. 또한 세계적으로 HPV 16 및 18의 유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에서는 HPV 52 및 58의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여성의 HPV 유병률과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스(HR-HPV)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부산 산부인과병원을 내원한 여성 중 HPV 유전자형 검사를 시행한 여성 1,995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여성에서 28.3%(565/1995)의 HPV 유병률을 확인하였다. 특히 HR-HPV 감염률은 75.4%(426/565)로 높게 나타났으며, HR-HPV 유전자형은 52형(63/565, 11.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58형(56/565, 9.9%), 53형(55/565. 9.7%), 16형(53/565, 9.4%)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8~39세이하의 젊은 여성들의 HR-HPV 감염률이 60.3%(257/426)로 높게 나타나므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세포학적 결과에서 자궁경부내 상피의 이상소견이 높아지는 HSIL과 SCC에서 HPV 16형이 높은 감염률을 보였으나, 향후 더 많은 검체를 이용하여 자궁경부내 종양 발생과 관련된 HR-HPV 유전자형을 확인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cause of cervical cancer is the human papillomavirus (HPV), and HPV DNA has been reported in 99.7%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he worldwide prevalence is highest for the HPV 16 and 18 genotypes, but HPV 52 and 58 have the highest prevalence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p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여성의 HPV 유병률과 자궁경부내 종양 발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스(HR-HPV)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자궁경부 암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로 알려져 있으며, 자궁경부암 환자의 99.7%에서 HPV DNA가 검출된다고 하였다.
HPV는 몇 종의 유전자형이 있는가? HPV는 이중 나선상 DNA 바이러스로 180여종의 유전자형이 있으며, 이 중에서 30~40종의 유전자형이 여성생식기에 감 염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23]. 저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 스(Low Risk-HPV, LR-HPV)는 HPV 6형과 11형을 포함하여 여성생식기의 양성변화를 일으키고,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 러스(High Risk-HPV, HR-HPV)는 HPV 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66형 등으로 자궁경부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HPV DNA 진단 및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에서는 HPV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 지면서 HPV DNA 진단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에 시행되던 자궁경부 세포 검사와 병행하여 시행 하고 있으며, 이는 HPV 감염에 대한 선별 검사 및 HPV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고위험군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확인하고 추적 관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13,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rnard, H. U., Chan, S. Y., Manos, M. M., Ong, C. K., Villa, L. L., Delius, H., Peyton, C. L., Bauer, H. M. and Wheeler, C. M. 1994.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known and novel human papillomavirus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nucleotide sequence and phylogenetic algorithms. J. Infect. Dis. 170, 1077-1085. 

  2. Bosch, F. X., Burchell, A. N., Schiffman, M., Giuliano, A. R., de Sanjose, S., Bruni, L., Tortolero-Luna, G., Kjaer, S. K. and Munoz, N. 2008.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and type-specific implications in Cervical Neoplasia. Vaccine 10, 1-16. 

  3. Castle, P. E. 2004. Beyond human papillomavirus: the cervix, exogenous secondary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cervical precancer and cancer. J. Low. Genit Tract. Dis. 8, 224-230. 

  4. Chan, K. S., Li, W. H., Chan, Y. M., Ma, W. L., Cheung, J. L. and Cheng, A. F. 1999. High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58 in china women with cervical cancer and precancerous lesion. J. Med. Virol. 59, 232-238. 

  5. Clifford, G. M., Gallus, S., Herrero, R., Munoz, N., Snijders, P. J., Vaccarella, S., Anh, P. T., Ferreccio, C., Hieu, N. T., Matos, E., Molano, M., Rajkumar, R., Ronco, G., de Sanjose, S., Shin, H. R., Sukvirach, S., Thomas, J. O., Tunsakul, S., Meijer, C. J. and Franceschi, S. 2005. IARC HPV Prevalence Surveys Study Group. Worldwide distribu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in cytologically normal women in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HPV prevalence surveys: a pooled analysis. Lancet 366, 991-998. 

  6. Cubie, H.A. 2013. Diseases associated with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Virology 445, 21-34. 

  7. De Sanjose, S., Diaz, M., Castellsague, X., Clifford, G., Bruni, L., Munoz, N. and Bosch, F. X. 2007. Worldwide prevalence and genotype distribution of cervical human papillomavirus DNA in women with normal cytology: a meta-analysis. Lancet Infect. Dis. 7, 453-459. 

  8. Herrero, R., Hildesheim, A., Bratti, C., Sherman, M. E., Hutchinson, M., Morales, J., Balmaceda, I., Greenberg, M. D., Alfaro, M., Burk, R. D., Wacholder, S., Plummer, M. and Schiffman, M. 2000. Population-based stud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neoplasia in Rural Costa Rica. J. Natl. Cancer inst. 92, 464-473. 

  9. Ho, G. Y., Bierman, R., Beardsley, L., Chang, C. J. and Burk, R. D. 1998. Natural history of cervicovaginal papillomavirus infection in young women. N. Engl. J. Med. 338, 423-428. 

  10. Hwang, H. S., Park, M., Lee, S. Y., Kwon, K. H. and Pang, M. G. 2004. Distribution and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s in routine pap smear of 2,470 Korean women determined by DNA chip.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3, 2153-2156. 

  11. Jung, K. W., Won, Y. J., Kong, H. J., Lee, E. S. and The Community of Population-Based Regional Cancer Registries. 2018.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5. Cancer Res. Treat. 50, 303-316. 

  12. Koutsky, L. A., Holmes, K. K., Critchlow, C. W., Stevens, C. E., Paavonen, J., Beckmann, A. M., DeRouen, T. A., Galloway, D. A., Vernon, D. and Kiviat, N. B. 1992. A cohort study of the risk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grade 2 or 3 in relation to papillomavirus infection. N. Engl. J. Med. 327, 1272-1278. 

  13. Lee, D. S., Kim, S. H., Park, S. J., Kim, T. U., Jin, H. W., Park, K. H. and Lee, H. Y. 2011. Human papillomavirus prevalence in gangwon province using 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Kor. J. Pathol. 45, 348-353. 

  14. Lee, J. K. 2006. HPV DNA test as a Diagnostic tool for cervical cancer. Obstet. Gynecol. Sci. 49, 261-275. 

  15. Myers, E. R., McCrory, D. C., Nanda, K., Bastian, L. and Matchar, D. B. 2000. Mathematical model for the natural history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carcinogenesis. Am. J. Epidemiol. 151, 1158-1171. 

  16. Malagon, T., Drolet, M., Boily, M. C., Franco, E. L., Jit, M., Brisson, J. and Brisson, M. 2012. Cross-protective efficacy of two human papillomavirus vaccin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Infect. Dis. 12, 781-789. 

  17. Min, K. J., Kwon, S. H., Kim, S. H., Kim, H. J., Seong, S. J., Song, Y. J., Shin, J. W., Lee, K. H., Lim, M. C., Chung, H. H., Ju, W., Hong, J. H., Kim, J. W., Bae, D. S. and Lee, J. K. 2016. Preventive vaccination against cervical cancer: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Guideline. J. Gynecol. Oncol. 27, 1-14. 

  18. Nah, E. H., Cho, S., Kim, S. Y. and Cho, H. I. 2017.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 fistribution among 18,815 Women in 13 Korean cities and relationship with cervical cytology findings. Ann. Lab. Med. 37, 426-433. 

  19. Ostor, A. G. 1993. Natural history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 critical review. Int. J. Gynecol. Pathol. 12, 186-192. 

  20. Ouh, Y. T., Min, K. J., Cho, H. W., Ki, M., Oh, J. K., Shin, S. Y., Hong, J. H. and Lee, J. K. 2018.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s and precancerous cervical lesions in a screening popul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2014-2016. J. Gynecol. Oncol. 29, 1-10. 

  21. Pinto, A. P. and Crum, C. P. 2000. Natural history of cervical neoplasia: defining progression and its consequence. Clin. Obstet. Gynecol. 43, 352-362. 

  22. Richart, R. M. and Barron, B. A. 1969. A follow-up study of patients with cervical dysplasia. Am. J. Obstet. Gynecol. 105, 386-393. 

  23. Soto-De, L. S., Camargo, M., Sanchez, R., Munoz, M., Perez-Prados, A., Purroy, A., Patarroyo, M. E. and Patarroyo, M. A. 2011. Disribution patterns of infection with multiple types of human papillomavirus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risk factors. PLoS One 6, e14705. 

  24. Sasagawa, T., Basha, W., Yamazaki, H. and Inoue, M. 2001. High risk and multiple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associated with cervical abnormalities in Japanese wome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0, 45-52. 

  25. Walboomers, J. M., Jacobs, M. V., Manos, M. M., Bosch, F. X., Kummer, J. A., Shah, K. V., Snijders, P. J., Peto, J., Meijer, C. J. and Munoz, N. 1999. Human papillomavirus is a necessary cause of invasive cervical cancer worldwide. J. Pathol. 189, 12-19. 

  26. WHO. 2014. Human papillomaviru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October 2014. Wkly. Epidemiol. Rec. 89, 465-4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