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합 교육을 위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for Convergen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533 - 541  

송미순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조혜경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구조 방정식 모형을 만들고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들에게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273부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형 적합지수는 적절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6개 경로 중 5개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분산의 6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자기결정동기, 대인관계유능, 성취목표지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간호대학생의 자율성과 관계성을 증진시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related factors that affect to self-regula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The nursing students was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nd 273 data units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hypothetical m...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으로 자기결정성동기, 성취목표지향, 대인관계유능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교수자의 지지가 구조적 관계 속에서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설명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가설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구조모형연구이다. 전라남도 C대학교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는 자기결정동기, 대인관계유능, 성취목표지향 및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의 경로를 설명하고 이를 검정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 커리큘럼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요인을 확인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평생학습자로서 성취해야 할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외적 변인으로서의 교수자의 자율성지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적 기초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요인을 확인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평생학습자로서 성취해야 할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외적 변인으로서의 교수자의 자율성지지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적 기초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취목표지향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결정동기와 대인관계유능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의 자율성지지는 자기결정동기와 성취목표지향의 영향을 받지만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조절학습이란 무엇인가?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습자들의 지능, 동기와 선행지식이 연구되었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학업성취를 충분하게 설명하지 못하면서,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1]. 자기조절학습은 타인에 의해 지시된 학습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필요성을 자각하고 학습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하여 목표를 달성하려는 자기활동과정이다[2]. 스스로에 의한 조절과 통제로 이루어지는 자기조절학습은 이론과 실습의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진 간호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이기도 하며, 다양한 정보를 선택·통합·응용·적용할 수 있는 학습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3].
현장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간호대학생의 경우 의료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현장 실습 교육이 다차원적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장실습교육은 학생을 당황하고 혼란에 빠뜨리기도 하지만, 임상의 역동적인 변화에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학습하고 간호 기술을 훈련할 수 있도록 자기조절학습을 자극하고 실천하게 한다[4]. 자기조절학습을 통한 학업성취는 개인의 책임의식과 우월감을 향상시키며, 간호대학생에게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비전과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여 노력하게 한다[5,6].
교수자의 긍정적 지지가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교수자의 긍정적 지지는 외적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고 스스로 독립적인 사고와 언행을 조절하여, 학습자가 목표 달성을 위하여 능동적으로 행동하게 한다[11]. 초기 성인기로 부모와의 정서적 독립을 완성한대학생 시기는 교수자의 지지적 관계를 통하여 의사소통과 신뢰감 및 친밀감을 형성하는 관계 기술을 습득할 수 있으며, 졸업 후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교수자의 자율성 지지는 초중고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에 직접 또는 매개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간호대학생에서도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한다[12-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 J. Zimmerman & D. H. Schunk. (2001).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 perspectives.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Google Scholar 

  2. M. S. Knowle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 Association Press. 

  3. S. H. Park & E. H. Seo. (2008). Self-regulated learning of adolescents. its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4(1), 135-52. 

  4. A. J. Bandura. (1991).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248-287. DOI : 10.1016/0749-5978(91)90022-L 

  5. L. Corno & M. J. Rohrkemper. (1985). The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in classroom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2, 53-90. 

  6. B. J. Zimmerman.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Journal Educational Psychologis, 25(1), 3-17. DOI : 10.1207/s15326985ep2501_2 

  7. B. J. Zimmerman. (2000).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Handbook of Self-Regulation. Massachusetts : Elsevier. 

  8. A. E. Black & E. L. Deci. (2000). The effects of instructor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on learning organic chemistry :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4(6), 740-756. 

  9. Y. H. So.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ception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cale.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1), 113-135. 

  10. M. Vansteenkiste et al. (2012). Identifying configurations of perceived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 Associations with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problem behavior, Learning and Instruction, 22(6), 431-439. 

  11. A. Assor, H. Kaplan & G. J. Roth. (2002). Choice is good, but relevance is excellent : Autonomy­enhancing and suppressing teacher behaviours predicting students' engagement in schoolwork.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2(2), 261-278. DOI : 10.1348/000709902158883 

  12. Y. B. Heo & A. Y. Kim.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4), 1075-1096. 

  13. E. H. Park. (2019).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itude,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CBNU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0(1), 1-16. 

  14. E. K. Shin. (201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middle school with english digital textbooks. Master degree. Ewha women University, Seoul. 

  15. E. L. Thorndike. (1920). Intelligence examinations for college entra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5), 329-337. DOI. : 10.1080/00220671.1920.10879060 

  16. H. J. Choi & J. S. Kim. (2015). Influence of gratitude disposi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5(3), 247-67. 

  17. W. Graziano & L. J. Jensen-Campbell. (2005). Methodologies for studying personality processes in interpersonal conflict. International Negotiation, 10(1), 165-182. 

  18. J. S. Dias, L. P. Rocha, D. P. Carvalho, J. G. Tomaschewski-Barlem, E. L. Barlem & G. L. Dalmolin. (2019).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tool to assess nursing interpersonal relation.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72(2), 408-413. DOI : 10.1590/0034-7167-2018-0229 

  19. P. Guan, A. Capezio, S. L. Restubog, S. Read, J. A. Lajom & M. Li. (2016). The role of traditionality in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4, 114-123. DOI : 10.1016/j.jvb.2016.02.018 

  20. E. L. Deci & R. M. Ryan.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New York : The University of Rochester. 

  21. P. R. Pintrich. (2000). Multiple goals, multiple pathways: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learning and achievem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544-555. 

  22. S. Won, C. A. Wolters & S. A. Mueller. (2018). Sense of belong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esting achievement goals as mediator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86(3), 402-418. 

  23. C. J. Ames. (1992). Classrooms :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 

  24. M. R. Lepper & J. Henderlong. (2000). Turning "play" into "work" and "work" into "play": 25 years of research on intrinsic versus extrinsic motivation, I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Massachusetts : Elsevier. 

  25. J. P. Woo. (2012).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eoul: Hannarae. 

  26. J. Jaccard, C. K. Wan & J. Jaccard. (1996). LISREL approaches to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regression. New York : Sage University Paper. 

  27. D. Buhrmester, W. Furman, M. T. Wittenberg & H. T. Reis.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991-1008. 

  28. R. Brydges & D. Butler. (2012). A reflective analysi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on self­regulation in learning and practice. Medical Education, 46(1), 71-79. DOI : 10.1111/j.1365-2923.2011.04100.x 

  29. B. J. Zimmerman & D. H. Schunk. (2011).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formance : An introduction and an overview]. taylorfrancis.com. 

  30. R. M. Ryan & E. L. Deci. (2006). Self­regulation and the problem of human autonomy : Does psychology need choice, self­determination, and will?. Journal of Personality, 74(6), 1557-1586. 

  31. Y. M. Cha & W. Y. Eom. (2015).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Junior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flow.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1), 83-105. 

  32. J. H. Kim. (2014). Multiple mediated effect of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to lear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1(2), 43-61. 

  33. G. L. Lavigne, R. J. Vallerand & P. Miquelon. (2007). A motivational model of persistence in science education :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2, 351. 

  34. R. Pekrun. (2006).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15-341. 

  35. A. Kaplan, E. Lichtinger & M. Gorodetsky. (2009).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elf-regulation in writing : An in,egrative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1), 51-69. 

  36. A. L. Pincus & E. B. Ansell. (2003). Interpersonal theory of personality. Handbook of Psychology. Wiley Online Library : John Wiley & Sons. DOI : 10.1002/0471264385 

  37. T. H. Kim & J. H. Lee. (2019).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mediat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0(2), 13-24. 

  38. T. W. Farmer, M. J. Irvin, A. N. Sgammato, K. Dadisman & J. H. Thompson. (2009). Interpersonal competence configurations in rural appalachian fifth graders: academic achievement and associated adjustment factors. Elementary School Journal, 109(3), 301-321. DOI : 10.1086/592309 

  39. M. L. Bernacki, J. P. Byrnes & J. G. Cromley. (2012).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on reading comprehension i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7(2), 148-161. DOI : 10.1016/j.cedpsych.2011.12.001 

  40. A. Artino et al. (2012). Achievement goal structur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Medicine, 87(10), 1375-1381. DOI : 10.1097/ACM.0b013e3182676b55 

  41. A. Hardwin & M. Oshige. (2011).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 Exploring perspectives of social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Teachers College Record, 113(2), 240-264. 

  42. J. Schuitema, T. Peetsma & I. Veen. (2016).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perceived autonomy and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 32-45. DOI : 10.1016/j.lindif.2016.05.006 

  43. Y. M. Cha & W. Y. Eom. (2018). Structural relations among autonomy suppor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s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4(10), 27-51. 

  44. S. S. Shin. (2008). The rela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achievement goals to Taiwanese eighth graders'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in schoolwork.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8(4), 313-334. 

  45. J. Reeve. (2006). Teachers as facilitators: What autonomy-supportive teachers do and why their students benefi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6(3), 225-236. 

  46. Y. C. Yang. (2015). Conditions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1(3), 55-7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