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Inquiry Activity Types Presented in the 5th &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9년, pp.453 - 464  

송신철 (부흥고등학교) ,  심규철 (공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5^{th}$ & $6^{th}$ grade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cience area.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5^{th}...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5~6학년 학생들의 기초 탐구 능력과 더불어 통합적 탐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여러 유형의 탐구 활동이 과학 교과서에 소개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탐구 활동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 이를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탐구 활동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과학 교과에서 비교적 기초 탐구 기능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3~4학년군과 달리 기초 탐구와 통합 탐구 기능 요소를 비교적 고르게 강조하고 있는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초등 과학 탐구 활동 유형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시 탐구 활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의 특성은 무엇인가? 국가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 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사회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교육부, 2015a, 2015b;임용우와 김영수, 2016; 하지훈과 신영준, 2018). 교육과정에서 과학과는 학생들이 과학의 핵심개념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과학 관련 태도를 함양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를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과학 적이며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목으로 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교육부, 2015a, 2015b).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2015 년에는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을 위한 미래 과학 교육의 방향을 결정하고 창의 · 융 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정 하였다(교육부, 2015a, 2015b).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특히 강조하는 것은? 이전 교육과정에서도 개정 방향에서 학교급과 학년간 연계를 반영하여 왔지만, 특히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 교와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a). 그중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경우 3~4학년군은 학생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활동 중심의 탐구 활동을 통해 기초 탐구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5~6학년군은 기초 탐구 과정과 함께 통합 탐구 과정이 포함된 탐구 활동을 통하여 과학 탐구에 필요한 탐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교육부, 2015a, 2015b; 박재근, 2017;송신철과 심규철, 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전 교육과정에서도 개정 방향에서 학교급과 학년간 연계를 반영하여 왔지만, 특히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 교와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a). 그중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경우 3~4학년군은 학생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활동 중심의 탐구 활동을 통해 기초 탐구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5~6학년군은 기초 탐구 과정과 함께 통합 탐구 과정이 포함된 탐구 활동을 통하여 과학 탐구에 필요한 탐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교육부, 2015a, 2015b; 박재근, 2017;송신철과 심규철,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상순(2007).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물2교과서의 탐구영역 비교 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3(2), 19-53. 

  2. 교육과학기술부(2009).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별책 9]. 

  3.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4. 교육부(2015b).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9]. 

  5. 김윤경, 김종영, 신명경(2016). 한국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3-4학년군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3), 362-376. 

  6. 김정민(2008). 초등 과학교과 교사용 지도서 생명 영역 단원 및 차시 목표의 일관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7(1), 75-82. 

  7. 김지은, 여상인(2014). 2007년 개정 초등 5, 6학년 과학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탐구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21-29. 

  8.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9. 성승민, 이규호, 여상인(2016a).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 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 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과학교육, 35(2), 229-242. 

  10. 성승민, 채희인, 임희준(2016b).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 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67-175. 

  11.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12. 송신철(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I 교과서의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6(2), 187-201. 

  13. 송신철(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7(3), 310-323. 

  14. 송신철, 심규철(2018).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6(1), 24-38. 

  15. 송진웅, 나지연(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현장과학교육, 9(2), 72-84. 

  16. 신명경, 이수정(2013).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 사고 활동 내용,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 - 지구와 우주 영역의 사례. 교과교육학연구, 7(4), 1483-1499. 

  17. 심규철, 박종석, 박상우, 신명경(2007).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24-31. 

  18. 엄장희, 배진호(2018). 토의?토론을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이 과학학습동기,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7(2), 110-125. 

  19. 이재봉, 김용진, 백성혜, 이기영(2010).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1), 140-154. 

  20. 임용우, 김영수(2016).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과학교육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의 변천. 생물교육, 44(2), 210-221. 

  21. 조성호, 임지영, 이정아, 최근창, 전경문(2016). 과학 공학적 실천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5(2), 181-193. 

  22. 하지훈, 신영준(2016).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26-441. 

  23. 한화정, 김남희, 홍보라, 심규철(2012).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과학 관련 창의, 인성교수 학습 활동 분석. 생물교육, 40(1), 158-166. 

  24. 한화정, 심주혜, 심규철(2019).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이해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분석. 생물교육, 47(2), 236-250. 

  25. 황신영, 정영란(2013). 중학생의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3(4), 751-762. 

  26.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Mamlok-Naaman, R., Hofstein, A., Niaz, M., Treagust, D. & Tuan, H.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27. Ackerson, V. L., Morrison, J. A. & McDuffie, A. R. (2006). One course is not enou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 194-213. 

  28.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12. 

  29. Asay, L. D. & Orgill, M. (2010). Analysis of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foun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science teacher, 1998-2007.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1), 57-79. 

  30. Bartholomew, H., Osborne, J. & Ratcliffe, M. (2004). Teaching pupils "ideas-about-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 655-682. 

  31. Bodzin, A. M. & Beerer, K. M. (2003). Promoting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The validation of the science teacher inquiry rubric (STIR). Th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2), 39-49. 

  32. Chiang-Soong, B. & Yager, R. E. (1993). The inclusion of STS material in the most frequently use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in the U.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39-349. 

  33. Greenfield, T. A. (1997). Gender and grade-level differences in science interest and participation. Science Education, 81(3), 259-276. 

  34.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VNOS);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35. Lucero, M., Valcke, M. & Schellens, T. (2013). Teachers' beliefs and self-reported us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 public primary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8), 1407-1423. 

  36. Stroupe, D. (2015). Describing "Science Practice" in learning settings. Science Education, 99(6), 1033-1040. 

  37. Zhai, J., Jocz, J. A. & Tan, A.-L. (2014). Am I like a scientist?': Primary children's images of doing science in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4), 553-5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