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및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 탐색
Analyzing Inquiry Activities and Exploring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2, 2022년, pp.213 - 223  

채동현 (전주교육대학교) ,  신정윤 (대전배울초등학교) ,  김은애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이 연구는 초등 과학 5~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필수 탐구 활동의 유형을 파악하고, 현장 교사들은 실제 지도 과정에서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서에 제시된 필수 탐구 활동을 실험·관찰, 조사·토의 및 발표, 자료 해석, 토의·토론, 모의활동, 표현하기의 6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 교사 108명을 대상으로 탐구 활동에 대한 탐구 활동의 성취기준 달성 적합성, 학생 수준 적합성, 학생 흥미도, 수업 지도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제시되는 유형은 실험·관찰 유형이었고, 다음으로 많은 유형은 모의활동 유형, 자료 해석 유형이었다. 5학년 교과서에는 토의·토론 유형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6학년은 조사·토의 및 발표 유형과 표현하기 유형에 해당되는 탐구 활동이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성취기준 달성 적합성과 학생의 수준의 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결과에서는 5학년이 6학년에 비해 낮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고, 학생 흥미도와 지도 어려움에서는 비슷한 평균 점수를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이 필요한 탐구 활동을 도출한 결과 총 17개의 탐구 활동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을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실험 결과가 교과서에서 의도한대로 잘 나타나지 않을 때, 탐구 활동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가 낮을 때, 학생 및 교사들이 관련된 과학 개념에 대해 이해도가 낮을 때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였다. 천문 관련 단원에서 장기간의 꾸준한 관찰이 어렵다거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역학놀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도 지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essential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and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eachers have in the actual teaching process. To this end, the essential research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a...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0)

  1. 권치순, 정은숙(2011). 과학수업에서 실험관찰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방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12-19. 

  2. 김경호, 심규철(2019).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과학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성취기준 및 탐구 활동 비교 분석. 생물교육, 47(4), 552-560. 

  3. 김지영, 한재은, 박종석(2012).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28-937. 

  4. 노자헌, 손준호, 김종희(2020).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74-89. 

  5.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6. 손미현, 정대홍, 손정우(2018).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활동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41-449. 

  7. 송신철(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 활동 유형 분석-3~4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7(3), 310-323. 

  8. 송신철, 심규철(2019).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53-464. 

  9. 송신철, 심규철(2020).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나타난 과학 탐구 기능 요소 분석-5~6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8(4), 546-558. 

  10. 신명경, 이수정(2013).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 사고 활동 내용,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지구와 우주 영역의 사례-. 교과교육학연구, 17(4), 1483-1499. 

  11.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물체의 무게'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12.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13. 오현석, 이기영(2018).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습 발달과정 탐색: 천문학적 시스템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9(1), 103-116. 

  14. 이동승, 박종석(2022). 과학적 탐구 수행에서 초등교사가 겪은 어려움과 성장으로 탐색한 교사의 과학적 지식 향상 방안. 대한화학회지, 66(1), 42-49. 

  15. 이현동(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과 탐구 활동의 개선 방안 조사-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4(3), 300-317. 

  16. 임성만(2018).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및 탐구 활동 요소 비교 분석: 지질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38-54. 

  17.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18. 임청환, 채동현(2018).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37-243. 

  19. 조성민, 백종호(2015).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지도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탐구의 인식과 실천 사이의 딜레마 해소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73-584. 

  20. 조성호, 임지영, 이정아, 최근창, 전경문(2016). 과학 공학적 실천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5(2), 181-193. 

  21. 채동현, 양일호, 정성안(2011).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교과서 집필자가 겪은 어려움과 대처 방법: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21-1144. 

  22. 태진순, 윤은정, 박윤배(2015). 한국, 미국, 싱가포르 물리 교과서의 학습목표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375-382. 

  23. 한화정, 심주혜, 심규철(2019).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이해 관련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생물교육, 47(2), 236-250. 

  24. Ackerson, V. L., Morrison, J. A., & McDuffie, A. R. (2006). One course is not enou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 194-213. 

  25.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26. Chiappetta, E. L., & Koballa Jr, T. R. (2002).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27. Hodson, D. (1993). Re-thinking old ways: Towards a more critical approach to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2, 85-142. 

  28. Rillero, P. (2010). The rise and fall of science education: A content analysis of science in elementary reading textbooks of the 19th centu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110(5), 277-286. 

  29. Roseman, J. E., Kulm, G., & Shuttleworth, S. (2001). Putting textbooks to the test. ENC Focus, 8(3), 56-59. 

  30. Valverde, G. A., Bianchi, L. J., Wolfe, R. G., Schmidt, W. H., & Houang, R. T.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ion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Dordrecht: Kluwe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