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공설화장장의 산골시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cattering Ash Facilities in Metropolitan Public Crematoriu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4, 2019년, pp.67 - 77  

남윤주 (한양대학교 정책학과) ,  이필도 (을지대학교 장례지도학과)

초록

화장률의 증가로 매장중심에서 화장중심의 문화로 바뀐 우리나라는 봉안을 선호하였으나 봉안시설의 사후 처리문제 등으로 화장한 유골의 새로운 처리 방법인 '자연장 제도'를 도입했다. 화장이후 봉안과 자연장 방법 이외의 산골도 요구되고 있으나 현실까지는 법제화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화장한 유골을 처리하는 산골에 대한 문헌고찰을 장사등에관한 법률에서 정한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에 대해 현황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은 공설화장시설 58개소 중 총 42개소가 있었는데 그중 40개소 시설의 명칭이 유택동산이었다. 수도권 공설화장시설 종사자에게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인 산골시설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95.9%가 산골시설을 알고 있다고 했으며 88.2%는 개선할 부분이 있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는 현황조사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골의 법제화와 산골시설의 다양화 및 현대화 등 개선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which has changed from burial-oriented culture to cremation culture due to the increase of cremation rate, preferred charnel: however, we have adopted the new processing method of cremated remains, 'natural burial' because of deterioration of charnel facility and the problems with imposed ur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골에 대한 의미를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 수도권 공설화장시설에 있는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 인 산골시설의 현황과 종사자의 의식을 조사해서 현재 공설화장시설에 설치하여 운영 중인 산골시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무엇보다 화장시설 종사자들의 산골시설에 대한 의식조사가 필요했다. 본 연구는 수도권 공설화장시설의 산골시설에 대한 종사자 의식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 설문지를 배부할 연구의 표본선정은 배부와 회수가 쉬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공설화장시설 종사자 330명으로 정했다. 서울시립승화원, 서울추모공원, 수원연화장, 성남영생사업소, 용인평온의 숲과 인천가족공원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에게 본인이 근무하고 있는 화장시설에 설치된 산골시설에 관하여 응답하도록 진행하였다. 설문기간은 2017년 8월중에 이루어졌고 각 화장시설을 방문하여 회수하였다.
  • 산골시설은‘유택동산’이라는 이름으로 공설화장시설에 설치되어있다. 유택동산은 1993년 용미리 제2묘지에 처음 세워졌는데 한탄강을 비롯한 주변에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것이 문제가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졌다. 2015년에는 장사법 개정을 통해 시행령 제11조와제18조의 별표에서 공·사설 화장시설의 ‘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시설’(이하 산골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였다.
  • 그런데 고인의 유골을 산골하는 것이 선호도가 높은데 반해 산골시설을 실제로 이용하는 선호도는 떨어진다. 이러한 원인은 무엇이며 산골시설이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무엇보다 화장시설 종사자들의 산골시설에 대한 의식조사가 필요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장률 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1%에 불과하였던 화장률이 24년 동안 4,4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화장시설의 현대화, 산사태와 같은 자연 재해의 발생, 장지관리자의 부재, 세대간 제사의식 준수 관념의 축소, 지역적 연고성의 퇴색 등 사회문화의 변화가 화장률을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다. 베이비부머의 고령화가 시작되었고 시한부매장제도로 인해 공설 및 사설공원묘지에 매장되어 있는 분묘들은 설치기간 종료일이 도래하면 개장 유골을 더 많이 발생시키므로 화장한 유골의 처리문제에 대한 대가 시급한 실정이다.
자연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2008년 「장사등에 관한법률」(이하 장사법)의 전문개정시 제2조제3항 자연장과 제13항의 자연장지 항목을 신설하였다. ‘자연장’이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수목, 화초,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하는 것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골분을 뿌리는 산골에 대한 언급이 없음으로 전통산골이 법적 근거가 없는 장법으로 전락되었다.
화장률이 앞으로 더 증가할 것이라고 보는 원인은 무엇인가? 화장시설의 현대화, 산사태와 같은 자연 재해의 발생, 장지관리자의 부재, 세대간 제사의식 준수 관념의 축소, 지역적 연고성의 퇴색 등 사회문화의 변화가 화장률을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다. 베이비부머의 고령화가 시작되었고 시한부매장제도로 인해 공설 및 사설공원묘지에 매장되어 있는 분묘들은 설치기간 종료일이 도래하면 개장 유골을 더 많이 발생시키므로 화장한 유골의 처리문제에 대한 대가 시급한 실정이다. 2001년 시한부매장제도가 시행되기 전에 설치된 분묘는 무연고 분묘로 처리하게 되어 역시 대량의 화장한 유골이 발생하게 될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는 묘지 뿐 아니라 봉안시설에서도 발생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i-Rae Gu, Korean Life Ritual Dictionary, Encyclopedia of Korea folk, 2019. 

  2. Kyu-Sung Hwang,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 Human Cremated Ash by SEM/EDS(JCCT), Vol. 1, No. 2, pp. 65-69, 2015. 

  3. http://www.elis.go.kr/newlaib/renew_laibLaws/h1126/laws_list_new.jsp?lawsNum28000007010009&isClose0 

  4. Bok-Soon Park, Understanding of cremation, Korean Nationwide Council for Funeral Culture Reform, 2017. 

  5. Hyung-Sam Park, A Study on Interior Design Planning Charnel Center, Hongik University, 2008. 

  6. Seon-Jae Lee,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inshore Ashes Dispersement for Land Resources Efficiency, Dongguk University, 2017. 

  7. Jae-Wook Woo,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Preference Factor Analysis on Tree Burial, Korea University, 2013. 

  8. Jee-Seok Seo, Application Plan of Land Resource Efficiency and Utilizing Memorial Facility for Mourning of the Bereaved Families, Dongguk University, 2016. 

  9. Jin-Hawn Kim, A Study on Perception of a Funeral Culture about Woodland Burial, Dongguk University, 2005. 

  10. Yun-Ju Na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Garden of Grave at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Eulji University, 2018. 

  11. Tae-Ho Park, Civic Discussion for Funeral Culture, Facilities Management Office of Seoul, 2016. 

  12. Pil-Do Lee, Awareness of Funeral Culture and Well-Ending and Policy Implications(JCCT), Vol 4, No. 4, pp. 67-75. 

  13. Jae-Sil Choi, Comparison in the usage of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rough the Online Reservation Service of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JIIBC), Vol. 18, No. 2, pp. 125-131, 20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