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공감만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ork Stress,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the Esthetician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1, 2019년, pp.247 - 253  

김나영 (삼육보건대학교 피부건강관리학과) ,  안미령 (삼육보건대학교 피부건강관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및 공감만족을 조사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지역과 경기도 지역의 268명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KOSS의 24개 항목과 ProQOL의 소진과 공감만족 각 1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한국의 직업적 스트레스 척도와 비교했을 때 상위 75%에 포함되었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 공감만족이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피부미용사들의 소진이 결코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줄이는 방법을 찾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ork stress,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the estheticians. The sample consisted of 268 estheticians from esthetic-shop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organized into 4 items of general traits, 24 item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피부미용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공감만족 수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일반적인 특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하부 요인과 소진 및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효율적인 업무 수행과 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9년 9월1일부터 9월15일까지 피부 미용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및 공감 만족도를 조사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지역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병의원, 프랜차이즈관리실, 5인이하 소형피부관리실에서 근무하는 피부미용사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SF)와 소진 공감만족도(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ProQOL))도구를 사용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공감만족 수준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의 정의는?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긴장, 걱정의 감정’이라고 정의 될 수 있는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는[3] 피부미용산업과 같이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직종에서는 많은 이직률을 야기시킨다. 이는 결과적으 로 피부미용 서비스의 질 저하와 인력을 수급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4].
대인서비스 분야에서 소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이유는?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업무로 인해 피곤하고, 지치고 탈진되는 소진(burnout)[5] 현상을 겪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직무수행에 있어 불만족스러운 영향을 미치며, 고객 응대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6]. 따라서 이러한 경험을 많이 하는 대인서비스 분야, 간호사 및 의료분야 직종의 종사자들, 교사 등을 대상으로 소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7,8].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격는 현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업무로 인해 피곤하고, 지치고 탈진되는 소진(burnout)[5] 현상을 겪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직무수행에 있어 불만족스러운 영향을 미치며, 고객 응대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6]. 따라서 이러한 경험을 많이 하는 대인서비스 분야, 간호사 및 의료분야 직종의 종사자들, 교사 등을 대상으로 소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H. Park & K. O. Lee. (2012). Th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related stress of aestheticians. Journal of the Korea Soc, Beauty and Art 13(2), 175-187. 

  2. M. J. Shin. (2019).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Fatigue and Depression in Aestheticia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9), 258-268. DOI : 10.22156/CS4SMB.2019.9.9.258 

  3. M. H. Moon & B. S. Seong.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the management for raising the rate of return in beauty industry through case studies. Kor. J. Aesthet. Cosmetol, 10(4), 901-909. 

  4. S. C. Choi, J. S. Lee, S. Y. Sim, J. H Lee & J. H. Park. (2017).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1), 1-7. 

  5. H. J. Freudenberger. (1977). Burnout: Occupational hazard of the child care worker. Child Care Quarterly 6(2), 90-99. 

  6. M. S. An. (2019). The Effect of Flight Attendants' Emotional Labor on Conflict and Job Burnout : focus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3(3), 207-230. 

  7. Y. M. Choi & N. M. Yang. (2002). Content analysis of korean counselor burnout. Korea psychological association 14(3), 581-598. 

  8. S. Y. Lee & J. Y. Hong. (2019).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the geriatric of Caregivers on their Emotional Work and Burnou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7), 41-47. DOI : 10.22156/CS4SMB.2019.9.7.041 

  9. C. R. Figley. (1995).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Brunner-Mazel], New-York: Figley. 

  10. S. J. Yoo, B. G. Hwang & J. S. Lim. (2012).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labors and work stress among esthetician. Journal of the Korea Soc. Beauty and Art, 13(3), 61-74. 

  11. Y. S. Kim, H. S. Jung & J. H. Mo. (2012). Effects of promptness of job processing, empowerment, and job professional requirements of estheticians ont Their job stress and physical pressure. Kor. J. Aesthet. Cosmetol, 10(1), 147-153. 

  12. Y. J. Park, E. H. Han, J. S. Lim & C. J. Han.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beauty industry work's occupati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Kor. J. Aesthet. Cosmetol 11(1), 111-118. 

  13. M. S. Lee. (2010).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skin-care special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s & Cosmeceutics, 5(3), 5-13. 

  14. M. J. Kim. (2009).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working behavior on esthecicians. Kor. J. Aesthet. Cosmetol, 7(2), 1-10. 

  15. J. H. Shim & Y. S. Kim. (2014). An in-depth study on job stress of skin care labors. Kor. J. Aesthet. Cosmetol, 12(4), 487-497. 

  16. J. Y. Kim. (2014). Research Paper :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emotional labor of esthetician. J. Kor. Soc. Cosm, 20(1), 51-61. 

  17. J. Y. Kim, M. Y. Kim & A. R. Son. (2012).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job perceptio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skin care exper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8(2), 57-66. 

  18. S. J. Hong & H. J. Ko. (2013). A study on skin beauticians' stress management on customer orientation. Kor. J. Aesthet. Cosmetol 11(2), 399-405. 

  19. I. C. Hwang & Y. S. Jang. (2015).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e in estheticians. Kor. J. Aesthet. Cosmetol 13(2), 195-201. 

  20. S. S. Jeon. (2008). The effects of aesthetician's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Kor. J. Aesthet. Cosmetol, 6(4), 19-27. 

  21. S. J. Chang & S. B. Koh. (2005). Development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Korean J Str Res, 13(3), 183-197. 

  22. B. H. Stamm. (2010). The concise PreQOL manuual. ProQOL(Online). http://proqol.org/uploads/ProQOL_Concise_2ndEd_12-2010.pdf. 

  23. H. K. Lee & J. Y. Chung. (2016). Factors of job stress influencing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 ilitation Science 55(1), 233-245. 

  24. J. M. Lee & Y. H. Yom. (2013).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5), 689-697. 

  25. Y. K. Han & H. H. Kim. (2014). The Relationship among burnout,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14(2), 256-263. 

  26. D. I. Frank & L. F. Adkionson. (2007).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risk for compassion fatigue in middle-aged nurses caring for hurricane victims in Florida.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27. M. J. Seo. (2001). Burnout and coping type of oncology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C. S. Park. (2002).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experience in working nurses at hospital. Korean J Women Health Nurs, 8(4), 550-558. 

  29. Y. S. Kim & H. S. Yoon. (2007). Burnout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its coping behaviors. J Dent Hyg Sci, 7(4), 225-233. 

  30. H. J. Hwang, J. W. Park, S. Y. Choi, S. H. Kim & S. Y. Kim. (2015).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4(4), 215-2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