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실내외 미세먼지 농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ncentrations of Indoor and Outdoor Particulate Matters in Elementary School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6 pt.3, 2020년, pp.1721 - 1732  

김대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손윤석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태정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  조영민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실내 공기오염에 더 많이 노출된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으며 어른에 비해 단위체중당 호흡량이 많으므로 실내 공기오염에 대한 민감도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학교 실내공기질은 초등학생들의 건강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5개 초등학교에서 측정한 실내외 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 PM) 농도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실외 PM이 실내 PM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PM ratio, I/O ratio 등과 같은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의 실내외 PM의 상관성은 PM10보다 PM2.5와 PM1에서 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Indoor/outdoor (I/O) ratio의 경우 PM10에서 SD를 제외한 4개 초등학교에서 모두 1보다 높게 나타났다 (BB: 2.21, NS: 1.67, IS: 1.73, SI: 1.17). 이는 실내 학생의 활동도가 PM10의 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in a school and are more exposed to indoor air pollution. Also the students are physically growing and have a relatively high respiratory rate per unit weight compared to adults, so it is known that there is a high sensitivity to indoor air pollution. T...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실내외 미세먼지의 거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광산란법을 사용하는 장비들을 이용하여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용된 측정장비의 구체적인 사양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그리 고 측정장비 간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 현장 측정 전에 동일한 장소에서 장비를 가동시킨 후 측정장비 간의 오차를 보정 한 후 현장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실내외 미세먼지의 거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광산란법을 사용하는 장비들을 이용하여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용된 측정장비의 구체적인 사양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그리 고 측정장비 간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 현장 측정 전에 동일한 장소에서 장비를 가동시킨 후 측정장비 간의 오차를 보정 한 후 현장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shitawi, M. S. and H. B. Awbi, 2011.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effect of student's activities on airborne particulate concentration in a classroom, HVAC&R Research, 17(4): 446-464. 

  2. Bae, G. N. and J. H. Ji, 2013. Management policy and control technology for indoor air qua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9(4): 378-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C. K., S. Y. Yoo, and B. K. Jeon, 200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Aerosols in Pu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26: 4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Y. A., T. J. Lee, and D. S. Kim, 2006. Investig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concentration followed by indoor activities in pre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3(3): 237-284 classrooms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Y. J., G. Y. Lee, G. H. Baek, and N. E. Kang, 2017. Difference Analysis on Indoor Air Quality by Ventilation during Sleeping Time in University Housing,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6(6): 609-6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Deng, Q., L. Deng, Y. Miao, X. Guo, and Y. Li, 2019. Particle deposition in the human lung: Health implications of particulate matter from different sources, Environmental Research, 169: 237-245. 

  7. Donaldson, K., X. Y. Li, and W. MacNee, 1998. Ultrafine (nanometre) particle mediated lung injury, Journal of Aerosol Science, 29(5-6): 553-560. 

  8. Jeung, Y. H. and S. J. Choi, 2007. Assessment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of schools in Inche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3(5): 372-3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ng, Y. S., L. S. Kwon, and S. H. Kim, 2016.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indoor air quality of Kindergartens located in Suwon-si,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6(4): 523-5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 H., T. J. Lee, I .J. Hwang, and D. S. Kim, 2008. Investig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distribution in a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5(1): 24-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lepeis, N. E., W. C. Nelson, W. R. Ott, J. P. Robinson, A. M. Tsang, P. Switzer, J. V. Behar, S. C. Hern, and W. H. Engelmann, 2001. The National Human Activity Pattern Survey (NHAPS): a resource for assess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Journal of Exposure Analysis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11(3): 231-252. 

  12. Koenig, J. Q., T. F. Mar, R. W. Allen, K. Jansen, T. Lumley, J. H. Sullivan, C. A. Trenga, T. Larson, L. J. Liu, 2005. Pulmonary Effects of Indoor and Outdoor Generated Particles in Children with Asthma,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3(4): 499-503. 

  13. Oh, H. J., I. S. Nam, H. Yun, J. Kim, and J. Yang, 2014. Character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efficiency of air purifier in childcare centers, Korea, Building and Environment, 82: 203-214. 

  14. Park, D. W., S. H. Kim, and H. J. Yoon, 2017. The impact of indoor air pollution on asthma, Allergy Asthma Respiratory Disease, 5(6): 312-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S., T. Park, S. Park, Y. Kim, M. Kwon, J. Jung, and C. Lee, 2018. Levels of the concentration of PM 10 and PM 2.5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t Yeongwol county,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7(1): 1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eoul Traffic Research., 2019. https://topis.seoul.go.kr/refRoom/openRefRoom_2.do. Acessed on Dec. 5, 2020. 

  17. Sim, S. H. and Y. S. Kim, 2006. Characterization and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Newly Constructed Apartment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Formaldehyd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32(4): 275-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in, E. Y. and G. H. Kim, 2017. A study on university office worker's perception of indoor air quality (Focused on K university), The Journal of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 16(3): 69-76. 

  19. Son, Y. S., 2020. Particulate matter and influencing factors in domestic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6(2): 153-1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uh, J. M., B. Wang, S. H. Jang, J. H. Park, and K. C. Choi, 2014. Characteristics of Size segregated Mass Concentrations of Indoor Aerosol Particles in University Building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4(4): 453-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Yang, J., I. Nam, H. Yun, J. Kim, H. J. Oh, D. Lee, S. M. Jeon, S. H. Yoo, and J. R. Sohn, 2015.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 at urba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Assessment of effect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6: 1113-1122. 

  22. Yang, W. H., 2014. Time-activity pattern of students and indoor air quality of school,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1(6): 17-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ang, W. H., J. R. Sohn, J. Kim, B. S. Son, and J. C. Park, 2009. Indoor air quality investigation according to age of the school building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0(1): 348-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