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 비만세포에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Graviola Leaf Extract in Human Mast Cel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6, 2020년, pp.1764 - 1772  

김대용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가 인간 비만세포(LUVA 세포)에서 immunoglobulin(Ig) E-매개 알러지 반응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GLE)의 항알러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IgE로 감작된 비만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비만세포의 IgE-매개 탈과립 실험 결과, GLE가 LUVA 세포에서 histamine, β-hexosaminidase, TNF-α, IL-4 및 IL-6의 방출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GLE는 IgE 유도에 의한 Lyn과 Sy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그 하위 경로에 있는 MAPK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GLE가 비만세포 활성화 및 알러지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는 GLE가 항알러지 효과를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whether graviola (Annona muricata) beneficially influences immunoglobulin (Ig) E-mediated allergic reactions in human mast cells (LUVA cells). To examine the anti-allergic effect of graviola leaf extract (GLE), we treated antigen/IgE sensitized mast cells with ext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를 수행하였다. IgE로 감작한 인간 비만세포에서 다양한 알러지 매개체들과 신호전달 분자들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에 의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알러지성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에 효과를 가지고 있는 천연물 소재로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 이러한 경로는 알러지 염증을 유발하는 매개체의 분비에 필수적이다[1].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만세포에서 IgE 매개 염증 신호전달에 GLE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GLE의 비만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GLE를비만세포에 처리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항원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Lyn/Syk의 활성이 GLE에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았다.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Lyn/Syk의 인산화는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GLE에 의하여 억제되었다(Fig.
  • 하지만 알러지 반응에서의 효능은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잎 추출물의 인간 비만세포에서의 항알러지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인간 비만세포주인 LUVA 세포에 IgE로 자극한 다음,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처리하고 알러지 매개체인 histamine, β -hexosaminidase,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4 및 IL-6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또한 신호전달 분자인 Lyn/Syk, MAPKs의 인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 IgE로 감작한 인간 비만세포에서 다양한 알러지 매개체들과 신호전달 분자들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에 의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알러지성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에 효과를 가지고 있는 천연물 소재로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 유용한 표적이 될 수 있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LE가 TNF-α, IL-4 및 IL-6의 발현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실험하였다. 그 결과, GLE에 의하여 TNF-α, IL-4 및 IL-6의 발현이 현저히 감속됨을 확인하였다(Fig.
  • 특히 histaminee알러지성 아나필락시스에서 혈관 확장, 혈관 투과성 증가, 가려움증 및 평활근 수축의 발현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gE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을 예방하는 전략은 알러지 질환 치료를 위한 중요한 타겟으로 연구되고 있다[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LE의 탈과립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histamine과 β -hexosaminidase의 분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GLE의 histamine과 β-hexosaminidas에 대한 분비 저해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Fig.
  • 이러한 결과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인간 비만세포에서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Lyn/Syk-MAPKs 경로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연구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 소재로 알러지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에 기능성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고 그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IgE로 감작한 인간 비만세포에서 다양한 알러지 매개체들과 신호전달 분자들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에 의하여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만세포에서 FcεRI 매개 알러지 반응에 대한 GLE의 작용에 대한 MAPKs 경로를 밝히기 위해, MAPKs 활성화에 대한 GLE 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GLE의 전처리를 통하여 비만세포에서 IgE 매개에 의해 활성화된 ERK, JNK 및 p38을 포함한 MAPKs의 인산화가 감소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D. Kim, D. K. Kim, H. S. Kim, A. R. Kim, B. Kim, E. Her, K. H. Park, H. S. Kim, Y. M. Kim, W. S. Choi, "Morus bombycis Extract Suppresses Mast Cell Activation and IgE-mediated Allergic Reaction in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146, No.1, pp. 287-293, (2013). 

  2. M. Sun, Y. Wang, H. Zhao, W. Yao, X. Yu, "Anti-allergic Action of Bacillus Calmette-Guerin Extract in Experimental Mast cell-mediated Anaphylactic Models", Molecular Medicine Reports, Vol.16, No.5, pp. 6248-6254, (2017). 

  3. J. M. Kim, Y. K. Shin, B. O. Kim, J. K. Kim, S. H. Lee, Y. S. Kim,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llergic Dermatitis", Journal of Life Science, Vol.22, No.7, pp. 958-963, (2012). 

  4. H. Miyauchi-Hashimoto, H. Okamoto, A. Sugihara, T. Horio,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effects of PUVA photochemotherapy on atopic dermatitis-like lesions in NC/Nga mice", Photodermatology, Photoimmunology & Photomedicine, Vol.21, No.3, pp. 125-130, (2005). 

  5. W. M. Suh, S. B. Park, S. Lee, H. H. Kim, K. Suk, J. H. Son, T. K. Kwon, H. G. Choi, S. H. Lee, S. H. Kim, "Suppression of Mast-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by Lindera obtusiloba",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Vol.236, No.2, pp. 240-246, (2011). 

  6. H. J. Do, T. W. Oh, K. I. Park, "Ethanol Extract of Sesamum indicum Linn. Inhibits FcepsilonRI-Mediated Allergic Reaction via Regulation of Lyn/Syk and Fyn Signaling Pathways in Rat Basophilic Leukemic RBL-2H3 Mast Cells", Mediators of Inflammation, Vol.2019 pp. 5914396, (2019). 

  7. H. H. Kim, J. S. Yoo, T. Y. Shin, S. H. Kim, "Aqueous Extract of Mosla chinensis Inhibits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Vol.40, No.6, pp. 1257-1270, (2012). 

  8. S. Fu, S. Ni, D. Wang, M. Fu, T. Hong, "Berberine Suppresses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sponses via Regulating FceRI-mediated and MAPK Signaling",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71, pp. 1-6, (2019). 

  9. S. Z. Moghadamtousi, M. Fadaeinasab, S. Nikzad, G. Mohan, H. M. Ali, H. A. Kadir, "Annona muricata (Annonaceae):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Isolated Acetogenins and Biological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Vol.16, No.7, pp. 15625-15658, (2015). 

  10. A. I. Yajid, H. S. Ab Rahman, M. P. K. Wong, W. Z. Wan Zain, "Potential Benefits of Annona muricata in Combating Cancer: A Review", Malays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25, No.1, pp. 5-15, (2018). 

  11. G. T. Kim, N. K. Tran, E. H. Choi, Y. J. Song, J. H. Song, S. M. Shim, T. S. Park, "Immunomodulatory Efficacy of Standardized Annona muricata (Graviola) Leaf Extract via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in RAW 264.7 Macrophage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2016 Artivle ID 2905127, (2016). 

  12. Y. Gavamukulya, F. Wamunyokoli, H. A. El-Shemy, "Annona muricata: Is the Natural Therapy to Most Disease Conditions Including Cancer Growing in Our Backyard? A Systematic Review of Its Research History and Future Prospects",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Vol.10, No.9, pp. 835-848, (2017). 

  13. A. P. Balderrama-Carmona, N. P. Silva-Beltran, J. C. Galvez-Ruiz, S. Ruiz-Cruz, C. Chaidez-Quiroz, E. F. Moran-Palacio, "Antiviral,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Effect of Annona muricata L. Leaves Extracts. Plants (Basel), Vol.9, No.12, E1650, (2020). 

  14. M. J. Kim, Y. A. Choi, S. Lee, J. K. Choi, Y. Y. Kim, E. N. Kim, G. S. Jeong, T. Y. Shin, Y. H. Jang, S. H. Kim,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Inhibits Mast Cell Activation and Mast cell-mediated Anaphylaxi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250, (2020). 

  15. I. O. Ishola, O. Awodele, A. M. Olusayero, C. O. Ochieng, "Mechanisms of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Annona muricata Linn. (Annonaceae) Fruit Extract in Rodents",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7, No.12, pp. 1375-1382, (2014). 

  16. T. Nakamura, N. Yoshida, Y. Yamanoi, A. Honryo, H. Tomita, H. Kuwabara, Y. Kojima, "Eucalyptus Oil Reduces Allergic Reactions and Suppresses Mast Cell Degranulation by Downregulating IgEFcepsilonRI Signalling", Scientific Reports, Vol.10, No.1, 20940, (2020). 

  17. M. Shukry, A. M. El-Shehawi, W. M. El-Kholy, R. A. Elsisy, H. S. Hamoda, H. G. Tohamy, M. M. Abumandour, F. A. Farrag, "Ameliorative Effect of Graviola (Annona muricata) on Mono Sodium Glutamate-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Antioxidant, Apoptotic, Anti-inflammatory, Lipogenesis Markers,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 Animals (Basel), Vol.10, No.11, 1996, (2020). 

  18. L. Li, G. Jin, J. Jiang, M. Zheng, Y. Jin, Z. Lin, G. Li, Y. Choi, G. Yan, "Cornuside Inhibits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sponse by Down-regulating MAPK and NF-kappaB Signaling Pathway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 473, No. 2, pp. 408-414,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