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장초 추출 용매의 에탄올 함량에 따른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미백 활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allergy, and Whitening Effect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Zizania latifoli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9 = no.209, 2017년, pp.994 - 1002  

박세호 (계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이재열 (계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양선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장초 줄기 ethanol 추출물 5종(10, 30, 50,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 대한 다양한 효능을 평가하여 원료제조를 위한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산화능 평가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RC_{50}$ 값은 감소하여 소거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염증 평가 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ipopolysaccharide (LPS)로 처리한 RAW 264.7에서 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250{\mu}g/ml$의 농도에서의 NO 생성능 비교 시, 15.69, 14.13, 11.86, 8.64, $10.09{\mu}M$로 7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서 가장 높은 NO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를 IgE-항원으로 활성화 시킨 결과, 1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beta}-hexosaminidase$ 방출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0% Z. latifolia ethanol extract부터 농도의존적으로 ${\beta}-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00{\mu}g/ml$ 추출물 처리 시 ${\beta}-hexosaminidase$ 방출은 각각 94.20, 57.10, 46.70, 36.38, 27.45%로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항알러지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미백 효능 평가 결과, ethano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500{\mu}g/ml$ 농도의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은 양성대조군인 arbutin ($250{\mu}M$)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Z. latifolia ethanol extracts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능과 관련된 다양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원료 제조 조건에 대한 활성 결과는 향후 피부건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 원료 제조를 위한 기초 결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allergy, and whitening effects of Zizania latifolia 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5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10, 30, 50, 70, and 90%). As the ethanol concentration in the extraction solvent was increas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줄기 추출물에서 활성성분으로 분리된 트리신 유도체들의 항염 및 항알러지 활성[13] 등이 최근 보고되었으나, 고장초의 높은 효능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민간에서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며 최근 과학적으로 유효성이 알려지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고장초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원료 제조 최적화 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추출 용매의 ethanol 함량별 고장초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것으로써,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미백 효과에 대한 최적 추출 조건을 검토하였다. 고장초의 추출 수율은 50% ethanol로 추출한 고장초 추출물과 70% ethanol로 추출한 고장초 추출물에서 각각 13.
  • 멜라닌은 자외선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 보호 역할을 수행하지만 기미, 주근깨 등 피부 미용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28]. 본 연구에서는 B16-F0 세포를 이용하여 고장초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고장초 추출 용매의 ethanol 함량별 세포 독성 결과, 모든 영역에서의 독성이 없었으며(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의 피부가 환경오염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의 자극에 노출되는 경우 왜 피부 노화가 촉진되는가? 인체의 피부는 환경오염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의 자극에 노출되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증가시켜 피부의 면역 기능 저하, 염증성 알러지 질환인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유발 및 기미, 주름, 탄력 감소 등의 각종 기능 저하로 인한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2, 6, 21]. 피부에 흑갈색의 색소 물질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는 멜라닌(melanin)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활성산소에 의해 멜라닌세포(melanocyte)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이 촉진되어 티로신 (tyrosine)으로부터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와 DOPA-quinone을 거쳐 합성된다.
피부에 흑갈색의 색소 물질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는 멜라닌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인체의 피부는 환경오염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의 자극에 노출되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증가시켜 피부의 면역 기능 저하, 염증성 알러지 질환인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유발 및 기미, 주름, 탄력 감소 등의 각종 기능 저하로 인한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2, 6, 21]. 피부에 흑갈색의 색소 물질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는 멜라닌(melanin)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활성산소에 의해 멜라닌세포(melanocyte)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이 촉진되어 티로신 (tyrosine)으로부터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와 DOPA-quinone을 거쳐 합성된다.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 매개체인 nitric oxide (NO)는 생체 내에서 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하여 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되는 불안정하며 반응성이 높은 자유라디컬로서 혈관이완,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을 갖지만 과량 생성될 경우 세포손상 및 염증반응을 유발한다[15].
알러지 반응에 대한 치료제로 어떤 것들이 처방되는가? 또한, 급만성 염증 및 알러지 반응을 조절하는 필수적인 세포인 비만세포의 표면에 발현하는 IgE 수용체인 FceRI에 IgE 및 특이적 알레르겐이 결합하게 되면, 세포질 내 칼슘 농도의 증가와 탈과립으로 인해 히스타민, interleukin-4 (IL-4), IL-6, IL-13, TNF-α 등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투과도를 증가시켜 가려움증, 발진 등의 알러지 반응을 일으킨다[8, 30]. 이러한 염증성 알러지 질환의 치료제로 소염제, 항히스타민제 또는 항류코트리엔제가 처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일시적 증상 완화 효과와 더불어 다양한 부작용이 밝혀져 장기복용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노령화 인구 증가에 따른 건강한 노후에의 관심 증가로 인해 천연물 유래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 항노화와 아토피 피부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 효능이 있는 항염에 관한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B. K., Kim, R., Choi, D. B. and Kim, Y. S. 2011. Effect of Salicornia bigelovii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whitening and anti-wrinkle. Appl. Chem. Eng. 22, 56-60. 

  2. Beaven, M., Rogers, J., Moore, J., Hesketh, T. R., Smith, G. and Metcalfe, J. 1984. The mechanism of the calcium signal and correlation with histamine release in 2H3 cells. J. Biol. Chem. 259, 7129-7136. 

  3. Bito, T. and Nishigori, C. 2012. Impa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keratinocyte signaling pathways. J. Dermatol. Sci. 68, 3-8. 

  4. Bondet, V., Brand-Williams, W. and Berset, C. 1997.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ebenson Wiss Technol. 30, 609-615. 

  5. Han, J. and Yi, D. 2012. Effects of pine needles fermentation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Kor. J. Aesthet. Cosmetol. 10, 619-624. 

  6. Han, S., Zhang, H., Qin, L. and Zhai, C. 2013. Effects of dietary carbohydrate replaced with wild rice (Zizania latifolia (Griseb) Turcz) on insulin resistance in rats fed with a high-fat/cholesterol diet. Nutrients 5, 552-564. 

  7. Han, S. F., Zhang, H. and Zhai, C. K. 2012. Protective potentials of wild rice (Zizania latifolia (Griseb) Turcz) against obesity and lipotoxicity induced by a high-fat/cholesterol diet in rats. Food Chem. Toxicol. 50, 2263-2269. 

  8. Hwang, I. S., Koh, E. K., Kim, J. E., Lee, Y. J., Kwak, M. H., Go, J., Sung, J. E., Song, S. H. and Hwang, D. Y. 2014. Effect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Fruit Extract on Ultraviolet-induced Apoptosis of Skin Fibroblasts. J. Life Sci. 24, 467-475. 

  9. Itoh, T., Ninomiya, M., Yasuda, M., Koshikawa, K., Deyashiki, Y., Nozawa, Y., Akao, Y. and Koketsu, M. 2009.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isolated from Fragaria ananassa Duch on IgE-mediated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Bioorg. Med. Chem. 17, 5374-5379. 

  10. Kataoka, M. and Takagaki, Y. 1995. Effect of the crude drugs (standards of natural drugs not in the JP XII) on beta-hexosaminidase release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Nat. Med. 49, 346-349. 

  11. Kozina, L., Borzova, I., Arutiunov, V. and Ryzhak, G. 2013. Role of oxidative stress in skin aging. Advances in Gerontology 3, 18-22. 

  12. Kwon, M. J., Kim, B., Lee, Y. S. and Kim, T. Y. 2012. Role of superoxide dismutase 3 in skin inflammation. J. Dermatol. Sci. 67, 81-87. 

  13. Lee, E. J., Whang, E. Y., Whang, K., Lee, I. S. and Yang, S. A. 2009. Anti-allergic effect of Zizania latifolia Turcz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1, 717-721. 

  14. Lee, E. J., Yu, M. H., Garcia, C. V., Jhee, K. H. and Yang, S. A. 2017. Inhibitory effect of Zizania latifolia chloroform fraction on allergy-related mediator production in RBL-2H3 cells. Food Sci. Biotechnol. 26, 481-487. 

  15. Lee, H. J., Hyun, E. A., Yoon, W. J., Kim, B. H., Rhee, M. H., Kang, H. K., Cho, J. Y. and Yoo, E. S. 2006. In vitro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innamomum camphora extracts. J. Ethnopharmacol. 103, 208-216. 

  16. Lee, H. J., Kim, N. Y., Jang, M. K., Son, H. J., Kim, K. M., Sohn, D. H., Lee, S. H. and Ryu, J. H. 1999. A sesquiterpene, dehydrocostus lactone, inhibits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TNF- ${\alpha}$ in LPS-activated macrophages. Planta Med. 65, 104-108. 

  17. Lee, M. H., Lee, J. M., Jun, S. H., Lee, S. H., Kim, N. W., Lee, J. H., Ko, N. Y., Mun, S. H., Kim, B. K. and Lim, B. O. 2007.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yrolae herba extract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NO production. J. Ethnopharmacol. 112, 49-54. 

  18. Lee, S. S., Baek, Y. S., Eun, C. S., Yu, M. H., Baek, N. I., Chung, D. K., Bang, M. H. and Yang, S. A. 2015. Tricin derivatives a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s from the aerial part of Zizania latifolia. Biosci. Biotech. Bioch. 79, 700-706. 

  19. Maeda, K. and Fukuda, M. 1991.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met. Chem. 42, 361-368. 

  20. Maeda, H. and Akaike, T. 1998. Nitric oxide and oxygen radicals in infection, inflammation, and cancer. Biochemistry Mosc. 63, 854-865. 

  21. Mahmood, M. S., Gilani, A., Khwaja, A., Rashid, A. and Ashfaq, M. 2003. The in vitro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Nigella sativa seeds on nitric oxide production. Phytother. Res. 17, 921-924. 

  22. Moore, P., Babbedge, R., Wallace, P., Gaffen, Z. and Hart, S. 1993. 7-Nitro indazole,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exhibits anti-nociceptive activity in the mouse without increasing blood pressure. Br. J. Pharmacol. 108, 296-297. 

  23. Park, W. H. and Cha, Y. Y. 2004. Inhibition effect of Zizania latifolia on apoptosis induced by $H_2O_2$ in Neuro2A cell. Kor. J. Orien. Physiol. Pathol. 19, 1062-1067. 

  2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5. Schroeder, J., Kagey Sobotka, A. and Lichtenstein, L. 1995. The role of the basophil in allergic inflammation. Allergy 50, 463-472. 

  26. Sung, J. H., Park, S. H., Seo, D. H., Lee, J. H., Hong, S. W. and Hong, S. S. 2009. Antioxidative and skin-whitening effect of an aqueous extract of Salicornia herbacea. Biosci. Biotech. Bioch. 73, 552-556. 

  27. Tanaka, A., Zhu, Q., Tan, H., Horiba, H., Ohnuki, K., Mori, Y., Yamauchi, R., Ishikawa, H., Iwamoto, A. and Kawahara, H. 2014.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tochemical profil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Molecules 19, 8238-8260. 

  28. Yao, C. L., Lin, Y. M., Mohamed, M. S. and Chen, J. H. 2013. Inhibitory effect of ectoine on melanogenesis in B16-F0 and A2058 melanoma cell lines. Biochem. Eng. J. 78, 163-169. 

  29. Yodsaoue, O., Cheenpracha, S., Karalai, C., Ponglimanont, C. and Tewtrakul, S. 2009. Anti allergic activity of principles from the roots and heartwood of caesalpinia sappan on antigen-induced ${\beta}$ -hexosaminidase release. Phytother Res. 23, 1028-1031. 

  30. Zhang, H., Cao, P., Agellon, L. B. and Zhai, C. K. 2009. Wild rice (Zizania latifolia (Griseb) Turcz) improves the serum lipid profile and antioxidant status of rats fed with a high fat/cholesterol diet. Br. J. Nutr. 102, 1723-1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