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nalysis of workers's percep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12, 2020년, pp.253 - 259  

Park, Jeong-Hwa (Dept. of Nursing Science, Paicha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하는 것이다. D광역시의 정신건강서비스 기관인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재활시설의 종사자 132명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가족지지, 종사자 역량, 종사자 욕구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된 t 검정,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종사자 욕구는 정신재활시설이 정신건강복지센터보다 높게 나타났고, 종사자의 역량이 정신장애인 직업능력이나 가족지지에 비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by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vocational ability for the mentally disabled, family support, worker competence, and worker nee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Ÿ 대상자가 인식하는 종사자의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종사자 욕구 정도를 확인하고, 정신장애인 직업능력, 가족 지지정도, 종사자 역량이 종사자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신건강서비스 시설에서 정신장애인의 직업 재활을 담당하는 종사자가 인식하는 정신장애인의 직업능력, 가족지지, 종사자의 역량, 종사자의 욕구를 파악하고 종사자의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Fig.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가 인식하는 정신장애인의 직업능력, 가족지지, 종사자의 역량이 종사자의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Ÿ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이에 정신재활시설과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등록 정신질환자의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욕구를 파악하고 조사함으로써 정신질환자에 대한 현실적인 직업 재활 서비스 제공 및 발전방향 지원과 향후 정신건강 복지사업 정책수립 등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7 Statistics of the disabled. 2017. 

  2. Garske G, Stewart Jay. Stigmatic and Mythical Thinking:Barriers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J Rehabil., Vol. 65, No. 4, pp. 4-8, October-December 1999. 

  3. William CT, Kim TM, Gregory HM, Robert ED. Self-Esteem as an Outcome Measure in Studi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Adul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Psychiatric Services, Vol. 51, pp. 229-233, February 2000. DOI: 10.1176/appi.ps.51.2.229 

  4. Dunn EC, Wewiorski NJ, Rogers E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mployment to people in recovery from serious mental illness. Results of a qualitative study. Psychiatr Rehabil. J, Vol. 32, No. 1, pp. 59-62, Summer 2008. DOI: 10.2975/32.1.2008.59.62 

  5. MH, Han, JW, Kim, D.Y., Kim, H.S., Park, HS, Park, TY, Hwang, Yg, Seo, SJ, Kim, WY, Im, SM, Lee. Current Sta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Disabling Mental Illnes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 25 No. 2, pp. 145-152, 2017. DOI: https://doi.org/10.22722/KJPM.2017.25.2.145 

  6. E. K. Byun, S. J. Yoon, S. S. Choi. The factors influence upon job maintenance of the mentally disabled with job experience. Korean J Occup Health Nurs, Vol. 1, No. 1, pp. 18-26, 2012.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2.21.1.18 

  7. D.Y. Lee, S.W. Lee, H..J. Park.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Awareness Lev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mong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ir Families, and Rehabilitation Staff.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 13, No. 1, pp. 147-168, 2003. 

  8. K. H., Ha.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employment rates of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6, No. 4, pp. 115-135, 2015. DOI: http://dx.doi.org/10.16999/kasws.2015.46.4.115 

  9. Lloyd, C., & Waghom, G. The importance of vocation in recovery for young people 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70, No. 2, pp. 50-59, February 2007. DOI: https://doi.org/10.1177/030802260707000202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ntal Health Business Guid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11. J.S. Ryu.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job maintenance for the Mental disorders. Seoul women's univ. master's thesis. 2003. 

  12. S.Y.J, Kim, Y.K. Kwag, L. Gum. A Study on Managers' Percep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Vol. 17, No. 2, pp. 191-203, 2008. 

  13. S.W. Son.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 Daegu Univ. master's thesis. 

  14. L. Hansson, H. Jormfeldt, P. Svedberg & B. Svensso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do they differ from attitudes held by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Vol. 59, No. 1, pp. 48-54, September 27 2011. DOI: https://doi.org/10.1177/0020764011423176 

  15. M. Kim, G.Y. Lee, S.J. Chok. The Effects of Vocational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pp. 253-274, 2015. DOI: http://dx.doi.org/10.15870/jsers.2015.12.54.4.253 

  16. H.C. Choi, E.M. Bae, S.G. Shin, D.J. Park.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8, No. 10, pp. 479-490, 2020. DOI: https://doi.org/10.14400/JDC.2020.18.10.479 

  17. YM, Kim, YH, Le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pp.1129-1144, Vol.29, No.4, August, 2018. DOI http://dx.doi.org/10.22143/HSS21.9.4.7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