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Grit Moderated by Gend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2, 2020년, pp.611 - 622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투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지연행동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투지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투지의 매개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실천과 유지에 있어 투지의 역할과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 방안과 학업지연행동의 대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moderated by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250 college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목표에 대한 과정을 중요시하는 투지를 유지시키고, 장기적인 목표 지향성의 특징을 갖는 투지는 학업지연행동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통합적인 건강한 생활 습관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과정 중심이면서 지속적인 노력을 추구하는 투지의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또한, 다수의 학업지연행동의 연구들에서도 성차는 제시되지 않았다[7-1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투지 간의 경로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 또한, 사회적 건강과 관련하여서는 사회적 지지와 지연행동 간의 부적 상관관계를 보고한 선행연구가 있었으나[17], 대인관계와 같이 적극적인 개인의 사회적 건강을 측정한 연구는 드물었고, 영적 건강과 같은 영역과 함께 연구한 경우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정신건강의 영역을 포함해, 신체적, 사회적, 영적 건강을 넓게 포괄하고 있는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통해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에 의해 조절된 투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도식화한 연구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4
  • 가설 2. 건강증진 생활양식, 투지 및 학업지연행동 간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 가설 1. 일반적 특성에 따라 건강증진 생활양식, 투지 및 학업지연행동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 Gregory, T. Wadkins, and L. Olafson, "Doing the Things we do: A Grounded Theor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9, No.1, pp.12-25, 2007. 

  2. H. C. Schouwenburg, "Academic procrastination: Theoretical notions, measurement, and research," In J. R. Ferrari, J. L. Johnson, & W. G. McCown (Eds.), Procrastination and task avoidance: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71-96), New York: Plenum Press, 1995. 

  3. 박영순, "전문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개선요인으로서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359-379, 2020. 

  4. A. J. Howell and D. C. Watson, "Procrastination: Associations wi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3, No.1, pp.167-178, 2007. 

  5. C. H. Lay, "Trait procrastination and affective experiences: Describing, past study behavior and its relation to agitation and dejection," Motivation and Emotion, Vol.18, No.3, pp.269-284, 1994. 

  6. 전보라, 김정섭, "대학생용 학업지연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제21권, 제3호, pp.53-83, 2015. 

  7. 이현정, 손수경, 장유나, 홍세희,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30권, 제4호, pp.159-189, 2019. 

  8. 김나연, 성한기,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시간관의 조절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21호, pp.945-967, 2017. 

  9. 박해준, 안도희, "대학생의 자기조절, 시간관리,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 지연행동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22호, pp.867-889, 2018. 

  10. 송미경, 김현이,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4권, 제4호, pp.317-336, 2018. 

  11. 김슬기, 박은영,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5권, 제3호, pp.287-306, 2018. 

  12. 심정미, 김정섭,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 성장 마인드셋, 자기통제 및 학업지연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8권, 제1호, pp.235-256, 2020. 

  13. 전보라, 정혜영, 윤소정, "전문대학생의 생애목표와 성취목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제22권, 제6호, pp.313-334, 2016. 

  14. 김남진, 최웅용, "완벽주의, 불안 및 성취목표지향성이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15권, 제1호, pp.157-164, 2017. 

  15. 조이슬, 강영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359-375, 2015. 

  16. D. M. Tice and R. F. Baumeister,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ling," Psychological Science, Vol.8, No.6, pp.454-458, 1997. 

  17. 구본영, 박미선, "청소년의 열등감, 지연행동과 진로 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제27권, 제1호, pp.73-88, 2020. 

  18. S. N. Walker and D. M. Hill-Polerecky, Psychometric 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996. 

  19. 곽민영, 비만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 간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 주지향, 정구철,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240-251, 2019. 

  21. 임재란, 한양금, 김한홍,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1권, 제1호, pp.308-316, 2020. 

  22. 이숙련,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복합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호, pp.311-320, 2016. 

  23. K. Krause and A. M. Freund, "How to Beat Procrastination: The Role of Goal Focus," European Psychologist, Vol.19, No.2, pp.132-144, 2014. 

  24.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6, pp.1087-1101, 2007. 

  25. A. Duckworth and J. Gross, "Self-control and grit: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23, No.5, pp.319-325, 2014. 

  26. A. L. Duckworth,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NY: Scribner, 2016. 

  27. L. Eskreis-Winkler, J. Gross, and A. L. Duckworth, "Grit: Sustained self-regulation in the service of superordinate goals," In K. D. Vohs & R. F. 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pp.380-395), NY: Guilford Press, 2016. 

  28. 안태영, 양수진, "그릿 (Grit), 학업적 실패내성,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3권, 제1호, pp.103-125, 2020. 

  29. 송한슬, 최윤정, "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pp.65-83, 2020. 

  30. 오은희, 최인선, 정철상, "대학생의 그릿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1권, 제1호, pp.258-267, 2020. 

  31. K. Muenks, J. S. Yang, and A. Wigfield, "Associations between Grit,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Science, Vol.4, No.2, pp.158-176, 2018. 

  32. 신은숙,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 대전.충남을 중심으로," 보건과 복지, 제22권, 제1호, pp.199-219, 2020. 

  33. 배은숙, 강혜승, 이소영,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대학생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333-342, 2020. 

  34. A. L. Duckworth, Intelligence is not enough: Non-IQ predictors of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6. 

  35.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6.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Y: The Guilford Press, 2013. 

  37. 김도연, 김종원, "규칙적 스포츠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른 여자 교대생의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건강체력 및 혈중지질 비교,"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23권, 제4호, pp.197-209, 2018. 

  38. 신승환, 윤찬수, "신입 공군사관생도의 체력, 성적, 투지(grit)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73-888, 2019. 

  39. 구혜완, 정익중, "고등학생의 학업 잠재계층과 신체건강 잠재계층 간의 전이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30권, 제2호, pp.333-363, 2019. 

  40.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대학생의 그릿과 자율성, 마인드셋 그리고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12호, pp.45-69, 2017. 

  41. 조옥희, 황경혜, 박혜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 스트레스, 우울 및 신체활동의 관계,"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21-129, 2015. 

  42. 정구철, 조민국,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175-18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