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중국 청소년 비교 연구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397 - 407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김영화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 각각 150명씩 총 30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청소년들은 기본심리욕구의 자율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중국 청소년들은 유능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와 투지 및 주관적 웰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기본심리욕구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한국 청소년들이 중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가 투지를 통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투지의 매개효과는 중국 청소년들이 한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투지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한국 청소년들의 유능성 증진과 중국 청소년들의 자율성 증진을 위한 접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The study subjects were a total of 300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Korean adolescen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은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고[15], 투지는 대학생들의 주관적 웰빙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로 보고되고 있었다[29].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 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과 행복을 높이는 과정에서 개인의 성취와 높은 관련이 있는 투지의 역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동양 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국 문화권 청소년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 청소년의 현 위치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 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과 행복을 높이는 과정에서 개인의 성취와 높은 관련이 있는 투지의 역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동양 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중국 문화권 청소년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 청소년의 현 위치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한·중 청소년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동양 문화의 근간을 제공하는 중국 문화권의 청소년들과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 증진을 위한 과정을 비교한 연구로써 의의가 있으며, 단일문항을 통해 행복감을 조사하던 설문에서 벗어나 심리적 척도를 사용하여 개인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와 웰빙의 관계를 비교 연구를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기본 심리욕구의 중요성과 투지의 역할을 검증하였으며, 한국과 중국 청소년들의 차이를 확인하여 청소년 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의 매개효과와 국적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한국과 중국 청소년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한·중 청소년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동양 문화권 내에서 투지의 문화간 차이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들의 기본적인 심리 욕구를 조사하여 비교하고, 청소년들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투지의 역할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한·중 청소년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특히 민족성과 문화의 차이는 국가 간 기본 욕구의 차이를 만들고, 이러한 차이를 이해해야 적합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후 증가할 유학생 들의 규모를 고려해 한국과 중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를 파악하고, 행복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기본심리욕구와 투지, 주관적 웰빙의 정규성을 왜도와 첨도로 분석한 결과 모두 ±2 범위 안에 나타나 연구 변수들의 정규성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9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른 한국과 중국의 행복지수 순위는? 유엔 산하 기구가 공개한 ‘2019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156개 조사대상국 중에서 한국의 행복지수가 54위, 중국의 행복지수가 93위에 머물러[5], 비록 낮기는 하지만 한국인이 중국인보다는 더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모두 시민들의 행복증진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이러한 노력의 주력 사업은 각 국가의 문화와 환경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백금으로 집을 사고 천금으로 이웃을 산다는 중국의 속담은 중국인의 어떠한 속성을 반영하고 있는가? 중국에는 백금으로 집을 사고 천금으로 이웃을 산다(百金买屋 千金买邻)는 속담이 있으며, 이는 주변과의 교류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반영하고 있다. 역사가 유구하고 복잡한 한-중의 관계는 6·25전쟁 이후 이념의 대립으로 양국 간 소원한 시기가 있었고, 1992년 수교 이후 다시 경제무역, 문화예술, 교육, 학술, 체육, 지방정부, 청소년교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호 발전을 이루었으며, 현재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 시장이고 한국은 중국의 세 번째 교역국으로 성장하여 상호 견제하면서도 떨어질 수 없는 사이가 되었다[1].
기본심리욕구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기본심리욕구란 자기결정성을 높여서 내재동기를 높여주는 중요한 필수조건으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한다[6]. 자율성은 자기의 신념에 따라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고 행동하는 특성을 말하고, 유능감은 과제를 직면하였을 때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뜻하며, 관계성은 고립되어있지 않고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따뜻한 관심과 보살핌을 주고받음을 의미한다[6]. Deci와 Ryan에 의하면 기본심리욕구는 외부로부터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며, 개인의 심리적 발달, 성장, 통합을 촉진하는 동기가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2019년 6월 기준), http://stat.kita.net/main.screen 

  2. 법무부, 출입국통계, http://www.moj.go.kr/moj/2412/subview.do에서 2020년 5월 19일에 검색. 

  3. 교육부, 2018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2018. 

  4. 중국 교육부, 2018年來華留學統計(2018년 재중유학통계), 2019. 

  5. 매일경제, "한국 세계행복지수 156개국 중 54위...핀란드 또 1위", 2019년 3월 21일자,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3/170008/ 

  6. E. L. Deci and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pp.27-268, 2000. 

  7. E. L. Deci and R. M. Ry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3-33, NY, US: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8. K. M. Sheldon and C. P. Niemiec, "It's not just the amount that counts: Balanced need satisfaction also affects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1, No.12, pp.331-341, 2006. 

  9. J. Reeve,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6th ed), NJ, US: John Wiley & Sons, 2014. 

  10. 신종호, 진성조, 김연재, "지각된 부모의 학습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121-137, 2010. 

  11. 김은주, 도승이,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유능감 및 관계성의 욕구와 내재동기 및 수업참여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3권, 제1호, pp.181-196, 2009. 

  12. G. L. Lavigne, R. J. Vallerand, and P. Miquelon, "A motivational model of persistence in science education: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Vol.22, No.3, pp.351-369, 2007. 

  13. 허예빈, 김아영,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4호, pp.1075-1096, 2012. 

  14. 구장회, 안도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가정의 심리적 환경,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1호, pp.21-44, 2015. 

  15. 이수진, "지각된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과 대학생활에서의 학업성취, 정서적 적응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4호, pp.903-926, 2011. 

  16. 김왕배, "한국의 교육열," 지식의 지평, 제17권, pp.104-120, 2014. 

  17.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6, pp.1087-1101, 2007. 

  18. M. R. West, M. A. Kraft, A. S. Finn, R. E. Martin, A. L. Duckworth, C. F. O. Gabrieli, and J. D. E. Gabrieli, "Promise and paradox: Measuring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and the impact of schooling,"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Vol.38, No.1, pp.148-170, 2014. 

  19. OECD, Social and emotional skills constructs and measures for the OECD longitudinal study of skill dynamics. Paris: OECD, 2014. 

  20.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1. 김진구, 박다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1호, pp.145-162, 2017. 

  22. 官群, 薛琳, ???, "?毅和刻意???中?大?生英?成就的?系," 中?特殊?育, 第12期, pp.78-82, 2015. 

  23. ?文, ??, 杜??, 古典, ??, "?毅人格???成就的?系:??投入的中介作用," 中?特殊?育, 第4期, pp.91-96, 2018. 

  24. 方??, "?毅性???性?大?生??成?的影?:刻意??的中介作用--以浙江大??例," 高???, 第5期, pp.103-109, 2019. 

  25. A. Salles, G. L. Cohen, and C. M. Muell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sident well-being,"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207, No.2, pp.251-254, 2014. 

  26. K. Singh and S. D. Jh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grit as predictors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Indian Academy of Applied Psychology, Vol.34, No.2, pp.40-45, 2008. 

  27. B. Jin and J. Kim, "Grit, basic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Vol.38, pp.29-35, 2017. 

  28. M. M. Vainio and D. Daukantaite, "Grit and different aspects of well-being: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via sense of coherence and authenticit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7, No.5, pp.2119-2147, 2016. 

  29. 박현린, 표정민, 김누리,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그릿 과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6권, 제3호, pp.59-86, 2019. 

  30. 胡恒德, ?琰, 戴?, 朱霞, "?校??主?幸福感、?毅品????倦怠的?系," ?南?防???志, 第33期, 第3號, pp.181-184, 2019. 

  31. S. Messick, Technology and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assessment,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Issues of access, quality, student development, and public policy, pp.243-254,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9. 

  32. D. Goleman, Emotion1al intelligence, NY: Bantam, 2006. 

  33. 이명희, 김아영,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 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4호, pp.157-174, 2008. 

  34. S. Lyubomirsky and H. S. Lepper,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46, No.2, pp.137-155, 1999. 

  35.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87-205, 2009. 

  36.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Y: The Guilford Press, 2013. 

  37. 김혜온, 이진순, "한국과 독일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9권, 제2호, pp.21-40, 2006. 

  38. QI BOYA, 안도희,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이 지각한 학교 분위기, 유능감 및 학교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교류연구, 제8권, 제2호, pp.93-118, 2019. 

  39. 마연연, 중국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0. 이현이, 김영식, "부모 양육 태도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62-74, 2018. 

  41. 김영민, 자율성 지지와 유능감,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의 구조적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2. 진병주, 정혜원,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친구 및 교사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5호, pp.141-165, 2020. 

  43. 조수진, 중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4. 이지이, 청소년의 마인드셋, 학업적 그릿,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45. 정철상, "청소년의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675-684, 2020. 

  46. 주지향, 정구철,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240-251,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