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Effect of Stretching to Muscle Stiffness in Hospital Office Employee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1, 2020년, pp.125 - 130  

Ko, Min-Gyun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Chosun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  Jeun, Young-Ju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Chosun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의료기관 사무직 종사자들의 근 경직도에 대한 스트레칭의 효과를 알아보려고 한다. 총 40명의 젊은 여성 대상자들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다. 대상자들은 스트레칭 군과 대조군에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칭 중재 전, 대상자의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 후두하근, 소흉근의 근 경직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칭을 스트레칭 군에 적용하였다. 중재 후 5분이 지나서 각 근육의 근경직도를 재측정하였다. 스트레칭 군에서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 후두하근, 소흉근의 근 경직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대조군에서는 중재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적절한 스트레칭은 의료기관 사무직 종사자의 근 경직도의 증가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tching of hospital office employees on muscle stiffness. A total of 40 healthy young wo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to the stretching groups and control groups. Before stretching, the participants measure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0명의 의료기관 사무직종사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칭 중재에 따른 근 경직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여성 사무직종사자 40명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기록하였다. 선정된 대상자에 대한 선정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작위 추출을 통해 두 군으로 나누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 사무직 종사자의 근 경직도에 대한 스트레칭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의료기관 사무직종사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여 한 군에는 스트레칭을 중재하고 대조군에는 스트레칭 중재를 하지 않은 결과, 스트레칭 군에서 흉쇄유돌근·상부승모근·후두하근·소흉근의 근 경직도는 스트레칭 중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칭 기법이 의료기관내 여성 사무직종사자들의 흉쇄유돌근·상부승모근·후두하근(suboc cipital muscles)·소흉근의 근경직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 인하여 향후 의료기관 사무직 종사자들의 근육뼈대계 질환 예방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DT 증후군은 무엇인가? VDT 사용빈도 및 시간의 증가는 의료기관 내의 VDT관련 종사자들에게 VDT 증후군 등의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를 유발한다. VDT 증후군은 장기간의 시간동안 VDT를 사용하는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작업관련성 건강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로 주로 근육뼈대계통에 미치는 영향, 눈과 시각계통에 미치는 영향, 두통 및 정신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 피부 장애, 생식기, 광감각성 전간에 미치는 영향 등이 포함된다[4].
장기간의 VDT 작업이 유발하는 증상은? 컴퓨터 작업을 위한 키보드와 마우스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사용은 근골격계의 미세손상이 누적되며 이는 VDT 증후군의 근골격계 질환인 반복사용 긴장성 손상증 후군(repetitive strain injury) 또는 누적외상장애 (cumulative trauma disorder)를 유발시킨다[5-6]. 정적인 자세에서 장기간의 VDT 작업의 경우 머리 및 목과 어깨 주변부의 근골격계 문제를 야기하며 통증을 초래하고, 후두하 부위 관절의 대한 증가된 신전과 전방두부자세 (forward head posture) 및 굽은 어깨(round shoulder) 등의 비정상적인 자세를 유발시키고, 혈관기능 장애와 피 부계통 및 시각계통의 장애를 일으킨다[7-10]. 전방두부자 세는 상부승모근(upper trapezius muscle), 견갑거근,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반극근 및 판상 근의 단축과 전방거근, 능형근 등의 약화에 의해 발생되며, 굽은 어깨는 흉쇄유돌근 및 소흉근(pectoralis minor) 과 견갑거근의 단축으로 발생된다[11].
비정상적인 자세로 인한 근육의 불균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정적인 자세에서 장기간의 VDT 작업의 경우 머리 및 목과 어깨 주변부의 근골격계 문제를 야기하며 통증을 초래하고, 후두하 부위 관절의 대한 증가된 신전과 전방두부자세 (forward head posture) 및 굽은 어깨(round shoulder) 등의 비정상적인 자세를 유발시키고, 혈관기능 장애와 피 부계통 및 시각계통의 장애를 일으킨다[7-10]. 전방두부자 세는 상부승모근(upper trapezius muscle), 견갑거근,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반극근 및 판상 근의 단축과 전방거근, 능형근 등의 약화에 의해 발생되며, 굽은 어깨는 흉쇄유돌근 및 소흉근(pectoralis minor) 과 견갑거근의 단축으로 발생된다[11]. 결국 전방두부자세 및 굽은 어깨로 인한 근육의 불균형은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원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Yu SJ, Hong JY, Lee MS, and Na BJ. "Related Factors to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in Employees of A General Hospital in one Metropolitan City" In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pp. 863-866,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May 2011. 

  2. Ko MS, and Choi, JY, "Related Factors to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of Hospital Employees Using Lalonde Health Field Model," Health and Welfare, Vol 14, pp. 7-22, 2012. DOI : 10.23948/kshw.2012.12.14.7 

  3. Kim HR, Won JU, Song JS, Kim CN, Kim HS, and Roh J, “Pain related factors in upper extremities among hospital workers using video display termin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15, No. 2, pp. 140-149, 2003. DOI: OAK-2003-00617 

  4. Jo SY, Choi YM, and Suh Tae SS,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syndrome and occupational factors in VDT operators among office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Vol. 3, No. 2, pp. 81-94, 2011. 

  5. Kim HW, “Factors affecting the sharp increas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Korea,” Korean J Occup Health, Vol. 41, No. 4, pp. 155-163, Dec. 2002. 

  6. V. Putz-Anderson,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RC Press, 2017. 

  7. F. Mocci, A. Serra, and G. Corrias, “Psychological factors and visual fatigue in working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58, No. 4, pp. 267-271, 2001. DOI: http://dx.doi.org/10.1136/oem.58.4.267 

  8. HwangBo, G, "Analysis of the change of the neck pressure pain threshold in long term computer us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8, No. 6, pp. 151-158. 2008. DOI : http://dx.doi.org/10.5392/JKCA.2008.8.6.151 

  9. Lee, KS, and Jung HY, “Analysis of the change of the forward head posture according to computer using ti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 4, No. 2, pp. 117-124, 2009. 

  10. C. H. Willford, C. Kisner, T. M. Glenn, and L. Sachs, “The interaction of wearing multifocal lenses with head posture and pain,”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Vol. 23, No. 3, pp. 194-199, 1996. DOI: 10.2519/jospt.1996.23.3.194 

  11. Kendall, F. P., McCreary E. K., and Provance P. G.,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12. Saghaei M., "Random allocation software for parallel group randomized trials,"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Vol. 4, No. 1, pp. 26, 2004. DOI: https://doi.org/10.1186/1471-2288-4-26 

  13. Mullix J., Warner M., and Stokes M., “Testing muscle ton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using a novel hand held MyotonPRO device: relative ratios and reliability,” Working Papers in Health Sciences, Vol. 1, No. 1, pp. 1-8, 2012. 

  14. Hermens H. J., Freriks B., Disselhorst-Klug C., and Rau G.,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SEMG sensors and sensor placement procedure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Vol. 10, No. 5, pp. 361-374, 2000. DOI: https://doi.org/10.1016/S1050-6411(00)00027-4 

  15. Kwon HC, & Jeong DH, “Comparison of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in the neck region according to the screen height and document holder position,”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Vol. 13, No. 3, pp. 829-837, 2001. 

  16. A-L. Harrison, T. Barry-Greb, and G. Wojtowicz, "Clinical measurement of head and shoulder posture variable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Vol. 23, No. 6, pp. 353-361, 1996. DOI: 10.2519/jospt.1996.23.6.353 

  17. "B-R. Etnyre, and L-D. Abraham, "Gains in range of ankle dorsiflexion using three popular stretching technique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Vol. 65 No. 4, pp. 189-196, 1986. 

  18. Yoo KT, "The Effects of Stretching the Application Time of Ice Affected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Balance Aility and Fexibility, Fllowed by Atificially Iducing Mscle Ftigu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7, No. 3, pp. 167-172, 2013. DOI : 10.21184/jkeia.2013.09.7.3.167 

  19. K. Kubo, H. Kanehisa, and T. Fukunaga, "Is passive stiffness in human muscles related to the elasticity of tendon structure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85, No. 3-4, pp. 226-232, 2001. DOI: 10.1007/s004210100463 

  20. Jahnke, M. T., Proske, U., and Struppler, A., "Measurements of muscle stiffness, the electromyogram and activity in single muscle spindles of human flexor muscles following conditioning by passive stretch or contraction," Brain research, Vol. 493, No. 1, pp. 103-112, 1989. DOI: 10.1016/0006-8993(89)91004-4 

  21. Murphy, D. R., “A critical look at static stretching: Are we doing our patients harm,” Chiropractic Sports Medicine, Vol. 5, No. 3, pp. 67-70, 1991. 

  22. Ko MG., Song CH., and Yu, JH., “The Effects of Long-Term Smartphone Usage Time and of Stretching on Stiffness, Concentration, and Visual Acuity,” PNF and Movement, Vol. 17, No. 1, pp. 57-68, 2019. DOI: https://doi.org/10.21598/JKPNFA.2019.17.1.57 

  23. J. Umehara, M. Nakamura, S. Nishishita, H. Tanaka, K. Kusano, and N. Ichihashi, "Scapular kinematic alterations during arm elevation with decrease in pectoralis minor stiffness after stretching in healthy individuals,"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Vol. 27, No. 7, pp. 1214-1220, 2018. DOI: https://doi.org/10.1016/j.jse.2018.02.0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