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중국·일본의 장애인복지법 비교를 통한 중국의 장애인 복지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China by Comparing the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Korea, China and Japan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2 no.4, 2020년, pp.87 - 95  

왕비비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신병욱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웅구 (인천재능대학교 실내건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an important part of society. The world has a huge population of disabled peop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the disability welfare law. To carry forward the humanitarian spirit and develop the cause of the disabled is a 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장애발생 예방과 장애인의 의료, 교육, 직업 재활, 생활환경개선 등에 관한 사업을 지정하여 장애인복지 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의 자립생활ㆍ보호 및 수당 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장애인의 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장애인의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증진을 통하여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 즉, 장애발생 예방과 장애인의 의료ㆍ교육ㆍ직업 재활ㆍ생활환경개선 등에 관한 사업을 규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장애인복지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여 장애인의 자립 생활ㆍ보호 및 수당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장애인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등 장애인의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 증진을 통하여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국 장애인 복지법의 총칙은 장애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장애인의 사회참여 증진 및 장애인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 그리고 장애인의 자립생활ㆍ보호 및 수당 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장애인의 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장애인의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증진을 통하여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세부 규정에는 이 법의 목적 및 장애인의 정의, 장애인의 권리, 장애인 차별금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국민의 책임, 장애인 날의 설립 등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문화권에 있는 아시아의 주요 3국인 한국, 중국, 일본의 장애인 복지법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상호간에 보완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중국 장애인 복지향상과 사회적 권리보장을 하는데 연구의 배경과 목적이 있다. 연구는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관련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법률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종합하였다.
  • 단지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장애인복지 관련 연구로 한정하였고 시설 등 다른 분야는 분석되지 못하였으며 아시아의 3개 나라를 비고,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는 있다고 생각되어 추후 시설, 제도 등의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의 주요 3국인 한국과 중국, 일본의 장애인복지에 관한 법률을 분석하면서 개선점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3국은 서로 협조하고 경쟁하면서 장애인 복지에 관한 정책을 펼친다면 장애인들이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원활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그리하여 중국 장애인 복지향상과 사회적 권리보장을 하는데 연구의 배경과 목적이 있다. 연구는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관련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법률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종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사아의 주요 3국인 한국, 일본, 중국의 장애인복지 관련 법률을 비교, 분석하면서 좋은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언급하였다. 결론으로는 다음과 같다.
  • 이들 나라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국가로 지역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다른 점을 가지고 있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문화권에 있는 아시아의 주요 3국인 한국, 중국, 일본의 장애인 복지법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상호간에 보완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중국 장애인 복지향상과 사회적 권리보장을 하는데 연구의 배경과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중국, 특히 농촌지역에서는 의료시설과 환경이 낙후되어 있다.12)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나 인력, 지원 등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장애인 관련 의료 정책은 수도권 지역보다는 지방에 우선되어 보완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 장애인 사회보장 법률의 필요성은 예전부터 대두되어 왔으나 현실적인 부분에서의 지원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족하다.14) 특히 중국 장애인 복지법은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오현풍, 한국과 중국의 장애인복지법 비교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2. 제2차 중국 장애인 조사, 중국장애인연합회, 2006. 

  3. 중국 장애인 총 인구 및 장애 분류에 따른 세부 인구와 장애 등급에 따른 인구수 조사, 중국장애인연합회, 2010. 

  4. World Health Survey, 세계보건기구(WHO), 2010. 

  5. ??喜, ?古代?疾人法律制度???今?疾人保障法的完善, 吉首大??? (社?科?版) 期刊第26卷第4期, 2005. 

  6. 沈雁群, 我??疾人法律援助制度??及其完善, 中?南?大?法律??位?文, 2007. 

  7. 周?行, ?新瑾, ?疾人社?保障 : ????策, 理?探索期刊 2008年第5期, 2008. 

  8. ?君玲, 日本?疾人福利法的特征及?示, ??交流2010年 第11期期刊, 2010. 

  9. ?志?, 我??村?疾人社?保障法律???究, 中?西南大? 民商法??位?文, 2011. 

  10. ?君玲, ?于我??疾人福利法律制度?建之思考, 河北法?期刊, 2012. 

  11. 金炳?, ?金峰, ???疾人福利的?史, ???未?展望, 人口??展 2013年第19卷第2期期刊, 2013. 

  12. 朱思慧, 曹晋儒, 姚宏勃, 日本?疾人福利制度特点及?中?之借?, 改革?放期刊, 2016. 

  13. ??芳, 史坤博, 田新?, ?永春, 城市无障碍?施建?的?意 度?究――以?州市?例, 世界地理?究期刊,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