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과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 -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 of Welfare for the Disabled in Korea on the Focus of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6 no.3, 2004년, pp.227 - 251  

이동석 (성공회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을 통해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장애인복지법을 살펴보아,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는 신체기능의 정상을 도모하는 입장에서 출발하여 보충적 복지를 강조하는 입장이 우세해 지고 있으며, 장애인을 억압하고 차별하는 사회 구조의 개선을 도모하는 입장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하나의 패러다임이 우세하기보다는 다양한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장애를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보고 이의 해결을 위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 억압을 제거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기는 하나, 실천적인 조치에서는 보충적 복지에 의존하는 입장, 개별적인 신체 기능의 향상을 통해 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입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 of welfare for the disabled on the focus of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through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A proper understanding of disability theory requires more than a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model approac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별적 유물론 입장은 완전한 신체를 이상향으로 보고, 신체의 손상을 문제의 근원으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의 원인 및 책임은 개인에게 있으며, 신체의 손상을 장애와 동일한 것으로 본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이를 적용하여 한국장애인복지의 성격을 규명할 것이다 또한 장애인복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이유는 모든 관련 분야를 살펴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장애인복지의 성격을 규명하기에 장애인복지법이 조금 더 근접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 따라서 협의의 장애인복지에 가장 근접한 영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또한 장애인복지의 기본법이라고 여겨지는 장애인복지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장애인복지법의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인복지의 변천 성격을 규명하고, 현재 장애인복지법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현 장애인복지의 성격을 알아볼 것이다. 더불어 장애인복지 또는 장애인복지법이 향후 어떤 모습을 띠어야 할지를 제시할 것이다.
  • 겠맑시즘이나 페미니즘 등 다양한 사회학적 관점을 포함하지만, 장애에 대한 탐색에 있어 장애를 개인적 으로 보고 손상에 머무르는 관점을 거부하는 것을 공통적이고 중심적인 특색으로 하고 있다 (Paterson and Hughes, 2000). 여성학(Women's Studies)이 문학, 언어, 종교 등 모든 사회생활에서 여성의 삶과 경험이 성과 관련되어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연구하듯이 장애학도 개인의 손상에 관심을 보이기보다는 장애라는 현상이 사회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23) 또한 여성학이 여성에 대한 성차별 제거를 통해 여성의 인권을 신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듯 장애학도 장애인에 대한 구조적, 심리적, 문화적 차별을 제거하여 장애인의 인권을 신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사회적 결핍에 따른 보충적 복지를 강조하는 개별적 관념론 입장으로는 목적, 중증장애인의 보호, 보호자에 대한 배려, 사회적응훈련, 교육, 직업재활, 주택의 보급, 개선 시책 및 경제적 부담 시책 등이 포함된다. 이 법은 ‘장애인의 복지증진 및 사회활동 참여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장애인복지대책의 종합적 추진’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장애인복지대책으로 의료, 교육, 직업 등을 열거하고 있다, 중증장애인 보호와 보호자에 대한 배려 조항을 보면, 중증장애인은 결핍의 정도가 더 심하고 더 많은 보호 및 복지시책을 필요로 한다는 입장임을 알 수 있고, 보호자도 장애인으로 인해 어떤 결핍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보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 따라서 당시의 법률 제정은 정부의 의지에 의한 것이었으며, 1978년 6월 발표한 보건사회부의 ‘심신장애자 종합보호대책’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그이전까지 시설에 장애인을 단순 보호하던 것을 넘어 장애인에게 직업훈련을 시키고 보호의 질을 높이는 것을 주요 정책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법이 제정될 당시 장애에 대한 사회적 개념의 도입이 있을 수도 없었고, 복지조치도 시설보호가 주를 이루고 더 발전시킬 목표로서 의료적 치료, 보호 및 직업 재활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장애인의 손상 및 의료재활, 기능의 재활을 강조하는 개별적 유물론 입장에 한정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고 볼 수 있다.
  • 장애인복지법의 변천을 통해 각각의 장애인복지법이 다중 패러다임 중 어떤 입장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각각의 법률마다 하나의 입장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장애인 제도의 한계점은? 그러나 한국 장애인 복지의 성격을 일관된 하나의 준거 틀로 설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 장애인 제도는 수용, 격리 등과 같은 전근대적인 것부터 자립생활모델, 정상화이론, 사회적 모델 등 선진국의 이론들이 수입되어 형성된 것까지 다양하게 공존하고 있으며, 각 이론들은 독자적인 하나의 모델로서의 역할은 하고 있으나, 전체 장애인 제도를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각 이론들은 현실의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분법적 접근으로 묘사될 수 있다.
장애인 제도 변화의 한 축인 장애인 운동 세력은 다양한 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제안을 하고 있는데, 어떤 목소리를 내는 세력들이 있는가? 또한 장애인 제도 변화의 한 축인 장애인 운동 세력도 다양한 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제안을 하고 있다. 장애인의 소득보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장애인연금법이 필요하다는 세력, 사회구조의 개선 및 변화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세력,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이동권 확보가 시급함을 주장하는 세력, 중증장애인의 권익보호와 자립생활을 주장하는 세력, 재활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재활 서비스 중심의 복지제도가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세력 등 다양한 운동 세력이 각각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다중 패러다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장애학 개념을 도입하여 장애학 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의 한계점이 존재하는데, 각각 무엇인가? 첫째, 다중 패러다임을 통해 장애인복지법을 분석하여 한국장애인 복지의 성격을 규명하려다 보니, 다중 패러다임을 소개하기는 했지만 다중 패러다임이 나온 역사적 상황이나 각 입장에 대한 심층적인 해석이 부족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현재 수입되어 인용되고 있는 실천모델 및 이론들을 더 자세히 소개하고 이를 다중패러다임의 틀 속에서 분류 해석하는 좀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협의의 장애인복지에 가장 근접한 영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또한 장애인복지의 기본법이라고 여겨지는 장애인복지법의 변천과 내용만을 보았으나,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서 즉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 전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서비스 부분만이 아니라 의료, 교육, 노동, 편의시설 등 장애와 관련된 모든 사회 현상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일시에 사회 전체를 바라보는 것이 어렵다면 한 부분씩이라도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