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지속적 양압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단일기관 연구
The Effect of Continuous Positive Pressure Therap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n Quality of Life : A Single-Institution Study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7 no.2, 2020년, pp.56 - 66  

신현석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말례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신일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홍세연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은헌정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OSA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CPAP 사용 전·후의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여 CPAP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의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진료기록부를 통한 나이, 성별,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앱워스 주간졸림척도, 수정된 말람파티척도,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CPAP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의 개선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전화 연락을 취하여 CPAP 사용 전·후의 삶의 질에 대해 시각형 아날로그 척도(VA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신장(Z = -4.525, p < 0.001), 체중(Z = -2.844, p < 0.05), 수면의 질(Z = -2.671, p < 0.05)과 각성 지수(Z = -2.105, p < 0.05)에서 통계학적으로 남·녀 간에 차이(p < 0.05)가 있으며 나머지 변수에서는 차이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교차분석에서 χ2 = 7.724, p = 0.024로 p < 0.05보다 작으므로 OSA의 수준별 심각도와 성별 간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이 되었다. PreCPAP QOL, PostCPAP QOL, CPAPUse Months, CPAP4Hr/d (%)의 OSA의 수준별 심각도에 따른 크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 > 0.05). CPAP 사용 전 AHI와 사용 후 AHI의 차이가 36.48 ± 21.54 (t = 11.609, p < 0.001)이었고, CPAP 사용 전 QOL과 사용 후 QOL의 차이가 -25.43 ± 22.06 (t = -7.901, p < 0.001)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p < 0.001)를 보였다. 결 론 : OSA환자 중 남녀간 임상적으로 신장(HT), 체중(BW), 수면의 질(PSQI), 각성지수(AI), OSA의 수준별 심각도에서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CPAP전·후에 삶의 질은 남녀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OSA환자에서 CPAP 사용 후 삶의 질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SA patients and the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CPAP use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PAP use. Methods: Age, sex,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Epworth Sleepiness Scale, Modi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단히 자료를 얻을 수 있는 VAS의 장점을 활용하여 코골이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활용한 일부 연구도 있었다(Song 등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가 단순하게 느끼는 전체적인 QOL의 개선 정도를 VAS를 이용하여 질문하였다. 즉, 주관적으로 느끼는 QOL의 개선 정도를 간단한 점수(0에서 100점)로 물어본 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 목 적:본 연구에서는 OSA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CPAP 사용 전·후의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여 CPAP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의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OSA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CPAP 사용 전·후의 삶의 질 정도를 하였고 CPAP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의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OSA는 CPAP 사용에 따른 여러가지 개선점들과 함께 OSA환자가 SAQLI에서 측정되는 객관적 QOL과 달리 VAS에 의해 측정된 주관적 QOL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원 수면장애클리닉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진행 후 OSA로 진단되었고 CPAP을 사 용 중인 환자들의 관련 자료를 조사한 후 본인에게 직접 전화 로 연락을 취하고 CPAP의 사용전과 후의 주관적으로 느껴지 는 QOL의 정도에 대해 VAS를 적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가 단순하게 느끼는 전체적인 QOL의 개선 정도를 VAS를 이용하여 질문하였다. 즉, 주관적으로 느끼는 QOL의 개선 정도를 간단한 점수(0에서 100점)로 물어본 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간단한 질문에 대해 대상자들의 반응도 비교적 빨랐으며 짧은 시간에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lison W, Sahisha K, Dinesh R, Jeffery A, Holger W. Gender differen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M Group Open Access eBooks 2016:1-11. 

  2. Amatoury J, Jordan AS, Toson B, Nguyen C, Wellman A, Eckert DJ. New insights into the timing and potential mechanisms of respiratory-induced cortical arousal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2018;41:zsy160. 

  3.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3rd ed 2014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Darien, IL 

  4.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ask Force.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recommendations for syndrome defini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clinical research. Sleep 1999;22:667-689. 

  5. Ancoli-Israel S, Kripke DF, Klauber MR, Mason WJ, Fell R, Kaplan O.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Sleep 1991;14:486-495. 

  6. Armon C, Johnson K, Roy A, Nowack W. Polysomnography. Medscape;2016. 

  7. Batool-Anwar S, Goodwin JL, Kushida CA, Walsh JA, Simon RD, Nichols DA, et al. Impact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J Sleep Res 2016;25:731-738. 

  8. Becker HF, Jerrentrup A, Ploch T, Grote L, Penzel T, Sullivan CE, et al. Effect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on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Circulation 2003;107:68-73. 

  9. Buysse DJ, Reynolds III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 193-213. 

  10.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12:189-198. 

  11. Choi SJ. Complications of obstructive sleep apne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5;89:13-20. Published online July 1, 2015. 

  12.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2011;15:377-384. 

  13. Douglas Neil J. Clinician's guide to sleep medicine. London: Hodder-Headline Group;2002. 

  14. Elsobki A, Cahali MB, Kahwagi M. LwPTL: a novel classification for upper airway collapse in sleep endoscopies. Braz J Otorhinolaryngol 2019;85:379-387. 

  15. Epstein L, Kristo D, Strollo P, Friedman N, Malhotra A, Patil S, et al.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management and longterm care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9;5:263-276. 

  16. Flemons WW, Tsai W. Quality of life consequence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J Allergy Clin Immunol 1997;99:S750-S756. 

  17. Flemons WW, Reimer MA. Development of a disease-specific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sleep apnea.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158:494-503. 

  18. Flemons WW, Reimer MA.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Calgary sleep apnea quality of life index.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5:159-164. 

  19. Gould D, Kelly D, Goldstone L, Gammon J. Visual Analogue Scale (VA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1;10:697-706. 

  20. Heinzer R, Vat S, Marques-Vidal P, Marti-Soler H, Andries D, Tobback N, et al.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HypnoLaus study. Lancet Respir Med 2015;3:310-318. 

  21. Ibanez V, Silva J, Cauli O. A survey on sleep assessment methods. PeerJ 2018;6:e4849. 

  22. Isidoro SI, Salvaggio A, Bue AL, Romano S, Marrone O, Insalaco G. Immediate effect of CPAP titration on perceive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C Pulm Med 2016;16:172. 

  23.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545. 

  24. Johns MW, Hocking B.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habits of Australian workers. Sleep 1997;20:844-847. 

  25. Johns MW.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2;15:376-381. 

  26. Jung YK. The utility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orean version for the detection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27. Kapur VK, Auckley DH, Chowdhuri S, Kuhlmann DC, Mehra R, Ramar K,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tic testing for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Sleep Med 2017;13:479-504. 

  28. Katsantonis GP, Moss K, Miyazaki S, Walsh J. Determining the site of airway collapse in obstructive sleep apnea with airway pressure monitoring. Laryngoscope 1993;103:1126-1131. 

  29. Keele KD. The pain chart. The Lancet 1948;2:6-8. 

  30. Kim JK, In KH, Kim JH, You SH, Kang KH, Shim JJ, et al.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1108-1113. 

  31. Ko HE, Kim JW, Kim HD, Jang YS, Chung HA. Construction validity of the MoCA-K to MMSE-K, LOTCA-G in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312-320. 

  32. Lin CM, Davidson TM, Ancoli-Israel S. Gender differen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and treatment implications. Sleep Med 2008;12:481-496. 

  33. Lozo T, Komnenov D, Badr MS, Mateika JH. Sex differences in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adults. Respir Physiol Neurobiol 2017;245:65-75. 

  34. Mallampati SR, Gatt SP, Gugino LD, Desai SP, Waraksa B, Freiberger D, et al. A clinical sign to predict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 prospective study. Canadian Anaesthetists' Society Journal 1985;32:429-434. 

  35.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 571-579. 

  36. Morgenthaler TI, Aurora RN, Brown T, Zak R, Alessi C, Boehlecke B,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use of autotitrating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s for titrating pressures and treating adult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 update for 2007.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report. Sleep 2008;31:141-147. 

  37. Nolen-Hoeksema S, Larson J, Grayson C. Expla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ve symptoms. J Pers So Psychol 1999;77: 1061-1072. 

  38. Nutt D, Wilson S, Paterson L. Sleep disorders as core symprom of depression. Dialogue Clin Neurosci 2008;10:329-336. 

  39. Park KS, Chang JH, Kang EW. Effects of 12 months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sleep, mood,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 peritoneal dialysis patient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Kidney Res Clin Pract 2018; 37:89. 

  40. Pavwoski P, Shelgikar AV. Treatment option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Neurology: Clinical Practice 2017;7:77-85. 

  41. Popovic RM, White DP. Influence of gender on waking genioglossal electromyogram and upper airway resistanc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2:725-731. 

  42. Phillipson EA, Sullivan CE. Arousal: the forgotten response to respiratory stimuli. American Lung Association;1978. 

  43. Quintana-Gallego E, Carmona-Bernal C, Capote F, Sanchez-Armengol A, Botebol-Benhamou G, Polo-Padillo J, et al. Gender differen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 clinical study of 1166 patients. Respir Med 2004;98:984-989. 

  44. Richard BB, Stuart FQ, Alexander RA, Marietta LB, Lourdes D, Susan MH. et al.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Rules, Terminology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Version 2.6,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20 

  45. Ruehland WR, Rochfored PD, O'Donoghue FJ, Pierce RJ, Singh P, Thorton AT. The new AASM criteria for scoring hypopneas: impact on the apnea hypopnea index. Sleep 2009;32:150-157. 

  46. Ryoo EN, Park KS. Validity,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pain self-report scale in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J Adult Nurs 2011; 2:111-122. 

  47. Samsoon G, Young J.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 retrospective study. Anaesthesia 1987;42:487-490. 

  48. Song SK, Song YJ, Park HG, Kim JI, Cho SD, Ji JY, et al. Therapeutic Outcome of primary snoring and mild obstructive sleep apnea and clinical suggestion for treatment approache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9;62:102-107. 

  49. Sutherland K, Vanderveken OM, Tsuda H, Marklund M, Gagnadoux F, Kushida CA, et al. Oral appliance treat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n update. J Clin Sleep Med 2014;10:215-2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