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 이용 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의 상호보완적 접근
A Complementary Approach of a Psycho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to Gaming Disorder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20 no.1, 2020년, pp.83 - 92  

서도원 (연세대학교) ,  송용수 (한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보건기구는 게임 이용 장애를 중독 행동에 따른 장애로 규정했는데 이에 학계의 상이한 관점 위에서 찬반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게임 과몰입을 바라보는 질병 모델적 관점과 심리사회적 관점, 문화적 관점의 시각차를 확인하고 이를 간학문적 태도로 상호 보완하여 게임 과몰입에 대한 해결방안을 중층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해결방안으로는 첫째, 다수의 게임 이용자에게 1차 예방, 즉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선용적 관점을 적용하고 둘째, 게임 과몰입 사용자들이 대안활동을 찾을 수 있게 돕는 2차 예방을 실시하며 셋째, 3차 예방으로 게임 과몰입의 폐해가 명확한 대상자들에게는 치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HO has defined gaming disorder as a disorder, and there are arguments for and against i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response,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disease model, psycho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for complementing them with an interdisciplinary attitude. First, univers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성만[14] 등은 기본 동기간의 불균형을 균형있게 할 수 있도록 게임이 아닌 봉사활동, 스포츠활동, 취미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대안활동을 찾을 수 있게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방법은 게임 과몰입 사용자에 대해서 일상생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불균형 하게 된 기본 동기간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는 다양한 대안 활동을 찾아주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게임을 선용할 수 있게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은 중독자를 수동적인 주체로 바라보는 기존의 질병 모델과 달리,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능동적인 주체로 바라보게 해주며 이를 통해 게임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을 ‘게임 이용 장애’ 라는 낙인이 아닌 스스로 선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근거가 된다.
  • 이러한 시각의 차이로 인해 국내에서도 보건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간의, 의학계와 심리학 및 기타 학문 분야 간의 찬반 논쟁이 진행 중이며 돌아오는 2025년 한국 표준 질병 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에 게임 이용 장애를 넣을지에 대해서도 논란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게임 이용 장애를 둘러싼 학계의 관점과 게임 과몰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게임 이용 장애를 이해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게임 과몰입 문제에 대한 학계의 상이한 관점을 확인하고 이를 간학문적 접근으로 상호 보완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현실적인 차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게임 과몰입에 대하여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른 관점들이 가지는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는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이 논문은 간학문적 태도로 이 두 입장을 상호 보완하여 사회, 문화 현상을 바라보고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위험 정도에 기초하여 예방의 과정을 구분한 Gordon[26]의 3단계 예방 단계 개념을 적용하여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사회문화적 관점은 게임과 게임 이용자를 보편화하지 않고 문화적 맥락과 조우시킨다는 점에서 게임 과몰입을 다각적으로 본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존하는 사회 문제 앞에서 현실적인 대응을 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현실적인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게임 과몰입에 대응하기 위해 간학문적 태도로 세 관점을 상호 보완하여 사회, 문화적 현상을 바라보고 문화로서의 게임이라는 광의적 개념을 도입하여 게임 과몰입에 대한 해결방안을 중층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그 해결방안은 첫째, 다수의 게임 이용자에 대해서 불안과 공포로 점철되는 게임포비아적 시선을 멈추고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게임을 바라보며, 게임 이용자들에게는 1차 예방, 즉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선용적 관점을 적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게임 이용 장애 진단을 받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는 국제 질병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이하 ICD)의 개정판인 ICD-11에 게임 이용 장애를 도박중독과 함께 중독 행동에 따른 장애(Disorders due to Addictive Behaviours)의 범주에 포함하였다[1]. 게임 이용 장애 진단을 받으려면 첫째, 게임에 대한 조절력의 상실, 둘째, 일상의 다른 활동들보다 현저하게 게임 행동에 우선순위를 부여, 셋째, 부정적인 문제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게임을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이용이라는 세 가지의 증상이 적어도 12개월 이상 나타나고 이러한 행동 양상이 개인, 가족, 사회, 교육, 직장 또는 중요한 기능적 영역에서 손상을 가져와야 한다[2]. 미국 중심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ental Disorders, DSM) 5판에서 인터넷 게임 장애를 후속 연구가 필요한 질환으로 분류하였는데 이와 비교했을 때 WHO의 결정은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다.
게임 이용 장애 판정을 반대하는 측의 의견은 어떻게 종합할 수 있는가? 반면, 게임 이용 장애 판정을 반대하는 측의 의견을 종합하면 게임 이용 장애에 대한 정의와 용어가 통일되어 있지 않고, 현재의 진단 기준으로는 게임 이용 장애만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게임 이용 장애에 대한 폐해들이 불분명하고 이에 대한 지속률이 제각각이며, 게임 이용 장애의 유병률이 불분명함을 주장하고 있다[5].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게임 과몰입의 연구방향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 이런 관점의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첫째, 게임 담론을 둘러싼 배경에 관해 연구하고 담론의 허구성을 폭로하는 방식이다. 이는 게임을 바라보던 단편적인 시각에 균열을 가한다. 둘째, 게임 과몰입에 대해 사용자 입장에서 접근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중독 유발 원인이나 타 질병과의 유사성이 아닌, 사용자의 게임 경험에 집중하는 미시적 접근은 다층적인 문화 작용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셋째, 게임 과몰입 진단 기준이 문화적·사회적 배경을 배제한 기존의 물질, 행동 중독의 기준을 준수함을 지적하면서[7], 게임의 고유한 맥락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게임 산업뿐 아니라 게임 이용 자체에서도 긍정적 가치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