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 방안 연구: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of Improving Archival Professionals'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the Accredit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0 no.1, 2020년, pp.159 - 175  

김유승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정책 대안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 연구로서, Greenwood, Goode 등의 고전적 전문직 이론을 정리하고, 우리나라의 기록전문직이 Perk가 주장한 전문직의 6가지 기준을 형식적으로 충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문성이란 어느 시점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지향이라는 관점에서,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획득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기록전문가 교육 및 양성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전문직은 스스로 권위를 지키기 위해 교육과 훈련에 대한 자신의 기준을 정하고, 전문직 공동체의 규범을 가져야 한다는 맥락에서 기록전문직 주도의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 ARA와 미국 ACA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uss policy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archival studies. As a theoretical study, it organized classical professional theories such as Greenwood and Good and confirmed that the archival professionals met all six criteria for professional occupations claimed by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9년 일부 개정된 현행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29563호)의 군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관한 특례 규정(제78조의2)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국방부종합행정학교는 2024년 2월 29일까지의 한시 기간을 부여받은 군기관 기록물관리만을 위한 특별기관인 바,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고자 한다.
  • 그리고, 결론에 갈음하여, 과 같은 기록학 교육 가이드라인과 인증제도에 기반 한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다음에서는 ‘영국⋅아일랜드 기록협회(Archives & Records Association UK & Ireland, 이하 ARA)’와 ‘인증 아키비스트 아카데미(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이하 ACA)’의 사례를 통해, 기록전문직 인증제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획득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기록전문가 교육 및 양성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에 주목한다. 다음에서는 우리나라 기록전문직 제도의 연혁을 살피고, 기록전문직 교육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전문직 이론의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록전문직 법제도의 연혁을 정리하고, 국내 기록전문직 교육제도의 현황과 해외의 교육과정 인증 제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록전문직 교육제도의 개선 방안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실마리를 교육제도에서부터 찾고자 하였고, 그 방안의 하나로 기록전문직 교육과정 인증제도를 논하였다. 그리고, 결론에 갈음하여, <그림 1>과 같은 기록학 교육 가이드라인과 인증제도에 기반 한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903).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 주도의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과 미국의 사례에 주목한다. 다음에서는 ‘영국⋅아일랜드 기록협회(Archives & Records Association UK & Ireland, 이하 ARA)’와 ‘인증 아키비스트 아카데미(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이하 ACA)’의 사례를 통해, 기록전문직 인증제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획득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기록전문가 교육 및 양성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에 주목한다. 다음에서는 우리나라 기록전문직 제도의 연혁을 살피고, 기록전문직 교육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논란을 연혁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전문직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고찰하여 선행연구들과 차별점을 두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전문직 요건을 우리나라 기록전문직에 대입해보자. 2020년 현재, 우리는 기록전문가 양성 교육이 전국 25개 대학, 26개 석사과정과 3개 대학의 교육원 과정에서 제공되고 있고, 이를 통해 배출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2017년 7월 기준으로, 전국 581개 공공기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국가기록원, 20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oode가 설명하는 전문직이란? Goode(1960, p. 903)는전문직이란 교육과 훈련에 대한 자신의 기준을 결정하고, 면허, 직위, 직무 등을 규정한 법적 근거를 가지며, 법적 통제만큼 엄격한 전문직 규범을 가진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고전 이론이 제시한 전문직의 요건들은 오늘날에도 빈번히 인용되고 있다.
Greenwood가 주장하는 전문직의 요건은? Greenwood(1957, p. 45)는 전문직의 요건으로 체계적 이론, 전문적 권위, 커뮤니티의 인정, 윤리규정, 전문적 문화를 제시하며, 이 요건들이 충족되어야 전문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Goode(1960, p.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요건으로 인해 처음으로 기록학 대학원 교육과정이 개설된 학교는? 1999년 법령에 따라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16609호)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요건을 “기록물 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 “역사학 또는 문헌정보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로서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기록물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로 규정하고, 검찰, 군, 경찰 등 기관은 각 기관의 장이 정하는 사람중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기록물관리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로 명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을 요구한 규정을 바탕으로 1999년 목포대학교에서 처음으로 기록학 대학원 교육과정이 개설되었고, 2005년 45개 중앙행정기관부터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배치되기 시작했다. 이후 기록학 대학원 교육과정이 급격히 증가하여, 2010년에 이르러서는 전국 21개 대학교에 기록학 대학원 과정이 설립, 운영되었다(<표 1>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ang, Eun-Bi, Oh, Hyo-Jung, Kim, Chan-Young, & Kim, Young (2016).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actitioners and Students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on the Professionalism of Archivis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4), 147-17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6.27.4.147 

  2. Gang, Ju-Yeon, Kim, Tae-Young, Bae, Sung Jung, Lee, Seung Chae, & Oh, Hyo-Jung (2019).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s of Curriculum Operation for Archives and Records Man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9(2), 25-5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9.19.2.025 

  3. Prime Minister's Office (2010. 4. 21). The government plans to drastically improve the "education regulations" of all state-run exams for employment in public institutions - easing academic discrimination, including the drastic reduction of regulations on academic qualifications when obtaining state certificates.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NONB1201008623 

  4. Archival Management Research Team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rchival Management Specialist System. The Korea Archival Professionals Association.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archivists.or.kr/attachment/cfile27.uf@186DAD424FA779CF033B6F.pdf 

  5. Joint Committee on Archival Management Issues (2011). Joint Committee on the Archival Management Report.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archivists.or.kr/attachment/cfile25.uf@111D5B354EB23325025AB8.PDF 

  6. Kim, Ki-Seok (2000). Some Thoughts on The Training of Archivists for Korean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 77-106. 

  7. Kim, Soon-Hee (2009). A Study on a Te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Working Ability for Records Manag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71-293. 

  8. Kim, Yong-Won (2001).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Record Management Science Education-with focus on the Faculty of 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Surugadai Universuty; Evolving program, New Conn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 69-94. http://dx.doi.org/10.14404/JKSARM.2001.1.1.069 

  9. Kim, Iek-Han (2003). Quality Inprovement of Professional Agent System and Record Management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7), 129-148. 

  10. Kim, Jung-Ha (2001). A Study on the case of education to train an archivist-Focus on the archival training courses and the tradition of archival science in Ita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 201-230. http://dx.doi.org/10.14404/JKSARM.2001.1.1.201 

  11. Kim, Tae-Soo (2002). Education Courses and Professional Policies in Record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1), 7-39. http://dx.doi.org/10.14404/JKSARM.2002.2.1.007 

  12. Kim, Heejung (2007). A Study on Analysis of Types and Roles of Records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1), 129-143. http://dx.doi.org/10.14404/JKSARM.2007.7.1.129 

  13. Baek Won-woo's office (2010). Discussion on the revis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Act: Management of records going backward, Is it the beginning of evidence destruction? National Assembly Law and Electronic Library.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dl.nanet.go.kr/law/SearchDetailView.do?cnPAMP1000034205 

  1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Presidential Ordinance No. 22673, 2011. 2. 22), Part of the Amendment) Reasons for enactment and revision.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www.law.go.kr/LSW/lsRvsRsnListP.do?lsId002254&chrClsCd010202&lsRvsGubunall 

  15. Si, Kwisun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cord and Archives Training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23-45. http://dx.doi.org/10.14404/JKSARM.2011.11.1.023 

  16. An, Dea-hee (2013). First step in the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 exam. Girokin, 23, 56-59. 

  17. Yu, Hye-Jung & Chung, Yeon-Kyoung (2012). A Comparative Study on Professional Qualification Factors of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85-104. 

  18. Lee, Sang-Min (1998). Archival Studies and Archivis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rchival Preservation Research, 11, 109-141. 

  19. Lee, So-Yeon (2011). Records/Archives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Exclusive Privileges in Exchange of Professional Commit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113-13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1.11.1.113 

  20. Lee, Seung-Hwi (2010.2.10.). For whom is the archival profession qualification mitigating? Chosun-Ilbo.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2/09/2010020901732.html 

  21. Jang, Hye-Li & Choi, Jae-Hwang (2008).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Records Manag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123-142. http://dx.doi.org/10.14404/JKSARM.2008.8.1.123 

  22. Chung, Yeon-Kyoung (2002). A Study on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grams in the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U.S.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4), 101-122. http://dx.doi.org/10.4275/KSLIS.2002.36.4.101 

  23. Chung, Yeon-Kyoung (2003a). A Comparative Study of Graduate Archival Programs in Korea and North Americ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1), 81-100. http://dx.doi.org/10.4275/KSLIS.2003.37.1.081 

  24. Chung, Yeon-Kyoung (2003b). A Study of the Guidelines for Graduate Archiv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10, 31-48. 

  25. Chung, Yeon-Kyoung (2005). AComparative Study of Graduate Level Archival Curriculum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5(2), 5-25. http://dx.doi.org/10.14404/JKSARM.2005.5.2.005 

  26. Chung, Yeon-Kyoung (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a New Direction for Archiv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1), 99-118. http://dx.doi.org/10.14404/JKSARM.2010.10.1.099 

  27. Jeong, Him-Chan & Kim, Soojung (2018). A Study on the Transfoer Effect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r Records Manag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3), 71-95.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071 

  28. Choi, Jae-hee (2007).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establishing guidelines for graduate education courses in archival management. Archivist, First Issue, 58-61. 

  29. Cheo, Jung-Tai (2000). 'Archival Management',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Program: Analyze the curriculum of Archival Management Course in 9 Univers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 169-193. 

  30. Choe, Jung-Tai & Yoon, Song-Won (2001). A Study on Establishment for Archival Management and Training of Archiv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 95-129. http://dx.doi.org/10.14404/JKSARM.2001.1.1.095 

  31. ACA (2019). Handbook for Archival Certification(revised). Retrieved January 5, 2020, from https://www.certifiedarchivists.org/wp-content/uploads/2020/01/ACA-Handbook_Revised_201909.pdf 

  32. ARA (2010). Archives & Records Association Launches.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archives.org.uk/news/61-archives-a-records-association-launches.html 

  33. ARA (2018). Operating Procedures and Assessment Criteria of the Archives and Records Association Qualifications Accreditation Panel. Retrieved January 5, 2020, from https://www.archives.org.uk/images/Careers/Accreditation_Criteria_2018.pdf 

  34. Duranti, Luciana (2007). Models of Archival Education: Four, Two, One or a Thousand? Archives & Social Studies: A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1(0), 41-62. 

  35. FARMER (2013). Guidance to those wishing apply for postgraduate training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Retrieved January 10, 2020, from https://www.archives.org.uk/images/documents/CPD/FARMERGuidelines_applicants.pdf 

  36. Friedson, E. (1986). Professional Powers: a Study of Institutionalization of Formal Knowledg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 Goode, W. J. (1960). Encroachment, Chariatanism and the Emerging Profession: Psychology, Sciology and Medicine. American Sciological Review, 25, 902-965. 

  38. Greenwood, Ernest (1957). Attributes of a Profession. Social Work, 2(3), 45-55. 

  39. Hamburger, Susan (2014). Archival Certification - Necessity or Nicety?.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 2013 Research Forum. Retrieved January 5, 2020, from http://files.archivists.org/pubs/proceedings/ResearchForum/2013/Hamburger-ResearchForumPaper2013.pdf. 

  40. Mott, Linn (2015). Not Waiting for Godot: The History of 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a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Archival Field. The American Archivist, 78(1), 99-115. https://doi.org/10.17723/0360-9081.78.1.96 

  41. Perks, R. W. (1993). Accounting and Society. London: Chapman & Hall. 

  42. SAA (2016).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