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Intention of Childbirth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103 - 111  

박성희 (부산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변은경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결혼관, 자녀관, 출산양육동기, 출산의지의 정도를 알아보고,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출산의지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2개 대학교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였고, 최종 24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 t-검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결혼관, 자녀관, 출산양육동기, 출산의지의 정도는 결혼관 평균 3.39±.38점, 자녀관 평균 2.72±0.39점, 출산양육동기 평균 2.73±0.78점, 출산의지 평균 3.12±0.48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출산의지의 차이에서 연령(F=6.002, p=.003)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결혼관, 자녀관, 출산양육동기와 출산의지와의 상관관계에서 출산의지는 결혼관 중 보수적 결혼관(r=.207, p=.001), 적극적 결혼관(r=.226, p<.001), 도구적 결혼관(r=.181, p=.004), 양육동기(r=.283, p<.001)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출산의지는 결혼관 중 소극적 결혼관(r=-.292, p<.001), 자녀관(r=-.226, p<.001)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212, p<.001), 결혼관(β=-.318, p<.001), 출산양육동기(β=.227, p=.006)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0.2%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awareness about marriage, the value of children, and the motivation for childrearing influences childbirth will in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 to May 30, 2019, and 248 data sample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출산과 양육의 예비 여성으로 여성간호학의 수강으로 출산과 생명존중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진 간호여대생을 대상으로 출산의지의 정도를 확인하고,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치관의 정립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을 대상으로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결혼관, 자녀관, 출산 양육 동기, 출산의지의 정도를 알아보고,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출산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출산의지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결혼관, 출산양육동기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0.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출산의지 향상을 교육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대학생 시기는 발달단계상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정서적으로 성숙해지며 이성과의 친밀감을 구축해 나가는 시기로 결혼에 대한 욕구도 구체화되는 예비 부모세대라고 할 수 있다[1-2].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결혼관이 있다. 결혼관은 결혼과 배우자 선택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을 말하는 것으로 가치관의 변화는 배우자 선택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을 변화시킨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Y. J. Lee, "A study of the parenthood motivation, perceptions of becoming a parent, and confidence about parental rol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92, pp. 1-18, 2015. 

  2. O. B. Jung, J. H. Im, S. H. Jung, K. E. Kim, Y. J. Park, "Attachment to parents motives for parenthood and perceptions of parental roles amongst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a working model",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15, no. 4, pp. 67-91, 2008. 

  3. H. G. Kim, J. Y. Seo, "Factors impacting on the marital and childbearing willingn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Institute for Korean Culture, vol. 52, pp. 175-206, 2012. 

  4. H. J. Kwon, Y. J. Kim, S. J. Kwon, S. A. Park, Y. M. Ahn, G. S. Oh, K. S. Le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childbirth as a challen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8, no. 1, pp. 175-200, 2011. 

  5. H. Y. Lee, "Analyzing determinants of Korean woman's birth behavior",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vol. 11, no. 1, pp. 99-132, 2011. DOI: http://dx.doi.org/10.35224/kapd.2011.11.1.004 

  6. S. Y. Lee, D. A. G. Hong, "The study on the idea of marriage and childbirth will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9, no. 2, pp. 3-28, 2014. 

  7. H. S. Kim, J. S. Park, E. J. Jo, "The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birth of health care field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5, no. 2, pp. 131-146, 2011.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1.5.2.131 

  8. Y. E. Kim, J. Y. Ha, "An understanding of low fertility examined through childbirth and parenting, value of child of college wome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 8, no. 3, pp. 121-140, 2016. 

  9. S. S. Lee, "A study on impact of the change in values on marriage and fertility behavio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26, no. 2, pp. 95-140, 2006. 

  10. T. H. Kim, "Personal value changes and low fertilit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02, pp. 16-24, 2005. 

  11. S. A. Hong, H. R. Yoon, "A study on family values influencing on university students' childbirth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6, no. 3, pp. 197-208, 2012.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2.6.3.197 

  12. H. Y. Shin, E. R. Bang, "Youth perception on childbirth & marriage",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5, no. 3, pp. 95-113, 2008. 

  13. W. S. Jung, S. N. Lee, S. J. Lee, "Morden education psychology", Gyoyug Publishers, pp. 226-273, 1983. 

  14. Y. A. Park,, "The study on the effective element of pregnancy will ", Doctoral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2013. 

  15. S. Y. Yoon, "An analysis on the fertility rate and women's employment of lower fertility household"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3, no. 2, pp. 159-166, 2005. 

  16. K. S. Kim, S. M. Lee, "Marriage-idelogy reflected on the view of marriage of unmarried man and women",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 no. 1, pp. 27-43, 1998. 

  17. M. S. Yang, J. D. Schvaneldt, "A study on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I",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vol. 10, pp. 265-282, 2015. 

  18. T. H. Kim, "A scheme for prosocial marriage and child values of Korean primary and high school student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24, pp. 15-24, 2007. 

  19. Y. S. Lee, H. N. Kim, J. W. Le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hildbirth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values",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3, no. 2, pp. 109-140, 2019. 

  20. M. R. Lee, "Effects of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on unmarried women's motivation for childbirth and childrearing",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4, no. 3, pp. 75-96, 2009. 

  21. J. W. Lee, "A pathway analysis on determination of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 working women with a child: focused on value fact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0, no. 1, pp. 323-351, 2009. DOI: http://dx.doi.org/10.16999/kasws.2009.40.1.323 

  22. Y. B. Lee, S. H. Lee, "The impact of child care service on the fertility decision of married women",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vol. 9, no. 2, pp. 95-113, 2004. 

  23. C. H. Jung, "The characteristics of couples by their desires for a second child",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3, no. 3, pp. 25-33, 2005. 

  24. H. Y. Kim, B. Y. Seon, S. D. Kim, "A study on late marriage and low fertilit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vol. 16, pp. 1-277, 2009. 

  25. B. R. Lee, S. O. Kim,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of marriage and childbirth",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7, no. 2, pp. 155-175, 2012. 

  26. S. N. Yeo, "The effect of awareness about the high school student's marriage and childbirth to pre-parent's role ", Dongshin University, Jeollannam-do, 2014. 

  27. Y. H. Ju, E. S. Jung, M. S. Shim,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value on marriage, children and sexual attitud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9, pp. 267-278, 2013. DOI: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9.267 

  28. M. R. Chung, Y. H. Chang, "A study on the conception of the values of marriage, having child & job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s variables", Education Research, vol. 41, pp. 1-17, 2007. 

  29. L. W. Hoffman, M. Hoffman, "The value of children to parents. in James T. Fawcett(e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Population. New York: Basic Books, pp. 19-76, 1973. 

  30. E. J. Jo, E. S. An, "Influence of awareness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on pre-parent's role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1, pp. 208-217, 2017. DOI: http://doi.org/10.5762/KAIS.2017.18.11.208 

  31. H. S. Kim, J. S. Park, E. J. Jo,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of health care fields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5, no. 2, pp. 131-146, 2011.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1.5.2.131 

  32. J. W. Oh, Y. S. Moon, I. S. Park, "A study of nurses' working stress, child-rear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0, pp. 469-481, 2013. DOI: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0.469 

  33. N. J. Kim, S. J. Ko,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marri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4, pp. 178-185, 2018.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8.19.4.178 

  34. K. H. Shon, N. H. Kim, E. S. Lee, "The study on the family strength, idea of marriage and childbirth will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1, pp. 719-728, 2019. DOI: http://dx.doi.org/10.21742/AJMAHS.2019.01.72 

  35. B. R. Lee,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of marriage and childbir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012. 

  36. M. J. Baek, H. S. Ryu, "Factors influenc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of childbirth",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4, no. 4, pp. 2001-2012, 2012. 

  37. E. J. Park, H. M. Chun, "The effect of vocational consciousness on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6, no. 2, pp. 87-105, 2011. 

  38. M. H. Do,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wareness on marriage and childbirth to future marriage and childbir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6, no. 4, pp. 163-178, 2011. 

  39. S. S. Lee, "A study on impact of the change in values on marriage and fertility behavio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26, no. 2, pp. 95-140, 2006. 

  40. K. S. Sin, "A study on birth will of college students-targeting on Daegu-Gyeongbuk region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Daegu,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