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합성이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ss and Sense of Coherence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Out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232 - 239  

이원주 (울산대학교병원) ,  이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합성이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에서 7월까지 U광역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뇌졸중으로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 1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통합성, 스트레스 및 건강행위 이행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이행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건강행위 이행은 통합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r=.71, p<.001), 스트레스와 유의한 음의 상관(r=-.53, p<.001)을 나타냈다. 영향요인으로 모델 1에서는 설명력 39.6%로 성별(t=4.07, p<.001), 교육수준(t=4.18, p<.001), 월수입(t=-2.34, p=.021)이며, 모델 2에서는 설명력 60.4%로 성별(t=4.65, p<.001), 교육수준(t=3.24, p=.002), 통합성(t=4.33, p<.001)이었다. 이상에서 나타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통합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ress and sense of coherence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patients with stroke. The subjects were 124 outpatients with stroke at a general hospital in Ulsan from May to July, 201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통합성이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발생은 매 몇 분마다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가> 뇌졸중은 뇌혈관 폐색이나 파열로 인한 갑작스런 의식변화 및 신체마비, 언어장애, 근육경직, 연하장애 및 인지기능 장애와 같은 국소 신경학적 장애가 24시간이상 지속되는 질환이며 허혈성 또는 출혈성으로 나뉜다[1]. 뇌졸중의 발생은 매 5분마다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현재에 비해 약 3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1,2].
어떤 자원을 전반적 내성자원이라고 하는가? 이 때 스트레스원에 의해 나타나는 긴장을 해소하도록 하는 자원을 전반적 내성자원(generalized resistance resources)이라 하는데, 이는 신체적, 물질적, 생화학적, 인지적, 정서적, 인간관계적, 사회문화적 및 윤리적 요소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의료적 처치 및 간호중재가 포함 될 수 있다[9]. 전반적 내성자원은 통합성을 강화시키는데, 통합성은 개인의 전체상황을 이해하고 이용 가능한 내성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자신이 처한 상황을 평가하고 이해하며 궁극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을 활용하고 조절하는 개인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11].
뇌졸중 환자의 통합성과 스트레스가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 결과는? 연구결과 건강행위 이행의 정도는 중간이상의 수준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 이행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수입, 진단, 발병횟수, 보행, 일상생활수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행위 이행은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 통합성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건강행위 이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및 통합성이었으며 이들의 총 설명력은 60.4%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인 통합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 Jaracz, B. Grabowska-Fudala, K. Gorna, W. Kozubski, "Caregiving burden and its determinants in Polish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Medical Science. Vol.10, No.5, pp.941-50, 2014. DOI: https://doi.org/10.5114/aoms.2014.46214 

  2. H. Y. Shin, J. H. Lee, J. H. Song, S. M. Lee, J. H. Lee, B. S. Lim, H. R. Kim, S. Huh, "Cause-of-death statistic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4",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ciation, Vol.59, No,3, pp.221-232, 2016.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6.59.3.221 

  3. H. G. Kim, K. J. Oh, "Post Stroke Depression A review on it's prevalence, course and relation to lesion loc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5, No.1, pp.217-234, 1996. 

  4. A. Franco, A. A. Vita, F. Nicoletta,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ocial activity and family stress on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Stroke, Vol.24, No.10, pp.1478-1483, 1993. DOI: https://doi.org/10.1161/01.STR.24.10.1478 

  5. K. S. Choi, S. W. Han, S. U. Kwon & J. S. Kim, "Post 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Cerebrovascular Disease, Vol.19, No. 2, pp.84-90, 2005. DOI: https://doi.org/10.1159/000082784 

  6. R. S. Lazaru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7. M. Binkowska-Bury, P. Januszewicz, "Sense of coherence and health-related behaviour among university students-a questionnaire survey",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8, No.3, pp.145-150, 2010. 

  8. M. Eriksson, B. Lindstrom, "A salutogenic interpretation of the Ottawa charter",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23, No.2, pp.190-199, 2008. DOI: https://doi.org/10.1093/heapro/dan014 

  9. A. Antonovsky.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p. 1-218, San Francisco: Jossey-Bass, 1987. 

  10. A. Antonovsky,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sense of coherence scal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36, No.6, pp.725-733, 1993. DOI:https://doi.org/10.1016/0277-9536(93)90033-Z 

  11. N. Y. Kim, Y. H. Choi.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alutogenic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 No.4, pp.197-212, 2016.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4.197 

  12. I. S. Suh, A study on the sense of coherence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2. 

  13. U. Lindmark, B. Stegmayr, B. Nilsson, B. Lindahl, I. Johansson. "Food selection associated with sense of coherence in adults", Nutrition Journal, Vol.4, No.9, 2005. DOI: https://doi.org/10.1186/1475-2891-4-9 

  14. K. S. Kim, S. M. Choi, "Influence of nurses' sense of coherence on their stress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7, No.4, pp.493-507, 201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93 

  15. T. Haoka, S. Sasahara, Y. Tomotsune, S. Yoshino, T. Maeno, I. Matsuzaki, "The effect of stress-related factors on mental health status among resident doctors in Japan", Medical Education, Vol.44, No.8, pp.826-834. 2010. DOI: https://doi.org/10.1111/j.1365-2923.2010.03725.x 

  16. K. S. Kim, "Influence of Nurses' Sense of Coherence on Their Stress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7, No.4, pp.493-507.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93 

  17. J. M. Yun, The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Salutogenesis for Elderly with Metabolic Syndrome.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18. 

  18. B. Neuman, The Neuman Systems Model: Application to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Norwalk, C. T. Appleton-Century-Crofts, 1982. 

  19. K. S. Kim, A study of stress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relationship to ADL,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95. 

  20. O. J. Park,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s in hypertensive cl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9, No.2, pp.175-188. 1997. 

  21. M. H. Kim, "Conceptual approach to compliance of health behavior"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3, No.1, pp.125-141. 2006. 

  22. S. M. Kang,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Chungju, Korea, 2005. 

  23. C. G. Kim, H. A. Par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J Korean Acad Nurs, Vol.41 No.1, pp.47-60, 2011. DOI: https://doi.org/10.4040/jkan.2011.41.1.47 

  24. K. S. Kim, S. I. Chun, H. C. Oh, J. B. Shin, "A study of stress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relationship to ADL",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3, No.1, pp.3-20. 1995. 

  25. M. Y. Ham, An effects of individualized early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acut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Ph. 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1. 

  26. K. L. Koenig, E. M. Whyte, M. C. Munin, L. O'Donnell, E. R. Skidmore, L. E. Penrod, E. J. Lenze, "Stroke-related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s among post stroke patients in inpatient rehabili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8, No.9, pp.1214-6. 2007. DOI: https://doi.org/10.1016/j.apmr.2007.05.024 

  27. R. Ji, G. Liu, H. Shen, Y. Wang, H. Li, E. Peterson, Y. Wang, "Persistence of secondary prevention medications after acute ischemic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in Chinese population: Data from China National Stroke Registry" Neurological Research, Vol.35, No.1, pp.29-36. 2013. DOI: http://dx.doi.org/10.1179/1743132812Y.0000000107 

  28. J. Y. Lee, H. S. Kim,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20, No.2, pp.145-153. 2014. DOI: https://doi.org/10.14370/jewnr.2014.20.2.145 

  29. E. J. Kim, "The effec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2, pp.8525-8534,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525 

  30. N. W. Wainwright, P. G. Surtees, A. A. Welch, R. N. Luben, K. T. Khaw, S. A. Bingham, "Healthy lifestyle choices: Could sense of coherence aid health promotio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61, No.10, pp. 871-876, 2007. DOI: https://doi.org/10.1136/jech.2006.056275 

  31. E. Y. Jung, S. K. Hwang,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7, No.3, pp.251-261, 2015.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5.27.3.251 

  32. Y. O. Choi, J. H. Lee, "Impact of stroke knowledge, fear of recurrence on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9, No.3, pp.302-312, 2017. 

  33. M. S. Ko, K. J. Kang,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on health behavior practice in elderly out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24, No.3, 293-302, 2018. DOI: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3.293 

  34. E. J. Kim, "The effec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2, pp.8525-8534,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