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2, 2015년, pp.8525 - 8534  

김은주 (전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인이 뇌졸중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22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ructural Equ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건강증진행위와 상관관계에서는 주관적 건강(r=.56, p=.000), 가족지지(r=.68, p=.000), 의료적 지지(r=.65, p=.000), 피로(r=.27, p=.004), 행위의도(r=.75, p=.000)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뇌졸중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요인인 수면(${\beta}$=-.156, p=.014), 정신적 요인인 주관적 건강(${\beta}$ =.283, p=.001), 행위의도(${\beta}$=.362, p=.000), 사회적 요인인 가족지지(${\beta}$=.219, p=.010), 의료적지지(${\beta}$=.246, p=.004)가 유의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뇌졸중환자의 건강증진행위는 수면이 좋을수록, 주관적 건강, 행위의도, 가족지지 의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게 나타나 정신적, 사회적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사회심리적인 맞춤형 접근이 뇌졸중환자 건강을 유지, 증진, 재발예방을 위한 건강증진행위 프로그램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Physically,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f the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include the patients that were Stroke was diagnosed and being admitted to hospital. The data of total 223 stroke patien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중재전략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주관적 건강, 가족지지, 의료 적지지, 행위의도, 수면, 피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주관적 건강, 가족지지, 의료적 지지, 행위의도, 수면, 피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뇌졸중환자의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중재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첫째, 뇌졸중환자의 일반적 특성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재발이 흔한 질환으로 발병 후 5년 안에 재발될 확률은? 뇌졸중은 재발이 흔한 질환으로 발병 후 5년 안에 재발될 확률이 약 25%정도로, 뇌경색이 재발한 경우에는 처음 발병했을 때보다 심한장애가 남을 뿐만 아니라 치명률도 높아[5],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발 위험성은 항응고제, 혈압조절, 금연, 절주, 야채중심과 싱겁게 먹는 식습관과 정기적인 운동, 정상체중 유지, 스트레스 관리 및 긍정적인 마음가짐 등 생활양식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행위로 경감시킬 수 있다[6]
노인질환으로 인식되었던 뇌졸중의 최근 경향은? 우리나라의 경우 2013년 주요 사망원인 중 10만 명당 사망자수 50,3명으로 악성 신생물(암)에 이어 뇌혈관질환이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계속 이어오고 있다[2]. 예전에는 노인질환으로 인식되었던 뇌졸중이 최근에는 경제발달과 식생활변화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좌식생활의 증가,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더불어 30-40대의 뇌졸중 발생빈도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뇌졸증의 재발 위험성을 감소 시켜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재발이 흔한 질환으로 발병 후 5년 안에 재발될 확률이 약 25%정도로, 뇌경색이 재발한 경우에는 처음 발병했을 때보다 심한장애가 남을 뿐만 아니라 치명률도 높아[5],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발 위험성은 항응고제, 혈압조절, 금연, 절주, 야채중심과 싱겁게 먹는 식습관과 정기적인 운동, 정상체중 유지, 스트레스 관리 및 긍정적인 마음가짐 등 생활양식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행위로 경감시킬 수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Stroke Society, "2013 Stroke of the Day PR Slide", 2013. Available From: http://www.stroke.or.kr/bbs/index.html?codeday&category&gubun&page1&number1443&modeview&order&sort&keyfield&key&page_type 

  2. Statistics Korea, "2014 Social Indicators of Korea", 20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34501 

  3. H. Naess, U. Waje-Andreassen, L. Thomassen, H. Nyland, K. M. Myh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with ischemic stroke on long-term follow-up", Stroke, Vol. 37, No. 5, pp. 1232-1236, May 2006.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O44637186 

  4. H. M. Jung, Y. S. Jeon, "Aroma massage on shoulder pain,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in hemiparesis pati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7, No. 2, pp. 231-237, 2004.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A75097407 

  5. K. M. Mohan, C. D. Wolfe, A. G. Rudd, P. U. Heuschmann, P. L. Kolominsky-Rabas, A. P. Grieve, "Risk and cumulative risk of stroke recurre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roke, Vol. 42, No. 5, pp. 1489-1494, 2011. Available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37486 

  6. H. K. Park, "The Relationship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Risk Indicator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Korean J Rehabil Nursing, Vol. 9, No. 2, pp. 134-144, December, 2006. Available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0806815 

  7. M. S. Lee, "Relating Factor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troke Patients", Graduate School, Busan catholic University, 2004. http://www.riss.kr/link?idT11217265 

  8. S. G. Bae, S. K. Lee, C. H. Han,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in Stroke: Based on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418-428, 2015.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418 

  9. J. I. Kim,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e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656-4667, 2015.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656 

  10. R. C. Plotnikoff, D. R. Lubans, S. A. Costigan, L. McCargar,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in an overweight / obese population sample of adolescents from Alberta, Canada", Health Education & Behavior, Vol. 40, No. 4, pp. 415-425, 2013.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1177/1090198112455642 

  11. S. Choi-Kwon, S. W. Han, S. U. Kwon, J. S. Kim, "Post 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Cerebrovasc Diseases, Vol. 19, No. 2, pp. 84-90, 2005.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1159/000082784 

  12. S. K. Son,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canc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14, No. 3, pp. 378-389, 2002.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922491 

  13. E. L. Glader, B. Stegmayr, K. Asplund, "Post stroke fatigue :A 2 year follow-up study of stroke patients in Sweden", Stroke, Vol. 33, No. 5, pp. 1327-1333, 2002.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14248.28711.D6 

  14. S. N. Walker, K. R. Sechrist, & N. J. Pender, "The health -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 36, No. 2, pp. 76-81, 1987.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15. H. J. Kim, "Effective of Health-Promoting Program For Stroke patients at H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myung University, 2004. http://www.riss.kr/link?idT9733079 

  16. D. L. Speake, M. E. Cowart, K. Pellet,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 12, No. 2, pp. 93-100, 1989.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1002/nur.4770120206 

  17. M. J. Cho,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ve Behaviors for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University, 2012.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0868648 

  18. S. N. Youn, J. H. Kim,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8, No. 2, pp. 130-140, 1999.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A75234800 

  19. H. M. Seo,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2001.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7938720 

  20. K. H. Kim, "Quality of Sleep and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in C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1. http://www.riss.kr/link?idT8951963 

  21. K. I. Chung, C. H. Song, "Clinical Usefulness of Fatigue Severity Scale for Patients with Fatigue, and Anxiety or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 9, No. 2, pp. 164-173, 2001. 

  22. Y. S. Jang, H. D. Kim, H. A. Chung, "Correlations Among the Sleep,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2, pp. 6302-6308, 2013. http://www.riss.kr/link?idA99957748 

  23. H. J. Oh, D. H. Kim, "Research on The Influential Factors in Senior Citizens' Health Promotion Behaviors",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Vol. 32, No.- 2012.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A99558697 

  24. M. H. Kim, "Explanatory Model for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Patients Living at Home who have Post Stroke Hemipleg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6, 2006.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A100115671 

  25. J. E. kwon, "Tanker Driver's Quality of Sleep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 Book University. 2012. Available From: http://www.riss.kr/link?idT12892464 

  26. W. S. An, C. M. Heo,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ubjective Health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ly Participant in Physical Activity Program",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58, No. 1, pp. 763-773, 2014. Available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285400 

  27. K. S. Jeong, J. U. Heo, Y. S. Tae, "Relationships among Distress,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ian Oncology Nursing, Vol. 14, No. 3, pp. 146-154, 2014 Available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81865 

  28. S. W. Park, S. J. Yang,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Workers with High Risk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 26, No. 2, pp. 128-139, 2015.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2.128 

  29. N. Y. Shin, Y. H. Kang,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Locus of Control and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Coronary Artery Disea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7, No. 3, pp. 294-303, 2015. Available From: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5.27.3.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