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및 자기 효능감에 대한 구조모형: 경로분석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Teachers' Stress, Burnout, and Self-Efficacy: A Path Analysis Approach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317 - 325  

이미준 (강북삼성병원 미래헬스케어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보건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소진 및 자기 효능감의 수준과 이들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구조모형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보건교사 814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인과관계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평균 2.9±0.64, 소진은 2.6±0.52로 Likert 5점 척도의 중간 값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나, 이에 반해 자기 효능감은 4.1±0.51로 높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하위구성 요인별로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 중에서 '학생 및 가정요인'과 '동료교사 인식'의 경우가 높은 수준이었고 소진의 경우는 '부과업무'가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을 증가(r=.511) 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떨어트리는 효과(r=-.179)를 가지며, 또한 소진은 자기 효능감을 상당하게 감소((r=-.460)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소진은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건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줄이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정책수립과 실질적 개선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a structural model,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self-efficacy levels of health teachers responsible for school health.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814 health teachers, and valida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교사 업무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이 교사의 신념과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효능감과의 정도와 영향을 분석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감소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데 활용하고자 수행한 구조방정식의 경로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그리고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방정식의 경로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이 자기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경로분석 연구로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감소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기본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스트레스, 소진, 자기 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일부 수행[12,13]되었지만 대부분이 회귀분석으로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14]. 이에 이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이 자기 효능감과 서로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로분석으로 타 연구와 차별화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 및 청소년기 무엇을 경험하는 시기인가? 아동 및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로 생애주기별 관점에서 생활습관이 형성되고 건강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성인기에 발병하는 여러가지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들은 많은 부분이 청소년기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부터 기인함을 고려하면 청소년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다[1].
보건교사의 교사 업무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이 교사의 신념과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효능감과의 정도와 영향을 분석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감소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데 활용하고자 수행한 구조방정식의 경로분석연구에서 제언할 점이 있다면? 첫째, 서울시에 근무하는 초·중등보건교사에 추가하여 다른 지역의 초·중등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지역을 확대한 반복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는 양적 연구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그리고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욱 실증적이고 다양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며 도구의 요인분석으로 재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의 모델을 다양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건교사의 특수성을 고려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감소시키고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개발되어야 한다.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 수행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변화, 자극, 손실, 압박, 긴장, 불안, 걱정, 좌절, 분노, 불편감 등의 부정적 결과를 나타내는 스트레스를 의미한다[5].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무 특성과 더불어 개인의 내적 특성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S. Ryu, Y. J. Im, J. Cho. "Health education needs and confidence of school nur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7, No.2 pp. 280-292. 2013. DOI: https://dx.doi.org/10.5932/JKPHN.2013.27.2.280 

  2. H. J. Ryu, J. S. Park. "A study on the performance level,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improvement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19, No.2 pp. 247-257. 2007. 

  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chool health act.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2018, [cited 2019 Jul 3],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202897&efYd20180928#0000 

  4. I. S. Kang, S. Y. Cho, H. J. Jeong.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school nurses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23, No.2 pp. 286-295. 2010. 

  5. Y. H. Kim, Y. T. Kim, B. Y. Sun, S. B. Ko. "Job stress actual condition and management plan of woman workers in the service sector,"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Seoul, 2006. 

  6. J. J. Ko. "A study on the job stressor during teachers' duties affecting the stress at work and the intermediate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3, No.4 pp. 247-268. 2009. 

  7. M. Bitran, D. Zuniga, N. Pedrals, G. Echeverria, C. Vergara, A. Rigotti, K. Puschel. "[Burnout in students of health-care professions. Risk and protection factors]", Revista medica de Chile, Vol.147, No.4 pp. 510-517, Apr. 2019. DOI: https://dx.doi.org/10.4067/s0034-98872019000400510 

  8. K. Salmela-Aro, N. Kiuru, J. E. Nurmi. "The role of educational track in adolescents' school burnout: a longitudinal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8, No.4 pp. 663-689, Dec. 2008. DOI: https://dx.doi.org/10.1348/000709908x281628 

  9. G. Jourdain, D. Chenevert. "Job demands-resources,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the nursing professio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7, No.6 pp. 709-722, Jun. 2010. DOI: https://dx.doi.org/10.1016/j.ijnurstu.2009.11.007 

  10. B. R. van Gelderen, A. B. Bakker, E. A. Konijn, E. Demerouti. "Daily suppression of discrete emotions during the work of police service workers and criminal investigation officers", Anxiety, stress, and coping, Vol.24, No.5 pp. 515-537, Oct. 2011. DOI: https://dx.doi.org/10.1080/10615806.2011.560665 

  11. C. Kim, E. Y. Yi. "Development of job stress scale for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17, No.1 pp. 79-92. 2013. 

  12. J. Song, S. Y. Huh.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focusing on nurses' experienc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4 pp. 544-570. 2018. DOI: https://dx.doi.org/10.15709/hswr.2018.38.4.544 

  13. H. Park, S. Ou.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 counselors on burnout",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16, No.2 pp. 153-169. 2013. 

  14.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012. 

  15. S. I. Lee, S. R. Ma.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12, No.7 pp. 279-288. 2018. DOI: https://dx.doi.org/10.21184/jkeia.2018.10.12.7.279 

  16. K. G. Joreskog, H. O. A. Wold. "Systems under indirect observation: causality, structure, prediction," North-Holland, Amsterdam, 1982. 

  17. C. Maslach,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 No.2 pp. 99-113. 1981. DOI: https://dx.doi.org/10.1002/job.4030020205 

  18. J. H. Kim, T. W. Kim. "Teacher's job stress and burnout: crisis of education," Pakhaksa, Seoul, 2006. 

  19.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New York, NY, 1997. 

  20. M. Sherer, C. H. Adams.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Vol.53, No.3 pp. 899-902. 1983. DOI: https://dx.doi.org/10.2466/pr0.1983.53.3.899 

  21. C. R. Yi, N. W. Kwon. "Development of a teacher-efficacy scale for health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19, No.2 pp. 247-259. 2008. 

  22. K. S. Kim. "(AMO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Solution, Seoul, 2004. 

  23.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New York, 2005. 

  24. K. Schermelleh-Engel, H. Moosbrugger, H. Muller. "Evaluating the fi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tests of significance and descriptive goodness-of-fit measures", Method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line, Vol.8, No.2 pp. 23-74. 2003. 

  25. K. K. Kim, B. Yun, M. S. Jeon. "The effects of school health teach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Research, Vol.9, No.2 pp. 22-42. 2011. 

  26. C. Y. Back, D. S. Hyun, S. J. Chang.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a multiple-group path analysis acros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7, No.6 pp. 770-780. 2017. DOI:https://dx.doi.org/10.4040/jkan.2017.47.6.7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