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양분관리를 위한 조사료 단지의 양분수지 개선효과
Improvement of Nutrient Balance using Feed Crops for Regional Nutrient Management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9 no.1, 2020년, pp.89 - 95  

양헌용 (전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정균 (전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오병욱 (전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서일환 (전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질소기준 양분수지가 1위로 양분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양분관리를 위해서는 축사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통하여 생산된 가축분뇨 퇴·액비를 농경지에 올바르게 살포하여 양분이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농경지에 대한 양분관리와도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분수지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양분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조사료의 생산을 통한 가축분뇨 퇴·액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양분관리 효과를 검토하였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로 생산된 퇴·액비를 지역으로 다시 재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가축분뇨 액비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농경지의 토양에서의 총 질소의 농도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소농도의 감소는 작물의 사용량 뿐 아니라 토양에 축적되거나 지하수 및 지표수로 유출되는 것이 포함되어 수질개선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vestock facilities in Korea are on their way of enlargement resulting in increment of livestock manure. When the livestock manure treated inappropriate way during application to the agricultural area, environmental damage can be occurred such as bad smell, water and air pollution. Therefore it 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A시), 밭 중심의 넓은 농경지를 가진 지역(B 시), 논 중심의 농경지를 가진 지역(C 시)의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시군을 대상으로 양분수지를 산정하였으며, 가축분뇨에 대한 문제 해결이 시급한 A 시를 중심으로 양분수지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중에서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활용하여 생산된 퇴·액비만으로 운영되는 조사료 단지를 조성하는 경우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데이터와 현장모니터링을 통하여 가축분뇨 부숙유기질비료만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조사료단지에서의 양분수지 개선효과를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축분뇨로 인한 문제를 분석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가축분뇨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축분뇨 퇴액비의 올바른 사용과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를 포함하는 양분의 적절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양분의 발생량과 사용량을 과학적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토양의 성질과 재배작물의 특성, 수계와의 거리 등에 따라 지역적으로 양분 소모의 특성이 복잡하여 토질, 대기질, 수질에 미치는 양분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어렵다(Fernall, 2010).
가축분뇨 퇴액비란 무엇인가? 가축분뇨 퇴액비는 질소, 인산, 칼륨 등 작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와 함께 다양한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과거부터 친환경 유기질 비료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과다 사용되거나 부숙이 덜 된 가축분뇨 퇴액비를 사용하는 경우 수계, 토양, 대기에 대한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악취 및 미세먼지를 발생시켜 주변 농가·민가에 피해를 준다(Lee, 2007; Shin 등, 2017).
부숙이 덜 된 가축분뇨 퇴액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가축분뇨 퇴액비는 질소, 인산, 칼륨 등 작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와 함께 다양한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과거부터 친환경 유기질 비료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과다 사용되거나 부숙이 덜 된 가축분뇨 퇴액비를 사용하는 경우 수계, 토양, 대기에 대한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악취 및 미세먼지를 발생시켜 주변 농가·민가에 피해를 준다(Lee, 2007; Shin 등, 2017). 가축분뇨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축분뇨 퇴액비의 올바른 사용과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를 포함하는 양분의 적절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J.Y., S.D. Lee, J.S. Han, J.S. ,Choi, J. Oh, Y.H. Lee, J.S. Park, M.Y. Sung, J.H. Park, and Y.D. Son. 2014.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scale wet and dry acid deposition(I), 11-1480523-002150-0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4 (in Korean). 

  2. Bach, M., Hans-Georg Frede, 2004, Assesment of agricultural nitrogen balances for municipalities - example baden-wuerttemberg (Germany), Eupopean Water Management Onlin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Water Association (EWA), 1-4. 

  3. Fernall, D., 2010. Soil Nutrient Balances Reviewing and Developing to Meet Customer Needs, UK:Department for Environment and Rural Affairs, 5-6. 

  4. Hong, S.K. and J.O. Song. 2006, A Analysis of Nutrition Balance in Chungju A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3(4):1127-1150 (in Korean). 

  5. Kim, C.G and T.Y. Kim. 2005, Scheme for Implementing Regionally Based Maximum Nutrients Loading System,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3(2):326-350 (in Korean). 

  6. Kim, C.G., H.K. Jeong, P.E. Im, and T.H. Kim. 2015, Directions for Introducing Total Maximum Nutrient Loading System of Cultivated Lan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C2015-5:128-138 (in Korean). 

  7. Kim, P.J., Y.B. Lee, Y. Lee, H.B. Yun, and K.D. Lee. 2008, Evaluation of Livestock Manure Utilization Rates as Agricultural Purpose in Developed OECD Countries by Using Nutrient Balanc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4):337-342 (in Korean). 

  8. Korea Livestock Economy Research Institute(KLEI), 2018, Development nutrient management manual, 1-3. 

  9.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http://kosis.kr/index/index.do 

  10. Kremer, 2013, Methodology and Handbook Eurostat/OECD - Nutrient Budgets, Luxembourg : Commission european, 18-64. 

  11. Lee, S.C, 2007, Direction of Natural Circulation Eco-friendly Livestock Policy, Korean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38-43 (in Korean). 

  12. Lee, Y, 2003, Nutrient balance of Korean agricultural land,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14:28-39 (in Korean). 

  1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rual Sciences and Technology (NIAST), 2005,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to Cultivation for field crops(INM), 11-1390093-000126-14, 206. 

  14. Nevens, F., I. Verbruggen, D. Reheul, and G. Hofman, 2006, Farm gate nitrogen surpluses and nitrogen use efficiency of specialized dairy farms in Flanders : Evolution and future goals, science direct, Agriculture systems 88, 143-147. 

  15. OECD, 2017, The Nitrogen Cycle and Policy - Towards Coherent Solutions, Environment policy committee, 25-30. 

  16. Oenema, O., Hans Kros, Wim de Vries, 2003, Approaches and uncertainties in nutrient budgets: implications for nutrient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olicies, science direct, Europ. J. Agronomy 20, 3-10. 

  17. RDA, ,Supply and Demand Status and Forecast of roughage in Korea ,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menuIdPS00067&kidofcomdtyNo31591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08, The unit load of livestock excreta in Korea,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g/psga/psgaa/exhstwonUnitCalc.ps?menuIdPS03132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09, The study to Re-Establish the Amount and Major Compostions of manure from livestock, 11-1390000-002309-01,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 1-109. 

  20. Shin, D.W., H.S. Joo, E.J. Seo, and C.Y. Kim. 2017, KEI, Mangement Strategies to Reduce PM-2.5 Emission : Emphasis-Ammonia, 9-34. 

  21. Schroder, J.J., D. Scholefield, F. Cabral, and G. Hofman, 2004, The effects of nutrient losses from agriculture on ground and surface waterquality: the position of science in developing indicators for regulation, Science Direct, 7(1):15-23. 

  22. Yoo, C.H, 1996, A study on the promotion of the Resources of Livestock Manure, Jonural of Rural Development, 19(3): 157-172 (in Korean). 

  23. Yoon, Y.M., C.H. Kim, H.H. Koo, S.Y. Oh, J.M. Hong, S.H. Yoon, C.K. Kim, and M.H. Lee. 2016, A study on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total amount of nutrients, 11-1480000- 001461-01, Minstry of environment, 91 (in Korean).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