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생약 HO-Series의 숙취개선 임상적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f Herbal Mixture HO-Series for Improving Hangover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51 no.4, 2020년, pp.278 - 290  

장보윤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배진혜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김다은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김대성 (한풍제약 중앙연구소) ,  조형권 (한풍제약 중앙연구소) ,  김성연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HO-series. HO-S1 is an herbal mixture, which consists of extracts from Flower of Pueraria lobata Ohwi, Glycyrrhiza glabra Linné, Fruit of Lycium chinense Miller, Poria cocos Wolf,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Scu...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경구 투여한 알코올의 약물동태학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약물동태학 지표로 산출하였다. 0분부터 15, 30, 60, 120, 300, 480, 540분에 검출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이용하여 시간 농도곡선을 작성하고, AUC는 사다리꼴 면적 계산 공식을 이용하여 최종 채혈 시까지의 값을 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혼합 추출물(HO-S1)의 효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당류, 단백질, 생체 물질, 고분자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한외여과를 수행하였다(HO-S2). 또한 HO-S2 동량에 숙취해소에 효과 있다고 알려진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혼합한 HO-S3의 효능을 시험관내 및 동물로 평가하였다. HO-S3을 기반으로 한 음료제품 형태인 HO-01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시험음료 제품의 혈액학적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제품 섭취 전과 섭취 후 혈액학적 검사(total protein, albumin, total bilirubin, alkaline phosphatase, AST(SGOT), ALT(SGPT), γ-GT, creatinine, BU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및 심전도를 실시하였고, 연구기간 내내 부작용과 이상반응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들의 항산화, 간세포 손상의 보호 소재 8종을 스크리닝하고, 결과 및 경제성을 바탕으로 혼합비율을 설정하여 세포, 동물 및 인체적용 실험을 통해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숙취 개선효과를 검토하였다. HepG2세포에서 t-BHP와 HO-series를 처리하였을 때 알코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 실험군은 6마리씩 대조군(EtOH), 시료투여군, 상업적인 숙취음료 제품군(컨디션 파워(CP), 제일제당, 한국)으로 나누었다. 시험에 앞서 사료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위 장관을 통한 알코올의 흡수 방해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알코올 투여 전 9시간 및 시험 전 기간 동안 절식시켰으며 이때 물은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 알코올 투여 0, 15, 30, 60, 120, 300, 480, 540분 후 diethyl ether 마취상태에서 heparinized capillary tube(kimble chase life science and research produsts, LLC, vineland, USA)를 이용하여 안와정맥총 채혈을 수행하였다. 알코올 투여 9시간 후 마취하고 복대 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방혈치사 하였다.
  •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음주 후 30, 90, 150, 210분에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고, 혈중 ADH, ALDH, 활성은 음주 전, 음주 후 30, 90, 150, 210분에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음주 150분 후 및 다음 날 아침(12시간 후) 갈증(thirst), 졸음(sleepiness), 두통(headache), 어지러움(dizziness), 구토(nausea), 무력감(weakness), 복통(stomach pain), 설사(diarrhea), 집중곤란(concentration disorder), 자극에 민감(sensitive), 수면곤란(sleep disorder), 진땀(sweating), 우울증(depression) 및 기억단절(remember interruptions)의 14개 항목에 숙취가 있고 없음에 따라 5점 척도법(숙취가 낮을 경우 최저 1점, 숙취가 높을 경우 최대 5점)으로 평가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혼합 추출물(HO-S1)의 효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당류, 단백질, 생체 물질, 고분자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한외여과를 수행하였다(HO-S2). 또한 HO-S2 동량에 숙취해소에 효과 있다고 알려진 비타민과 아미노산을 혼합한 HO-S3의 효능을 시험관내 및 동물로 평가하였다.
  • 하지만 숙취에 대한 증상은 혈중 알코올 농도가 낮아진 시점 또는 혈중에 알코올이 사라진 이후에도 지속되므로 숙취 증상 평가에 대해서는 설문형식을 통한 연구가 동시에 시행되고 있다. 이에 혈중 알코올 지표 외, 건강기능식품시험법가이드의 숙취 정도 설문지를 참고하여 알코올 섭취 150분, 12시간 후 대상자들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숙취 증상의 호전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인체적용시험 대상자는 시험음료를 일주일간 하루에 음료 1병을 복용하였고, 시험당일 알코올 함량 20.1% 소주 360 mL에 마른안주 25 g을 30분 동안 마시게 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음주 후 30, 90, 150, 210분에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고, 혈중 ADH, ALDH, 활성은 음주 전, 음주 후 30, 90, 150, 210분에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 평소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인 건강한 성인 남성(20~40세) 15명을 대상으로 교차 시험(crossover design) 방식으로 숙취 해소 효과를 확인하는 인체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양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인체적용시험승인(HYU-2020-01-008-1)을 받았으며, 모든 피험자들에게는 시험에 앞서 연구의 기간, 목적 및 방법, 예상되는 효과 및 위험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시험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 1% 소주 360 mL에 마른안주 25 g을 30분 동안 마시게 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음주 후 30, 90, 150, 210분에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고, 혈중 ADH, ALDH, 활성은 음주 전, 음주 후 30, 90, 150, 210분에 혈액을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음주 150분 후 및 다음 날 아침(12시간 후) 갈증(thirst), 졸음(sleepiness), 두통(headache), 어지러움(dizziness), 구토(nausea), 무력감(weakness), 복통(stomach pain), 설사(diarrhea), 집중곤란(concentration disorder), 자극에 민감(sensitive), 수면곤란(sleep disorder), 진땀(sweating), 우울증(depression) 및 기억단절(remember interruptions)의 14개 항목에 숙취가 있고 없음에 따라 5점 척도법(숙취가 낮을 경우 최저 1점, 숙취가 높을 경우 최대 5점)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lancea) 및 건강(Z. officinale)은 한풍제약에서 2019년 1월에 구입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8종의 천연물은 한풍제약의 조형권 박사가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 외 한약(생약) 규격집의 시험법에 따라 검증 후, 각 생약 표본은 한풍제약에서 보관 중이다(HP-19-01).
  • officinale)은 한풍제약에서 2019년 1월에 구입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8종의 천연물은 한풍제약의 조형권 박사가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 외 한약(생약) 규격집의 시험법에 따라 검증 후, 각 생약 표본은 한풍제약에서 보관 중이다(HP-19-01).
  • 본 연구에서는 6주령의 자성 SD 랫트(180±5 g, (주)오리엔트 바이오, 광주)를 사용하였다
  • 후보소재 HO-Series 중, HO-S1은 갈화, 감초, 구기자, 복령, 가시오가피, 황금, 창출, 건강을 6:3:3:2:2:2:1:1의 비율로 200 g을 달아 10배의 물을 가하여 90~100℃로 3시간 2회 추출 후 여과하고 60oC 이하로 감압 농축하여 약 55±5 brix의 연조엑스 약 120±10 g을 얻었다

데이터처리

  • 0 또는 IBM SPSS Statistics(ver. 2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aired t-test를 수행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성은 p값이 0.
  • 시험에 얻어진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으며 graphpad prism v5.0 또는 IBM SPSS Statistics(ver

이론/모형

  •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은 SOD assay kit(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Rockville, USA)를 사용하였다. 시료를 50, 100, 500 µg/mL의 농도별로 희석하여 96 well plate에 20 µL씩 분주한 후, 200 µL WST 용액과 20 µL enzyme을 넣고 37℃에서 20분간 incubation 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경구 투여한 알코올의 약물동태학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약물동태학 지표로 산출하였다. 0분부터 15, 30, 60, 120, 300, 480, 540분에 검출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이용하여 시간 농도곡선을 작성하고, AUC는 사다리꼴 면적 계산 공식을 이용하여 최종 채혈 시까지의 값을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hun, S. S. (2012) The social meaning of alcohol consumption in Korea. J. Korean Diabetes 13: 57-60. 

  2. National Tech Bank (2006) Hangover Rehydration Supplements Market.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Labeling standard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2019-490. 

  4. Ku, S. K., Choung, J. J., Kim, J. K., Chun, Y. S., Choi, J. S. and Kim, J. W. (2019) Enhancement of alcohol metabolism by ginseng berry extract and its mixed herbal beverages: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Toxicology and Environmetntal Health Sciences 11: 144-154. 

  5. Chen, X., Cai, F., Guo, S., Ding, F., He, Y., Wu, J. and Liu, C. (2014) Protective effect of Flos Puerariae extract following acute alcohol intoxication in mice. Alcohol Clin. Exp. Res. 38: 1839-1846. 

  6. Zhang, Z., Li, S., Jiang, J., Yu, P., Liang, J. and Wang, Y. (2010) Preventive effects of Flos Perariae (Gehua) water extract and its active ingredient puerarin in rodent alcoholism models. Chin Med. 26: 5-36.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General test method. Korea Food Additives Code. 

  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Herbal medicine test method. National Standard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and Botanical) Materials 

  9. Carmichael, J., Mitchell, J. B., DeGraff, W. G., Gamson, J., Gazdar, A. F., Johnson, B. E., Glatstein, E. and Minna, J. D. (1988)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using the MTT assay. British Journal of Cancer 57: 540-547. 

  10. Draper, H. H. and Hadley, M. (1990) A review of recent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exogenous and endogenous malondialdehyde. Xenobiotica 20: 901-907. 

  11. Griffith, O. W. (1980) Determination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 disulfide using glutathione reductase and 2-vinylpyridine. Analytical biochemistry. 106: 207-212. 

  12. Cederbaum, A. (2012) Alcohol metabolism. Clin. Liver Dis. 16: 667-685. 

  13. Wang, F., Li, Y., Zhang, Y. J., Zhou, Y., Li, S. and Li, H. B. (2016) Natural produc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angover and alcohol use disorder. Molecules 21: 64. 

  14. Jeon, T. W., Lee, E. S., Lee, Y. S., Han, O. K., Bae, J. C., Kim, K. J. and Kim, H.J. (2002) Eliminatory effect of mixed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 and Gastrodia Elata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16: 905-910. 

  15. Han, C. K., Seong, K. S., Lee, K. W., Park, S. S., Jeong, J. Y. and Kim, S. S. (2014)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concentrate on blood alcohol clearance and hepatoprotective function in rats induced by acute ethanol intoxication and chronic ethanol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139-1147. 

  16. Noh, K. H., Jang, J. H., Kim, J. J., Shin, J. H., Kim, D. K and Song, Y. S. (2009)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 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83-693. 

  17. Hwang, H. C., Kong, R., Kang, O. H. and Kwon, D. Y. (2018) Hepatoprotecive effects of puerariae flos extract on experimental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odels. Kor. J. Herbology 35: 1-8. 

  18. Cho, S. Y., Jang, J. Y. and Kim, M. J. (2000) Effects of Pueraria flos and radix water-extracts on levels of several serum biomarkers in ethanol-treated rats. Jour. Kor. Soc. food sci. & nutrition. 30: 92-96. 

  19. Xiong, Y., Yang, Y., Yang, J., Chai, H., Li, Y., Yang, J., Jia, Z. and Wang, Z. (2010) Tectoridin, an isoflavone glycoside from the flower of Pueraria lobata, prevents acute ethanolinduced liver steatosis in mice. Toxicology 276: 64-72. 

  20. Shim, S. B., Kim, N. J. and Kim, D. H. (2000) Beta-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18 beta-glycyrrhetinic acid from the rhizomes of Glycyrrhiza uralensis. Planta Med. 66: 40-43. 

  21. Park, H., Hwang, Y. H., Kim, D. G., Jeon, J. and Ma, J. Y. (2015) Hepatoprotective effect of herb formula KIOM2012H agains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utrients 2: 2440-2455. 

  22. Gao, Y., Wei, Y., Wang, Y., Gao, F. and Chen, Z. (2017) Lycium Barbarum: A traditional chinese herb and a promising anti-aging agent. Aging and disease 8: 778-791. 

  23. Youn, U. J., Lee, J. Y. and Kil, Y. (2016) Identification of new pyrrole alkaloids from the fruits of Lycium chinense. Arch. Pharm. Res. 39: 321-327. 

  24. Wang, H., Mukerabigwi, J. F. and Zhang, Y. (2015) In vivo immunological activity of carboxymethylated-sulfated(1→3)-β-D-glucan from sclerotium of Poria cocos. Int. J. Biol Macromol. 79: 511-517. 

  25. Gilbert, J. D., Musgrave, I. F., Hoban, C. and Byard, R. W. (2014) Lethal hepatocellular necrosis associated with herbal polypharmacy in a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Forensic. Sci. Int. 241: 138-140. 

  26. Cho, J. H., Park, I. J., Choi, S. Y. and Baik, S. O. (2014)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in fatty liver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3: 40-46. 

  27. Kim, D. J., Kang, Y. H., Kim, K. K. and Kim, T. W. (2017)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water extract on glucoseregulating mechanisms in HepG2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46: 552-561. 

  28. Jang, J. S., Kim, J. H. and Kwon, M. J. (2011) Antibacterial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24: 708-712. 

  29. Jeon, K. M., Park, K. H. and Pyo, A. J. (2015) A research on cell proliferation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based on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and Scutellaria baicalensi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3: 495-502. 

  30. Kim, S. M. and Kim, K. J. (2011)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Atractylodes chinensis rhizome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24: 45-63. 

  31. Kwak, J. S., Paek J. E., Jeong, S. W., Kim J. H., Kim, J. Y. and Kwon, O. R. (2014)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dried ginger powder on improvement of nausea and vomiting associated with early pregnancy or motion sickness. J. Nutr. Health 47: 45-50. 

  32. Martinez-Hurtado J. L., Calo-Fernandez B. and Vazquez-Padin J. (2018) Preventing and mitigating alcohol toxicity: A review on protective substances. Beverages 4: 39-45. 

  33. Venkataranganna, M. V., Gopumadhavan, S., Sundaram, R., Peer, G. and Mitra, S. K. (2008) Pharmacodynamics & toxicological profile of PartySmart, a herbal preparation for alcohol hangover in Wistar rats. Indian J. Med. Res. 127: 460-466. 

  34. Wen, D. C., Hu, X. Y., Wang, Y. Y., Luo, J.X., Lin, W., Jia, L. Y. and Gong X. Y. (2016)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Panax ginseng and Hippophae rhamnoides on acute alcohol intoxication: An experimental study using mouse model. J. Ethnopharmacol. 192: 67-73. 

  35. Lee, H. S., Song, J., Kim, T. M., Joo, S. S., Park, D., Jeon, J. H., Shin, S., Park, H. K., Lee, W. K., Ly, S. Y., Kim, M. R., Lee, D. I. and Kim, Y. B. (2009) Effects of a preparation of combined glutathione-enriched yeast and rice embryo/soybean extracts on ethanol hangover. J. Med. Food. 12: 1359-1367. 

  36. Wang, F., Zhang, Y. J., Zhou, Y., Li, Y., Zhou, T., Zheng, J., Zhang, J. J., Li, S., Xu, D. P. and Li, H. B. (2016) Effects of beverages on alcohol metabolism: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harmful impacts. Int. J. Mo.l Sci. 17: 354-362. 

  37. Nuutinen, H., Lindros, K. O. and Salaspuro, M. (1983) Determinants of blood acetaldehyde level during ethanol oxidation in chronic alcoholics. Alcohol Clin. Exp. Res. 7: 163-168. 

  38. Hwang, K. T., Kim, J. S. and Kim, S. O. (2019) Eliminatory effect of functional drink added with several medicinal herb complex extracts on ethanol-induc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rat. J. Chitin Chitosan 24: 33-41. 

  39. Lands, W. E. (1998) A review of alcohol clearance in humans. Alcohol 15: 147-160. 

  40. Zhang, Y. J., Zhou, T., Wang, F., Zhou, Y., Li, Y., Zhang, J. J., Zheng, J., Xu, D. P. and Li, H. B. (2016) The effects of Syzygium samarangense, Passiflora edulis and Solanum muricatum on alcohol-induced liver injury. Int. J. Mo.l Sci. 17: 1616-1643. 

  41. Lu, Y. and Cederbaum, A. I. (2018) Cytochrome P450s and alcoholic liver disease. Curr. Pharm Des. 24: 1502-1517. 

  42. Albano, E., Clot, P., Morimoto, M., Tomasi, A., Ingelman-Sundberg. M. and French, S. W. (1996) Role of cytochrome P4502E1-dependent formation of hydroxyethyl free radical in the development of liver damage in rats intragastrically fed with ethanol. Hepatology 23: 155-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