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간부후와 흉고직경 및 임령 관계
Effect of Tree DBH and Age on Stem Decay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4, 2020년, pp.492 - 503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고치웅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문가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이승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이선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임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대표적 활엽수인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5,005본을 벌채·수집하여 수간의 부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적으로 5개 대권역 27개 지역 소권역별로 분포면적 대비 표본수를 고르게 할당하여 신갈나무 2,504본, 굴참나무 2,501본을 공시목으로 선정하여 벌채 후, 그루터기의 부후조사를 상흔(상처흔적), 조직고사 및 탈색, 할렬, 동공의 4가지 형태로 조사하였다. 부후율은 신갈나무가 66.1%, 굴참나무가 31.5%로 신갈나무가 굴참나무에 비하여 두 배 이상 높았다(p < 0.001). 지역별 비교에서 신갈나무는 중부청(76.5%), 북부청(74.8%), 동부청(65.7%), 굴참나무는 북부(38.6%), 남부(37.8%), 동부청(32.9%) 권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두 수종 모두 5개 대권역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p < 0.001). 또한 수간부후는 두 수종 모두 직경의 증가에 따라서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 < 0.001, p < 0.05), 수령에 따른 수간부후도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신갈나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후형태는 직경과 수령이 증가할수록 신갈나무는 대부분 조직고사 및 탈색의 부후형태 단계, 굴참나무는 상흔단계를 보이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tem decay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in Korea. To ensure even allocation, a total of 5,005 sample trees (2,504 Q. mongolica and 2,501 Q. variabilis) were cut and collected in five regions and 27 subregions. The trees were then examined for stump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분석하였다. 또한, 2010년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간 부후율과 비교하여 시간에 경과에 따른 수간 부후율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통계분석을 위하여 SAS 9.
  • 부후조사를 위한 시료수집 대상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임상이 균일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표준지 조사를 실시하고, 경 급별(소: 6∼16 cm미만, 중: 18 cm∼28 cm, 대: 30 cm 이상)로 표준목을 선정하여 벌채하였다(Table 1). 벌채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20 cm 높이에서 벌채하였으며 벌채목의 가지를 제거한 후 전체 수고를 측정하고 개체목의 수간 고별 직경을 측정하였다.
  • 벌채목의 그루터기 단면을 조사하였다. 부후유형은 상흔, 조직고사 및 변색, 할렬, 동공의 4가지로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부후강도는 부후유형 4가지를 약 (Decay 1), 중(Decay 2, 3), 강(Decay 4)으로 3단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Figure 2).
  • 2m 벌채목에 그루터기에 대한 부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부후조사를 위한 시료수집 대상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임상이 균일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표준지 조사를 실시하고, 경 급별(소: 6∼16 cm미만, 중: 18 cm∼28 cm, 대: 30 cm 이상)로 표준목을 선정하여 벌채하였다(Table 1). 벌채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20 cm 높이에서 벌채하였으며 벌채목의 가지를 제거한 후 전체 수고를 측정하고 개체목의 수간 고별 직경을 측정하였다.
  •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를 대상으로 임상도상의 지역별 분포면적 비율에 따라 지역편중을 최소화하여 위하여 지역별로 직경급 분포를 최대한 고르게 시료를 수집하도록 조사본수를 할당하였다. 전국을 5개 지방청 권역별로 구분하고 27개 국유림관리소 권역별로 조사본수의 할당 비율에 따라 총 5, 005본(신갈나무 2, 504본, 2, 501본)을 벌채하여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등 임목의 생장특성과 0.
  •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부후조사를 위하여 선발된 표준목을 대상으로 지면으로부터 20 cm 높이에서 벌채하여 벌채목의 그루터기 단면을 조사하였다. 부후유형은 상흔, 조직고사 및 변색, 할렬, 동공의 4가지로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부후강도는 부후유형 4가지를 약 (Decay 1), 중(Decay 2, 3), 강(Decay 4)으로 3단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Figure 2).
  •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북부지방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간부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1:5,000 임상도로부터 분포면적을 추출하고, 면적 비율에 따른 표준목 벌채 및 시료수집 개체목의 수를 할당하였다. 임상도상에서 추출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분포면적은 전체 산림 중 신갈나무 229, 821 ha (17.
  • 할당하였다. 전국을 5개 지방청 권역별로 구분하고 27개 국유림관리소 권역별로 조사본수의 할당 비율에 따라 총 5, 005본(신갈나무 2, 504본, 2, 501본)을 벌채하여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등 임목의 생장특성과 0.2m 벌채목에 그루터기에 대한 부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부후조사를 위한 시료수집 대상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임상이 균일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표준지 조사를 실시하고, 경 급별(소: 6∼16 cm미만, 중: 18 cm∼28 cm, 대: 30 cm 이상)로 표준목을 선정하여 벌채하였다(Table 1).
  • 지역별 수령 및 직경급별 수간 부후율을 분석하여 지역, 임령, 직경에 따른 수간 부후 형태, 부후강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2010년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간 부후율과 비교하여 시간에 경과에 따른 수간 부후율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대표적인 활엽수인 참나무류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를 대상으로 부후조사를 추진하였다. 전국을 대상으로 지역별로 고르게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5, 005본을 선정하여 벌채에 의한 부후조사를 진행하였다.
  • 부후조사를 추진하였다. 전국을 대상으로 지역별로 고르게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5, 005본을 선정하여 벌채에 의한 부후조사를 진행하였다. 신갈나무의 부후율은 66.

데이터처리

  • 또한, 2010년도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수간 부후율과 비교하여 시간에 경과에 따른 수간 부후율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통계분석을 위하여 SAS 9.4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 수령, 직경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 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와 덩컨검정(Multiple Duncan’s Test)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ri, E., Karim, M., Oladi, R., Tajick Ghanbary, M.A., Daryaei, M., Schmidt, O., Benz, J.P. and Emaminasab, M. 2015. A comparison between decay patterns of the white-rot fungus Pleurotus ostreatus in chestnut-eaved oak (Quercus castaneifolia) shows predominantly simultaneous attack both in vivo and in vitro. Journal of Forest Pathology 47(4): 1-11. 

  2. Berry, F.H. 1969. Decay in the upland oak stand of Kentucky. USDA Frest Service Research Paper NE-126. pp. 16. 

  3. Berry, F. H. and Lombard, F.F. 1978. Basidiomycetes Associated with Decay of Living Oak Trees.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NE-412. pp. 8. 

  4. Edberg, R. and Berry, A. 1999. Patterns of structural failures in urban trees: coast live Oak (Quercus agrifolia). Journal of Arboriculture 25(1): 48-55. 

  5. Kang, J.T., Son, Y.M., Jeon, J.H. and Yoo, B.O. 2015. Estimation of Carbon Stock by Development of Stem Taper Equation and Carbon Emission Factors for Quercus serrat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6(4): 357-366. 

  6. Kim, J.H., Lee, D.K., Kim, Z.S., Lee, K.J., Hyun, J.O., Hwang, J.W. and Kwon, K.W. 1993. The interpretation for stand structure in natural Oak forests.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82(3): 235-245. 

  7. Korea Forest Genetics Research Institute. 1995. Oak Trees. 

  8.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3. Assessment of the Korea's Forest Resources. 

  9.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7. Assessment of the Korea's Forest Resources. 

  10. Korea Forest Service, 2007. Survey on Decay of Sapwood in Korea Oak trees. Forest Service Paper. Daejeon, Korea. 

  11. Korea Forest Service. 2000. The 21st Century "Forest Vision". pp. 101. 

  12. Korea Forest Service. 2010.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13. Korea Forest Service. 2015. The 6th National Forest Inventory. 

  14. Korea Forest Service. 2018. Forest Type Digital Map. 

  15. Korea Forest Service,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 pp. 444. 

  16. Korea Forest Service. 2020.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 Fire. pp. 271. 

  17.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NIFoS). 2012. Economic tree. Oak trees. pp. 210. 

  18. Park, I.H. and Moon, G.S. 1999. Species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in a natural mixed forest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at a Mt. Mohu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4): 462-468. 

  19. Son, Y.H., Kim, D.Y., Park, I.H., Lee, M.J. and Jin, H.O. 2007. Production and nutrient cycling of Oak forests in Korea: A case study of Quercus mongolica and Q. Variabilis stand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240. 

  20. Sunhede, S. and Vasilauskas, R. 2002. Ecology and decay pattern of Phellinus robustus in old-growth Quercus robur. Journal of Karstenia 42: 1-11. 

  21. Tatsuhiro, A., Yoshiaki, T., Katsuo, H. and Kiyoshi, M. 1996. Decay of deciduous trees infected from dead branch in trees. pp. 104. 

  22. Wang X. and Bruce, A.R. 2008. Decay detection in red Oak trees using a combination of visual inspection, acoustic testing, and resistance microdrilling. Journal of Arboriculture & Urban Forestry 34(1): 1-4. 

  23. Wang, X., Bruce, A.R., Wang, L. and Ross, R.J. 2007. Acoustic Tomography for decay detection in red Oak trees. USDA Research Paper FPL-RP-6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