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입목의 초기 생장 특성에 따른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방안 고찰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for Estimating Growing Stock of Young Forests based on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Standing Tre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3, 2020년, pp.300 - 312  

문가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문나현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임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산림자원 중 유령림에 포함되는 I 영급(10년생 이하)은 입목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임목축적을 '0'으로 가정하여 국가통계를 산출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및 흡수량 산정을 위한 탄소흡수량에서도 누락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이행 및 산림부문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유령림의 산림자원에 대한 정확한 통계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유령림의 초기 생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령림의 초기 생장에 관한 문헌조사, 수종별 수간석해 분석 및 현실림 임분수확표에 의한 지위지수별 유령림의 생장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령림에서 대부분의 입목은 흉고직경 6 c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흉고직경 6 cm에 도달하는데 평균 12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치수조사구에서 근원경의 경급별 평균묘고가 조사되어야 하며, 교목을 비롯한 다양한 관목이 조사되고 있으므로 교목 수종을 구분할 수 있도록 분석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ing stocks of young forests that are less than10 years of ag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Korean forest resource statistics, despite the existence of standing trees; howeve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carbon removals in the forestry section require complete information regarding for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유묘의 생장에 관한 정보는 근원경과 묘고를 측정하고 있으므로 수간재적 표의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고직경 6 cm 미만에 해당하는 입목의 생장 특성과 수령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NFI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유묘 및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제6차 NFI(2011∼2015년) 자료에 근거하여 강원도 지역의 I 영급에 해당하는 입목의 임목축적을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통계 산출에 있어 유령림(I 영급)의 산림자원에 대한 정확한 통계정보의 수집이 필요함에 따라 입목의 초기 생장 특성을 규명하고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되는 조사자료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유령림의 면적변화 현황을 살펴본 결과 황폐화된 산림의 치산녹화에 의한 효과로 인해 1973년부터 1981년까지는 I 영급의 면적이 전체 산림면적의 약 50%를 차지하게 되었다.
  • 대경목조사원과 기본조사원에서는 흉고직경 6 cm 이상의 모든 입목에 대하여 조사하는 반면, 치수조사원의 경우 흉고직경 6 cm 미만의 모든 목본성식물을 대상으로 종명 및 근원경의 경급별 출현본수를 수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FI를 통해 수집된 표본점 자료를 활용하여 유령림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간석해 자료 및 임분수확표 자료 등 활용가능한 자료를 통해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방안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1∼10년생 유묘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입목의 초기 생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구글스칼라(Google scholar),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국립산림과학원(NIFoS)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 국내외 학술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대상으로 조림・무육(Silviculture and tending), 유전・육종(Genetics and breeding), 초기 생장(Early growth), I 영급(Age-class I), 유묘(Seedlings), 생장 특성(Growth characteristics) 등의 분석용 키워드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2018년 기준 임목축적은? 우리나라의 산림은 과거 일제강점기(1910∼1945년)와 한국전쟁(1950∼1953년)을 겪으면서 황폐화되었으나, 2018년 기준 ha당 임목축적이 157.8 m3/ha를 차지할 정도로 울창한 산림으로 탈바꿈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9a). 단기 국토녹화 성공의 이면에는 산림녹화의 이행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으로서 수립된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 계획’의 거국적인 조림사업과 더불어 조림, 임목 육종 및 사방분야에서 기술력을 뒷받침한 임업인의 노력이 자리하고 있다(Bae et al.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방안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어떤 연구가 필요한가?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방안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1∼10년생 유묘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입목의 초기 생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을 위한 개선사항 및 후속 연구에 대한 고려사항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령림의 임목축적 산출을 위한 개선사항 및 후속 연구에 대한 고려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린나무의 입목재적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흉고직경 6 cm 미만의 입목에 대한 수간재적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미이용바이오매스의 이용이 확대됨에 따라 어린나무의 수간재적에 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를 고려한 흉고직경 6 cm 미만의 수간재적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2) NFI의 치수조사구에서 입목의 근원경 및 본수에 대한 정보는 수집하고 있으나, 묘고에 관한 정보가 부재하므로 평균묘고를 측정할 수 있도록 조사지침의 개정이 필요하다. (3) 치수조사구에서 목본성 수종을 대상으로 조사가 수행되고 있으므로 현 수준보다 세밀하게 교목과 관목을 구분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고품질 NFI 자료가 수집되고 현지와 비교 가능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유령림의 임목축적을 산출하고 이를 산림통계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e, J.S., Joo, R.W. and Lee, K.B. 2010. Causes of forest degradation and drivers of forest recovery in South Korea.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150. (in Korean) 

  2. Bae, S.W., Kim, Y.S., Lee, K.S., Kang, Y.J. and Jeong, M.H. 2007. Examination of growth through stem analysis of old Larix kaempferi trees. Proceedings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Conference 2007: 351-352. (in Korean) 

  3. Byeon, S.Y., Kim, H.S. and Yun, C.W. 2019. Vegetation structure of lower stratum and Pinus densiflora natural regeneration features from micro-topography classifica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 of Anmyeon-do Isl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8(2): 189-199.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4. Byun, W.H., Lee, W.J. and Yun, K.B. 1990. A development of stem analysis program and its comparison with other method for increment calcul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1): 1-15.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5. Cho, M.S., Jeong, J.Y. and Yang, A.R. 2017. Growing density and cavity volume of container influence major temperate broad-leaved tree species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nursery stag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1): 40-53.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6. Chon, S.K., Chung, D.J. and Jang, Y.S. 1999a. A study on growth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relation parameters for open-pollinated progeny test forest of Pinus koraiensis by site and family. Proceedings of Institute of Life Science & Resources Kyunghee University 20: 25-31.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7. Chon, S.K., Shin, M.Y., Chung, D.J., Jang, Y.S. and Kim, M.S. 1999b.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growth for Korean white pine(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nd effects of local climatic conditions on the growth - Relation between periodic annual increment and local climatic conditions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1): 73-85.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8. Eo, S.H., Lee, B.J., Kang, K.S., Kang, J.W., Cheong, E.J. and Choi, M.S. 2020. Overview of research on forest tree breeding in South Korea based on the keyword analysis in research articles.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52(S): 189-197.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9.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9. Selective Breeding of Forest Trees. Suwon: Forestry Research Institute. pp. 167. (in Korean) 

  10. Gillis, M.D., Omule, A.Y. and Brierley, T. 2005. Monitoring Canada's forests: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The Forestry Chronicle 81(2): 214-221. 

  11. Ji, D.H., Byun, J.K., Jeong, J.H. and Yi, M.J. 2011.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Korea pine (Pinus koraiensis) advance growth in deciduous oak forest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44(6): 1144-1149.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12. Kim, H.S., Lee, K.J., Song, T.Y. and Cho, K.H. 2013. Growth characteristics by growth stage in newly grown seedling of Pinus densiflora. Proceedings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Conference 2013: 584-586. (in Korean) 

  13. Kim, I.S. and Lee, J.H. 2013. Geographic variation of seed characteristics and 1-year-old seedling growth of Zelkova serr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234-244.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14. Kim, J.H., Lee, W.S., Lee, H.S. and Kang, S.K. 2010. The performance of naturally occurre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offsprings in the Pitch pine (Pinus rigida) plantation.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2010: 203-205. (in Korean) 

  15. Ko, C.U., Moon, G.H., Yim, J.S., Lee, S.J., Kim, D.G. and Kang, J.T. 2019.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stem volume for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using the stem volume model.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8(4): 592-599.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16. Korea Forest Service. 1975. Forest Inventory Report.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300.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 1981. Forest Inventory Report.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281. (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 1993. Forest Inventory Report.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528. (in Korean) 

  19. Korea Forest Service. 200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482. (in Korean) 

  20. Korea Forest Service.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484. (in Korean) 

  21. Korea Forest Service.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ailored Statistics and Survey on Forest Resources Statistics. Research Report.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109.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414. (in Korean) 

  23. Korea Forest Service. 2018. The 6th Basic Forest Plan(2018-2037).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151. (in Korean) 

  24. Korea Forest Service. 2019a.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444. (in Korean) 

  25. Korea Forest Service. 2019b. Report on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Forest Health Monitoring.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pp. 303. (in Korean) 

  26. Korea Forest Service [Internet]. 2004. Act on the Sustainable Use of Timbers. [cited 2020 Jun 20]. Available from: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Homepage (law.go.kr). 

  27.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7.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Forest Health Monitoring. -Field Manual-. Seoul: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pp. 86. (in Korean) 

  28.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8. Tree Volume?Biomass and Yield Table. Admin Pub.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221. (in Korean) 

  29. Lee, D.K., Kwon, K.C. and Kang, K.S. 2017. Contribution of tree plantation, tree breeding and soil erosion control techniques developed during Saemaul Undong periods to the successful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4): 371-379.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30. McCullagh, P. and Nelder, J.A. 1989. Generalized Linear Models. Monographs on Statistics and Applied Probability. London, UK: Chapman&Hall/CRC. 

  31. Moon, G.H., Yim, J.S. and Shin, M.Y. 2018. Development of ingrowth estimation equations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derived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7(4): 402-411.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32. Na, S.J., Kim, C.S., Woo, K.S., Kim, H.J. and Lee, D.H. 2011. Correlation of above- and below-ground biomass between natural and plant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of one age-class i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1): 42-51.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3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1.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187. (in Korean) 

  34.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a. Forest Tree Breeding and Improvement 60 Years: 1956-2016. Admin Pub.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509. (in Korean) 

  35.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b. Stand Yield Table of Real Forest. Admin Pub.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54. (in Korean) 

  36.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9.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enetic Test and Improvement Effect of Major Species. Admin Pub. Seou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122. (in Korean) 

  37. Park, H., Lee, J.Y. and Song, M.K. 2017. Scientific activities responsible for successful forest greening in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3(1): 1-18. 

  38. Park, I.H., Lee, D.K., Lee, K.J. and Moon, G.S. 1996. Growth,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Quercus species(I): With reference to natural stands of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dentata, and Q. mongolica in Kwangju, Kyonggi-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5(1): 76-83.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39. Pinto, J.R., Marshall, J.D., Dumroese, R.K., Davis, A.S. and Cobos, D.R. 2011. Establishment and growth of container seedlings for reforestation: A function of stocktype and edaphic condition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1(11): 1876-1884. 

  40. Ryu, K.O., Jang, S.S., Choi, W.Y. and Kim, H.E. 2003. Growth performance and adaptation of Liriodendron tulipifera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6): 515-525.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41. Yang, A.R., Jeong, J.Y. and Cho, M.S. 2017.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trees planted in harvested Larix kaempferi plant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1): 10-18.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42. Yang, A.R., Jeong, J.Y. and Cho, M.S. 2018. Site and soil factors affecting early growth of Larix kaempferi trees planted in harvested Larix kaempferi plantat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7(1): 35-42. (in Korean with abstract Englis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