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소나무 및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형상비 추정
Estimating Tree Shape Ratio by Region for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4, 2019년, pp.600 - 609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고치웅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임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이선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문가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형상비를 고려한 임분 밀도 관리의 필요성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국을 대상으로 소나무 2,112본, 일본잎갈나무 2,030본을 벌채하여 흉고직경 및 수고, 지하고를 측정하고 지역별 형상비(수고/흉고직경)를 비교 분석하였다. 소나무의 형상비는 강원지방 소나무 72.3%, 중부지방소나무 64.0%, 소나무 평균 70.8%로 강원지방소나무가 중부지방소나무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영주 78.4%, 영월 77.5%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직경별로는 소경목 90.4%, 중경목 71.7%, 대경목 56.1%로 나타났다. 형상비는 밀도가 높아질수록 수간의 직경에 대한 수고의 비율(형상비)이 높아지며, 70% 이하면 안정성이 높으나 80%를 초과하면 풍해 및 폭설피해로 위험해지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임분 밀도관리가 필요하다. 일본잎갈나무의 전체 평균 형상비는 90.6%이며, 지역별로는 평창 108.5%, 영주 105.4%, 단양 100.5% 순으로 나타났다. 경급별로는 소경목 104.9%, 중경목 92.7%, 대경목 73.4%로 전체적으로 일본잎갈나무의 형상비가 80% 이상으로 풍해 및 폭설피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빠른 시일 내에 적정 임분 밀도의 관리의 시업이 요구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ighlight the necessity for a stand density control management plan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ratio of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in Korea. A total of 2,112 Pinus densiflora samples and 2,030 Larix kaempferi samples were cut, and their diameter at breast he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형상비 추정을 통하여 임분구조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분의 안정성 회복과 생산성 최대를 위한 적절한 산림시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를 대상으로 지역별 형상비 추정에 의한 산림구조의 취약성을 분석하여 향후 안정된 목재생산을 위한 산림시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형상비 분석을 위하여 실제 지역별로 경급을 고르게 할당하여 각각 2,112본, 2,030본의 표준목을 선발·벌채한 후, 현장조사와 생장특성 분석을 위하여 수간석해 시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잎갈나무란? 소나무 역시 지리적 특성에 따라 수형의 변화가 심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소나무림을 지리적, 생태학적으로 구분하여 강원지방소나무와 중부지방소나무로 구분하고 있으며, 초두부의 형태 및 수간의 모양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tional Instiute of Forest Science, 2012). 또한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는 소나무와 함께 우리나라 주요 산림 수종으로 해안지방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1970년대에 치산녹화사업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으로 식재되어 온 수종이다(Lee, 1995; Jeon et al., 2007).
산림자원의 육성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인 수관의 비율과 수고의 비율로 예측 가능한 내용은 무엇인가? 또한 수고에 대한 수관의 비율(수관율)이 개체목의 형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며, 수관율이 낮아질수록 수고생장도 저하되며 근계발달에도영향을 미쳐 뿌리발달이 불량해져 강풍과 폭설에 꺾이거나 휘어져서 뿌리가 뽑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밀도가 높은 울폐된 임분의 개체목은 불량한 개체목이 증가하여 수관율의 저하가 빠르고, 형상비가 높아짐으로써 풍해, 폭설 및 병충해 피해가 증가한다. 특히 수목의 형상비와 수관크기는 임분의 건전성을 목표로 하는 산림자원의 육성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Kimet al.
일부 지역에서 임분 밀도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1%로 나타났다. 형상비는 밀도가 높아질수록 수간의 직경에 대한 수고의 비율(형상비)이 높아지며, 70% 이하면 안정성이 높으나 80%를 초과하면 풍해 및 폭설피해로 위험해지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임분 밀도관리가 필요하다. 일본잎갈나무의 전체 평균 형상비는 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do, T. 1962. Growth analysis on the natural stand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II. Analysis of stand density and growth, Bulletin Government Forest Experiment Station 210(147): 1-153. 

  2. Ando, T. 1968. Ecological studies on the stand density control in even-aged stand. Bulletin Government Forest Experiment Station 210(210): 1-153. 

  3. Cremer, K.W., Cater, P.R. and Minko, G. 1983. Snow Damage in Australian pine plantations. Australian Forest 46(1): 53-66. 

  4. Fish H., Lieffers, V.J., Silins, U. and Hall R.J. 2006. Crown shyness in lodgepole pine stands of varying stand height, density, and site index in the upper foothills of Albert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ources 36(9): 2104-2111. 

  5. Forestry and Forest Products Research Institute (Japan). 2011. Guidelines and fundamental concepts for the management of pinus thunbergii coastal forests: control of the number of trees and utilization of invading broadleaved trees. Tsukuba, Japan. pp. 55. (in Japanese) 

  6. Harada, K. and Kawata, Y. 2005. Discussion on the utilization of coastal forests for the tsunami reduction effects. Annual Journal of Coastal Engineering,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2: 276-280. (in Japanese) 

  7. Japan Forest Technology Association. 1998. Fifty methods to investigate forest. Tokyo Shoseki Co., Ltd. Tokyo, Japan. pp. 23. (in Japanese) 

  8. Jeon, B.H., Lee, S.H., Lee, Y.J., Kim, H. and Kang, H.M. 2007. Estimation of site index stem volume equations for Larix leptolepis stand in Jinan, Chonbu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6(1): 40-47. 

  9. Kang, J.T., Son Y.M., Kim, S.W., Park H. and Hwang, J.S. 2014. Development of local stem volume table for Larix kaempferi using Kozak's stem taper model.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6): 119-131. 

  10. Kato, A. 2009. Characteristics for Sugi (Cryptomeria japonica D. Don) stands and trees with high snow accretion damage risk in Toyama Prefecture. Forest Resources and Mathematical Modeling 8: 45-61.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1. Kira, T., Ogawa, H. and Hozumi, K. 1953. Interaspecific competition among higher plants I: Competition-yielddensity interrelationship competitionship in regularly dispersed population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Polytechnics, Osaka City University Series D 4: 1-16. 

  12. Kim, S.W., Chun, K.W., Park, K.H., Lim, Y.H., Yun, J.U., Kwon, S.M., Youn, H.J., Lee, J.H., Teramoto, Y. and Ezaki, T. 2015. The Necessity and Method of Stand Density Control Considering the Shape Ratio of Pinus thunbergii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4): 457-464. 

  13. National Instiute of Forest Science. 2012. Economic tree, Pinus densiflora. pp. 250. 

  14. National Instiute of Forest Science. 2013a.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based on digital forest type map (1:5,000) in Korea. pp. 15. 

  15. National Instiute of Forest Science. 2013b. Investigation on the site condition, soil and vegetation of coastal prevention forests in the island areas of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Contract research report of KFRI. Seoul, Korea. pp. 113. (in Korea) 

  16. National Instiute of Forest Science. 2015. Thinning and Forest Type of Target. pp. 162. 

  17. Korea Forest Service. 2000. Forest & Forestry Technique(III): forest creation. Daejeon, Korea. pp. 509. (in Korea) 

  18. Korea Forest Service. 2017. Assessment of Korea's Forest resources at 2011-2015. pp. 220. 

  19. Kunisaki, T. 2005. Pattern of snow accretion damage in an old Sugi (Cryptomeria japonica D. Don) Plantation at the base of Mt. Iwate, Northern Japan.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 Society 87(5): 426-42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C.B. 1995. Dendrology. Hyangmun Press. pp. 88. 

  21. Lee, K.S., Kim, S.K., Bae, S.W., Lee, J.H., Shin, H.C., Jung, M.H., Moon, H.S. and Bae, E.G. 2009.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angwon northern region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6): 7-17. 

  22. Lee, S.T., Yoon, S.L., Park, E.H., Kim, J.K. and Jung, Y.G. 2005. The dendrochronological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in Gyeongbuk reg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4): 289-295. 

  23. Moktan, M.R., Kwon, J., Lim, J.H., Shin, M.H., Park, C.W. and Bae, S.W. 2015. Wind stability of commercially important tree species and silvicultural implications, Daegwallyeong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1): 58-68. 

  24. Oda, T. 1992. Tending, density management and regeneration techniques. pp. 395-408. In: Murai, H., Ishikawa, M., Endo, J., and Tadaki, R. (Eds.) The coastal forest in Japan: its multiple functions and use. Soft Science, Inc. Tokyo, Japan. (in Japanese) 

  25. Park, C.M., Kim, S.W. and Park, S.H. 2009.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4): 365-3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J.H., Jung, S.Y., Yoo, B.O., Lee, K.S., Park, Y.B. and Kim, H.H. 2017. The Production Objectives and Optimal Standard of Density Control Using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3): 411-420. 

  27. Park, J.H., Lee, K.S., Yoo, B.O., Park, Y.B. and Jung, S.Y.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Korean Forest Society 105(3): 342-350. 

  28. Reineke, L.H. 1933. Perfecting a stand-density index for even-aged forests.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46(7): 627-638. 

  29. Valinger, E. and Pettersson, N. 1996. Wind and snow damage in a thinning and fertilization experiment in Picea abies in southern Sweden. Forestry 69(1): 29-33. 

  30. Wonn, H.T. and O'hara, K.L. 2001. Height: diameter ratios and stability relationships for four Northern Rocky mountain tree species,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16(2): 87-94. 

  31. Yang, A.R., Hwang, J.H., Song, S.W. and Cho, M.S. 2013. The comparison of soil properties and early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eedlings in Harvested Larix kaempferi and Pinus rigida stands. 

  32. Yim, K.B. 1985. Silviculture theory. Hyangmun Press. pp. 4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