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조절법 연구
Study on Timber Yield Regulation Method us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4, 2020년, pp.504 - 511  

박정묵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전공) ,  이정수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전공) ,  이호상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박진우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예측기법으로 면적가중치법(AW), 면적비율가중치법(ARW), 표본면적변화율가중치법(SCRW)를 적용하여 전국 국유림의 산림경영계획 목표량 설정을 위한 벌채계획량을 추정하였다. 벌채계획량 추정을 위한 산림면적은 산림기본통계의 2010년, 2015년의 영급별 국유림면적을 이용하였으며, 5년간의 산림면적변화량을 벌채면적으로 가정하여 산출하였다. AW, ARW, SCRW를 이용한 벌기령의 평균은 각각 5.41, 5.56, 5.37로 V~VI영급수준으로 산출되었다. 벌채면적은 각각 594,462 ha, 586,704 ha, 580,852 ha로 SCRW가 실제 면적변화량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도 SCRW이 가장 안정적으로 분석되었다. 산림경영계획의 목재수확예측을 위한 방법으로 SCRW가 AW와 ARW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d planned felling volumes to set targets for management planning of nationwide country-owned forests. Estimates were made using timber harvest prediction methods that us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including area weighting (AW), area ratio weighting (ARW), and sample area cha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유림의 생태적 보전 및 공익적 기능 증진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꾸준한 산림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현재 영급 불균형의 상황에서 장령림에서 성숙림으로 옮겨가고 우리나라 산림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현재 연구에 적용된 방법은 일본에서 사유림의 규모화와 집단화에 있어 목재 수확량 산출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향후 사유림의 목재 수확체계 구축 및 관리방안을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정책의 중심이 되는 국유림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산림 수확 목표량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산림면적 변화율을 추정하고 산림면적 변화율을 통한 미래 산림수확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목재수확량 예측을 위한 국유림의 영급별 산림면적은 2010년과 2015년 산림기본통계의 산림청 소관 국유림의 정보를 이용하였다. 산림기본통계는 전국 산림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조사 평가하여 산림의 정책 수립의 기본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산림 기본통계는 FAO, OECD, SFM에서 요구하는 산림통계 및 국제 수준의 맞춤형 통계자료로 제시되고 있다(KFS, 2020) 벌기령의 평균과 분산은 면적가중치법(Area Weighting; AW), 면적비율가중치법(Area Ratio Weighting; ARW), 표본 면적변화율 가중치법(Sample area Change Ratio Weighting; SCRW)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 목표량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산림면적 변화율을 추정하고 산림면적 변화율을 통한 미래 산림수확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방법은 수종 및 영급별 면적이 매우 복잡한 산림에 대하여 장기적으로 법정림에 가까운 산림을 만들기 위한 방법이다. 산림면적변화를 추정하는 확률 밀도 함수의 형태는 감마분포로 가정하며, 평균과 분산를 이용하여 감마분포함수의 모수(M, K)를 추정하여 확률밀도 곡선을 작성한다. 확률밀도곡선은 적분을 통하여 급별 산림면적변화율  를 산출한다(Hiroshima, 200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K.H. and Shin, S.H. 2014.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proxy management in private forest.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12(2): 14-24. 

  2. Bea, S.W., Hwang, J.H., Lee, S.T., Kim, H.S. and Jeong, J.M. 2010. Changes in soi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light availability and diameter growth after thinning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99(3): 397-403. 

  3. Blandon, P. 1991. Gentan probability and censored sample theory(1).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ry Society 73(3): 187-196. 

  4. Choi, J.C. 1988. Studies on the construction of district forest plan by system analysis: Timber production of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stands. (Dissertation).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5. Choi, H.J. 2016. Analysis on zoning feasibility and timber harvest forecasting of Timber-oriented Zones (ToZ) of Gyeongsangnam-do Province, (Dissertation).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6. Groot, A., Gauthier, S. and Bergeron, Y. 2004. Stand dynamics modelling approaches for multicohort management of eastern Canadian boreal forests. Silva Fennica 38(4): 437-448. 

  7. Hiroshima, T. 2006. Study on the methodology of calculating mean and variance of felling age in forest planning. Journal of Forest Planning 40(2): 139-149. 

  8. J-FIC (Japan Forestry Investigation Committee). 1975. Forest planning business handbook. Tokyo, Japan. 

  9. J-FIC (Japan Forestry Investigation Committee). 2004. Forest planning business handbook. Tokyo, Japan. 

  10. Kim, Y.H., Kim, T.W., Won, H.K., Lee, K.H. and Shin, M.Y. 2012. Estimation of timber production by thinning scenarios using a forest stand yield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1(4): 592-598. 

  11. Kim, D.M. Lim, C.H. Lee, W.K. and Song, C.H.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4(4): 640-648. 

  12. KFS (Korea Forest Service). 2011. 2010 Forest Basic Statistics. https://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2310332&bbsIdBBSMSTR_1016&pageIndex1&pageUnit10&searchtitletitle&searchcont&searchkey&searchwriter&searchdept&searchWrd&ctgryLrclsCTGRY070&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orgId&mnNKFS_04_05_10&component. (2020.16.06). 

  13. KFS (Korea Forest Service). 2016. 2015 Forest Basic Statistics. https://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3098943&bbsIdBBSMSTR_1016&pageIndex1&pageUnit10&searchtitletitle&searchcont&searchkey&searchwriter&searchdept&searchWrd&ctgryLrclsCTGRY070&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orgId&mnNKFS_04_05_10&component. (2020.12.06). 

  14. KFS (Korea Forest Service). 2018. The 6th basic forest plan.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51. (11-1400000-000755-14). 

  15. KFS (Korea Forest Service). 2020. Sta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448. (11-1400000-000001-10). 

  16. Kurokawa, Y. and Toda, E. 2000.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the fprest resources using the gentan probability theory: A case analysis of man-made private forest at chizu in tottori prefecture. Bulletin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Tottori University 53: 35-42. 

  17. Kusmana, C., Dwiyanti, F.G. and Malik, Z. 2020. Comparison of several methods of stands inventory prior to logging towards the yield volume of mangrove forest in Bintuni Bay, West Papua Province, Indonesia. Biodiversitas Journal of Biological Diversity, 21(4). 

  18. Kwon, H.J. and Park, S.J. The techniques development for the possibility area analysis of yarding operation and the forest-road network arrangement using GIS.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2(1): 143-155. 

  19. Lee, H.S., Seo, J.W. and Yoo, B.H. 2009. A survey of forest expertise for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3(4): 25-32 

  20. Lee, J.Y. 2013.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forest administration paradigm changes.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3(3): 261-279 

  21. MOLEG (Ministry of Goverment Legislation). 2020. 「State Fores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ct」 https://www.law.go.kr. (2020.12.06.). 

  22.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8. Standing Stock·Biomass and Stand harvest tabl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11-1400377-011064-01). 

  23. Park, S.I. 2016. Selecting the suitable site for scale improvement and developing timber yield model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n private forest. Jeonju.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4. Romero, C. and Putz, F.E. 2018. Theory-of-change development for the evaluation of forest stewardship council certification of sustained timber yields from natural forests in Indonesia. Forests 9(9): 547. 

  25. Ryu, D.H., Lee, W.K., Song, C.H. and Lim, C.H. 2016. Assessing effects of shortening final cutting age on future CO 2 absorption of forest in Ko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7(2): 157-167. 

  26. Seo, J.H., Lee, W.K., Son, Y.H. and Ham, B.Y. 2001. Dynamic growth model for pinus densiflora stands in anmyun - Isl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0(6): 725-733. 

  27. Subedi, V.R., Bhatta, K.D., Poudel, I.P. and Bhattarai, P. 2018. Application of silvicultural system, yield regulation and thinning practices in natural forests: Case study from western Terai. Banko Janakari, 92-97. 

  28. Suzuci, T. 1972. Applications of stochastic process in forestry (I).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ry Society 54(7): 234-243. 

  29. Suzuci, T. 1973. Application of stochastic process in forestry(II).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ry Society 55(7): 234-237. 

  30. Vuokila, Y. 1965. Functions for variable density yield tables of pine based on temporary sample plots. Communicationes Instituti Forestalis Fenniae 60(4): 1-86. 

  31. Won, H.K. and Woo, J.C. 1996. Centered with pinus koraiensis stands in chunchon national forest timber harvest scheduling by linear programming under uncertainty.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4(1): 73-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