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모시풀(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Extrac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4, 2020년, pp.339 - 348  

정기수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  이선희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  양수경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  문성필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  송관필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  김지영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섬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천연 화장품 소재의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섬모시풀을 70%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순차적으로 용매별 분획을 제작하였다. DPPH과 ABTS 시험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Cutibacterium acnes와 항생제내성균주에 대해서 paper disc 방법, 최소저해농도 및 생육억제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 aureus, S. epidermidis, C. acnes 균주에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추출물과 다른 분획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lipopolysaccharide (LPS) 처리한 RAW 264.7 Cell에서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섬모시풀 추출물과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항산화,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섬모시풀 추출물과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se of the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extract and fra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The leaves of B. nivea var. nipononivea, extracted by 70% ethanol, were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쇄기풀과의 섬모시풀을 이용하여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섬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은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성분인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항산화 효능인 DPPH 와 ABTS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도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에서 IC50값은 각각 13.
  • 모시풀은 항산화, 항염등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있으나, 섬모시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현황이다[14-16]. 본연구에서는 제주도 자생식물인 섬모시풀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여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신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S. Kim, C. G. Hyun, J. Y. Kim, J. Lee, and D. Park, Antibacterial effects of medicinal plants from Jeju island against acne-inducing bacteria, J. Appl. Biol. Chem., 50(2), 101 (2007). 

  2. C. H. Shin,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character in the ethyl acetate extractions of Rumex crispus, Korean J. Biotechnology. Bioeng., 16(6), 592 (2001). 

  3. S. B. Nimse, and D. Pal, Free radicals, natural antioxidants, and their reaction mechanisms, RSC Adv., 5, 27986 (2015). 

  4. J. E. Kim, S. M. Jo, and N. H. Lee,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Rhododendron weyrichii leaves, J. Soc. Cosmet. Sci. Korea, 45(4), 341 (2019). 

  5. B. C. Dickinson and C. J. Chang, Chemistry and biolog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signaling or stress responses, Nat. Chem. Biol., 7(8), 504 (2011). 

  6. V. Afonso, R. Champy, D. Mitrovic, P. Collin, and A. Lomri,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uperoxide dismutases: role in joint diseases, Joint Bone Spine, 74(4), 324 (2007). 

  7. B. Poljsak and R. Dahmane, Free radicals and extrinsic skin aging, Dermatol. Res. Pract., 2012, 4 (2012). 

  8. J. Freak, An overview of acne vulgaris. Nurs. Times., 102(30), 30 (2006). 

  9. S. M. Han, K. G. Lee, J. H. Yeo, W. T. Kim, and K. K. Park, Antimicrobial property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and aerobic skin flora. Kor. J. Pharmacogn., 40, 173 (2009). 

  10. S. Heller, L. Kellenberger, and O. Shapiro, Anti propionibacterial activity of BAL 19403, a novel macrolide antibiotic,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1(6), 1956 (2007). 

  11. Y. N. Lee, New flora of Korea, Kyohaksa, (2006). 

  12. K. H. Bae,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sa, (2000). 

  13. F. H. Lui, Z. Li, Q. Liu, H. He, X. Liang, and Z. Lai, Introduction to the wild resources of the genus Boehmeria Jacq, Genet. Resour. Crop. Evol., 50, 793 (2003). 

  14. S. Sancheti, M. Bafna, H. R. Kim, Y. H. You, and S. Y. Seo, Evaluation of antidiabetic,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Boehmeria nivea root extract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Rev. Braz. Farmacogn., 21(1), 146 (2011). 

  15. Y. R. Lee, J. W. Nho, I. G. Hwang, W. J. Kim, Y. J. Lee, and H. S. Jeong,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amie leaf (Boehmeria nivea L.), J. Food. Sci. Biotechnol., 18(5), 1096 (2009). 

  16. S. G. Lee, J. H. Lee, M. S. Chung, and H. Kang, Antioxidants and antineuro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Boehmeria nivea (L.) Gaudich, J. Naturopathy., 5(1&2), 33 (2016). 

  17. T. B. Lee,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1979). 

  18. T. Gutfinger,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 (1981). 

  19. F. B. Davis, E. Middleton, P. J. Davis, and S. D. Blas, Inhibition by quercetin of thyroid hormone stimulation in vitro of human red blood cell Ca2+-ATPase activity, Cell Calcium, 4(2), 71 (1983). 

  20. K. Nara, T. Miyoshi, T. Honma, and H. Koga, Antioxidative activity of bound-form phenolics in potato peel, Biosci. Biotechnol. Biochem., 70(6), 1489 (2006). 

  21.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xo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9-10), 1231 (1999). 

  22. A. J. Hayes, and B. Markovic, Toxicity of Australian essential oil Backhousia citriodora (Lemon myrtle). Part 11.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Food. Chem. Toxicol., 40(4), 535 (2002). 

  23. R. A. Mothana, and U. Lindequist,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of the island Soqotra, J. Ethnopharmacol., 96(1-2), 177 (2005). 

  24. F. A. Al-Bayat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entha longifolia L. leaves grown wild in Iraq, Ann. Clin. Microbiol., Antimicrob. 8(1), 20 (2009). 

  25. C. Kim, M. J. In, and D. C. Kim,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Boehmeria nivea L. leaves, Food Eng. Prog., 19(1), 76 (2015). 

  26. J. M. Choi, J. Y. Choi, H. M. Kim, K. Choi, J. Ku, K. W. Park, S. Lee, and E, J, Cho, Antioxidative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from gastric cancer of Korean folk plants, Cancer Prevention Research, 16(4), 387 (2011). 

  27. T. Ak, and I. Gulcin,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curcumin. Chem. Biol. Interact., 174(1), 27 (2008). 

  28. H. T. Chung, H. O. Pae, B. M. Choi, T. R. Billiar, and Y. M. Kim, Nitric oxide as a bioregulator of apopto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2(5), 1075 (2001). 

  29. R. Kohen, Skin antioxidants: their role in aging and in oxidative stress-new approaches for their evaluation, Biomed. Pharmacother., 53(4), 181 (19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