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등수국 잎 추출물 유래 항염 및 항균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e Ingredients Derived from the Extract of the Leaves of Hydrangea Petiolari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3, 2020년, pp.207 - 218  

조성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학과) ,  김정은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학과) ,  이남호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등수국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n-hexane (Hex) 및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 독성 없이 nitric oxide (NO)의 생성 및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항염 기전 연구 결과, n-Hex 및 EtOAc 분획물이 전염증성 cytokine (TNF-α, IL-1β, IL-6)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피포도상구균과 여드름균을 이용한 활성 실험 결과, 추출물 및 n-Hex, EtOAc, n-butanol (BuOH) 분획물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n-Hex 및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phytol (1), corosolic acid (2), asiatic acid (3) 및 1-O-p-coumaroyl-β-D-glucopyranoside (4). 이들 화합물은 모두 등수국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물질이다.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등수국 잎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phytol (1) 이 27.8 mg/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등수국 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leaves of the Hydrangea petiolaris were identified, and the chemical structure was identified by separating the active ingredient. As the result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experiment using RAW 264.7 c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등수국 잎(leaves)을 대상으로 한 생리 활성 연구 및 유효 성분에 대해서는 보고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등수국 잎 추출물 및 극성별 용매 분획물의 항염 및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 유효 성분을 분리, 동정하여 천연 화장품 원료 등으로 이용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petiolaris) 줄기에 대한 생리활성 및 성분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만, 등수국 잎에 대해서는 활성 및 유효 성분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등수국 잎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성분 연구를 진행하여 화장품 관련 천연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반응이란 무엇인가? 염증반응은 생체 내 항원침입이나 조직손상과 같은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림프구를 포함한 면역세포들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생체보호반응이다. 그러나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되면 주변조직의 손상과 더불어 생체기능에 이상을 가져와 질병의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새로운 질병이 생기게 된다[1].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는 무엇인가? 그러나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되면 주변조직의 손상과 더불어 생체기능에 이상을 가져와 질병의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새로운 질병이 생기게 된다[1].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인 대식세포(macrophage)는 체내에서 선천적으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으며 동물 체내 모든 조직에 분포한다[2]. 박테리아와 같은 세균이 체내로 침투하면 세균 세포막 성분인 lipopolysaccharide (LPS) 등에 의해 대식세포가 자극을 받아 활성화된다.
세균이 체내로 침투하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어떤 물질을 분비하는가? 박테리아와 같은 세균이 체내로 침투하면 세균 세포막 성분인 lipopolysaccharide (LPS) 등에 의해 대식세포가 자극을 받아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nitric oxide (NO) prostagalandin E2 (PGE2),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등과 같은 염증매개 물질들을 분비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Rabson, I. M. Roitt, P. J. Delves, Really Essential Medical Immunology, Blackwell publishing Ltd (2005). 

  2. H. N. Ko,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2018). 

  3. H. S. Yeom, Master's Thesis Dessertation,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2018). 

  4. H. M. Yang, S. S. Lim, Y. S. Lee, H. K. Shin, Y. S. Oh, J. K. Kim,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Korean J. Food Sco. Technol., 39(3), 342 (2007). 

  5. P. K. Lala and C. Chakraborty, Role of nitric oxide in carcinogenesis and tumor progression, Lancet Oncol., 2(3), 149 (2001). 

  6. J. C. Harper, An update on the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acne vulgaris, J. Am. Acad. Dermatol., 51, 36 (2004). 

  7. D. M. Thiboutot, Acne. an overview of clinical research findings, Dermatol Clin, 15(1), 97 (1997). 

  8. S. Nishijima, I. Kurokawa, N. Katoh, and K. Watanabe, The bacteriology of acne vulgari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Propionibacterium acne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olated from acne lesions, J. Dermatol., 27, 318 (2000). 

  9. A. Koreck, A. Pivarcsi, A. Dobozy, L. Kemeny, The role of innate immunity in the phthogenesis of acne, Dermatology, 206(2), 96 (2003). 

  10. H. S. Kim, Master's Thesis Dissertation, Konkuk Univ., Seoul, Korea (2011). 

  11. M. S. Kang, H. J. Oh, H. C. Lee, and J. S O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39(1), 11 (2009). 

  12. J. Y. Choi, S. Y. Song, and H. H. Lee,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rni fructus ethanol extract in Propionibacterium acnes, Kor. J. Aesthet. Cosmetol., 13(5), 623 (2015). 

  13. J. H. Park, Master's Thesis Dessertation,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2019). 

  14. P. J. Bames and F. Y. Liew, Nitric oxide and asthmatic inflammation, Mmunol. Today, 16(3), 128 (1995). 

  15. T. J. Guzik, R. Korbut, and T. Adamek-guzik, Nitric oxide and uperoxide in inflammation and immune regulation, J. Physiol Pharmacol., 54, 469 (2003). 

  16. S. Y. Kim, Master's Thesis Dessertation,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2013). 

  17. J. E. Kim,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2016). 

  18. H. T. P . Nguyen, D. T. T hi, T. M. Pham, T. H. H. Tran, X. C. Nguyen, H. N. Nguyen, V. T. Nguyen, V. M. Chau, Secondary metabolites from Dipterocarpus obstusifolius TEIJSM. ex MIQ., Vietnam Journal of Chemistry, 53(2e), 137 (2015). 

  19. B. T. Ahn, Phenolic Compounds from Leaves of Spiraea salicifolia, Kor. J. Pharmacogn, 27(3), 179 (1996). 

  20. K. J. Yun, J. Y. K im, J. B. K im, K. W. Lee, S . Y. Jeong, H. J. Park, H. J. Jung, Y. W. Cho, K. Yun, K. T. Lee, Inhibition of LPS-induced NO and PGE2 production by asiatic aid via NF- ${\kappa}B$ in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Possible involvement of the IKK and MAPK pathway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8(3), 43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