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lowflow indices in ungauged basin using multiple regress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12, 2020년, pp.1193 - 1201  

임가균 (경보기술단 방재과) ,  정세진 (강원대학교 강원종학기술연구원) ,  김병식 (강원대학교 도시환경재난관리전공) ,  채수권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갈수지수 산정 회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30개의 중권역 유역을 대상으로 국가수자원종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평균 갈수량과 평균 저수량, 지속기간별 빈도별 갈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유역특성인자 18개와 기상특성인자 3개와의 상관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유역면적(A), 유역 평균 표고(H), 유역 평균 경사(S), 수계밀도(D), 유출곡선지수(CN), 연증발산량(ET), 연강수량(P)을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갈수지수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회귀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10개의 검증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간주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와 평균절대오차(MAE)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균갈수량산정 회귀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모형의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gression model that estimates a low-flow index that can be applied to ungauged basins. A total of 30 midsized basins in South Korea use long-term runoff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NIWMS) to calculate average low-flow, average min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6) 은 국내 12개 다목적 댐과 4개의 용수댐 유역을 대상으로 평균갈 수량, 평균 저수량, 평균 평수량과 유황곡선을 산정하여 관측치와 비교・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관측자료의 길이가 짧거나 미계측 기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유역을 선정하여 갈 수량을 산정한 후 관측치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인위적인 유량의 조절이 발생 하는 댐 하류의 유황 변화를 평가해 다중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회귀모형의 우수성과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논문에서 개발된 갈수지수별 회귀모형에 대하여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를 추정 및 검증을 통하여 회귀모형에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기존의 미계측 유역의 평균 갈 수량 회귀모형과 비교・분석에서 더욱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기존의 회귀모형보다 다양한 유역특성인자와 수문 특성인 자를 고려하여 회귀모형을 개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 산정을 위한 회귀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의 중권역 40개 지점을 대상으로 국가 수자원관리 종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평균 갈수량, 평균 저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가뭄의 경우 집중적인 호우의 영향을 단기간에 받는 홍수와는 달리 가뭄은 장기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속되는 기간이 큰 의미를 가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7일, 30일, 90일의 지속기간을 사용하였으며, 갈수 빈도해석을 통하여 6개의 지속기간별로 각각 2년과 10년의 빈도를 산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 산정을 위한 회귀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의 중권역 40개 지점을 대상으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평균 갈수량, 평균 저수량을 산정하였으며 갈수 빈도해석을 통하여 6개의 지속기간별 빈도별 갈 수유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인 유역인자 18개와 수문 인자 13개을 수집하여 상관 분석을 수행하여 독립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수와 선정한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갈수지수 산정 회귀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에 관한 회귀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30개 유역의 유역특성인자와 수문인 자를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회귀모형은 유역특성인자와 수문인자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평균 갈수량, 평균 저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30개의 유역의 장기유출자료(1966년 ~ 2017년)을 이용하여 유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속일수에 대한 유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각 유역별로 평균 갈수량, 평균 저수량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S.Y., Han, K.Y., and Kim B.H. (2012). "Comparison of differ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for real-time flood stage forecas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Vol. 32, No. 1, pp. 9-20. 

  2. Jang, D.J. (2013). "Estimation of critical duration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Environment, Chungwoon University, Vol. 8, No. 1, pp. 27-35. 

  3. Jo, T.G. (2007). "Improving low flow estimation for ungarged basins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175, pp. 113-124. 

  4. Lee, S.Y. (2017). Estimation of average low flow using base flow index for ungaged basin.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5. Lee, T.H. (2016). Development of Regional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mean low flow in ungauged basins. Ph.D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6. Lee, T.H., Lee, M.H., and Lee, J.U. (2016). "Development of regional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flow duration curves in ungauged basi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6, No. 3, pp. 427-437. 

  7. Ryoo, K.S., and Chong, K.Y. (2008). "Development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reservoir inflow in the flood season." 2008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3500-3503. 

  8. Smakhtin, V.U. (2001), "Low flow hydrology: A review." Journal of Hydrology, Vol. 240, pp. 147-186. 

  9. Yoon, Y.N. (2007). Hydrology. Cheongmunga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